방수폰 갤럭시S4
액티브 갤럭시S4 LTE-A 비교
최근 삼성에서 출시하는
스마트폰들을 가만히 살펴보고 있으면 대표 얼굴이 되는 메인급 라인업 몇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신규 휴대폰은 조용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물론
대중들의 관심도에 따른 마케팅의 차이겠지만 삼성에서 이런 폰도 출시했었어? 라는 이야기들을 가끔 들을때 당황스럽기도 합니다. 어찌되었던 특정
타겟층을 목표로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다는 것 자체가 소수 사용자를 위한 라인업에도 신경쓰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으니 소비자로써는 즐거운 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이번에
출시하는 갤럭시S4 액티브는 그동안 소문만 무성했던 방수폰 출시를 현실로 만나게된 소식이라 반가웠습니다.
이것이 바로 아웃도어형
방수폰 갤럭시S4 액티브
얼핏봐도 디자인은
기존의 갤럭시S4 라인업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체 바디의 아웃라인은 물론이고 구석구석 갤럭시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그래도 갖추고
있음을 보게 되는데, 눈에 띄는 차이점은 하단 버튼에 보이는 돌출형 물리버튼입니다. 아마도 이와같이 만든 이유는 방수처리를 하기위한 것도
있겠지만 물속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듭니다.
후면의 배터리
커버에서도 전체적인 레이아웃은 갤럭시 라인업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지만 하단과 상단에 아웃도어의 느낌을 표출하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충격으로부터 보호받는 정도를 강화하기 위함인지 모르겠지만 징을 박아 놓은 부분이 눈에 띕니다.
그렇다면 갤럭시S4
액티브는 충전을 어떻게 할까 의문을 가지신 분들도 계셨을텐데, 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USB 단자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고무캡이 씌워져
있습니다. 충전할 때 고무캡을 살짝 제껴줘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덕분에 먼지도 안들어가고 방수도 되는 장점이 더 많으니 감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방수폰 갤럭시S4
액티브와 갤럭시S4 LTE-A는 비슷한 점이 많은 형제 라인업입니다. 그렇지만 확실히 두 제품의 컨셉이 다른만큼 어떤 부분이 어떻게 다른지
외형을 중점적으로 비교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갤럭시S4 액티브
갤럭시S4 LTE-A 스펙 비교
|
|
갤럭시S4
액티브
|
갤럭시S4
LTE-A
|
CPU
|
퀄컴 스냅드래곤
800
|
퀄컴 스냅드래곤
800
|
RAM
|
2GB
|
2GB
|
OS
|
안드로이드 젤리빈
4.2.2
|
안드로이드 젤리빈
4.2.2
|
DISPLAY
|
1920 * 1080
5" TFT LCD
|
1920 * 1080
5" 아몰레드
|
CAMERA
|
후면 1300만 화소
/ 전면 200만 화소
|
후면 1300만화소
/ 전면 200만 화소
|
BATTERY
|
2600mAh
|
2600mAh
|
SIZE &
WEIGHT
|
139.7 *
71.3 * 9.1mm / 147g
|
136.6 *
69.8 * 7.9mm / 131g
|
사실 갤럭시S4
액티브가 국내에서 먼저 출시하는 것은 아니고 이미 해외에서 먼저 출시되어 있기 때문에 위의 스펙표를 보시고 잘못된 정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해외보다 늦게 출시하는 만큼 당시 스펙과 동일할 필요는 없는거겠죠? CPU의 업그레이드와 후면 카메라가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물론 CPU의 업그레이드는 SK텔레콤의 LTE-A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고 봐도 되겠죠 :)
갤럭시S4 액티브와
갤럭시S4 LTE-A의 스펙표를 보고나니 거의 쌍둥이라고 할만큼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살펴보면 갤럭시S4 액티브가 살짝
더 큰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전면 상단부는 거의 똑같은 위치에 똑같은 센서와 카메라가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하단부의 디자인이 확실히 다른 모습인데, 하나의 물리버튼이 있는 갤럭시S4 LTE-A와는 다르게 세개의 버튼이 모두 물리버튼으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사용할 때 기존 스마트폰 모두 터치방식이다보니 물리버튼이 다소 낯설게 느껴지며 엉뚱한 곳을 클릭하고 있었는데, 금방
익숙해졌습니다.
후면에서는 갤럭시S4
액티브가 해외에서 8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해 출시한 것과 다르게 국내에서는 1300만 화소 카메라로 업그레이드 해서 출시했습니다. 그리고
디자인에서 특징적인 것은 무광의 패턴문양의 표면처리 였는데, 개인적으로는 유광의 번들거림보다 좋아보였고 스크래치에 보다
강했습니다.
1920 * 1080
FULL HD 해상도는 같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은 달랐습니다. 갤럭시S4 LTE-A는 모두가 아시는 것과 같이 아몰레드 LED인데 갤럭시S4
액티브는 TFT LCD를 채용했습니다. LCD에서 왜 TFT LCD를 채용했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삼성의 PLS패널을 적용시켜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FULL HD 해상도에 인치당 픽셀수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문서를 보고 읽는데 하등의 문제는 없었습니다.
오히려 생각했던 것보다
괜찮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사이드로
넘어가면 푸른 빛이 도는 화면도 그렇고 밝기가 생각했던 것만큼 밝지가 않아서 야외 시인성도 그리 좋지 않습니다.
디스플레이에서 아쉬움이
남는다고 하겠습니다.
벤치마크 성능 테스트는
안드로이드 어플 쿼드런트를 이용해 시도했습니다.
스펙표를 통해서
살펴보신 것과 같이 비슷한 사양을 가지고 있었던 만큼 벤치마크 실행 시간도 거의 비슷했고 점수도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쿼드런트 벤치마크
점수결과도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측정할 때마다 오차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두 스마트폰의 성능은 비슷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습니다.
사이드 버튼들의 위치는
똑같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디자인에 있어서는 차별화가 되었는데, 아웃도어형 제품이라는 전체 컨셉에 맞게 보다 스포티하게 디자인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버튼도 민무늬가 아닌 패턴무늬로 볼륨감을 줘서 버튼을 클릭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클릭할 수
있었습니다. 버튼이 갤럭시S4 LTE-A보다 갤럭시S4 액티브가 더 튀어 나와 있기 때문에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더 쉽게 클릭 할 수
있겠습니다.
상단부에서도 다른 점이
눈에 들어오는데 갤럭시S4 액티브에는 DMB 안테나가 빠졌습니다.
DMB가 빠졌지만
LTE-A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SK텔레콤의 T베이스볼, T바스킷볼, BTV 모바일이나 POOQ 등을 이용하시면 고화질 스트리밍 서비스로
화질이 떨어지는 DMB를 보는 것보다 몇배 더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자 이제, 마지막으로
방진, 방수를 가능하게한 흔적을 살펴볼 시간입니다. 배터리 커버 외에도 다른 곳곳에 여러 장치를 했겠지만 그것을 모두 보려면 완전분해를 해야하기
때문에 패스하고, 배터리 커버를 벗겨내어 비교함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일단 위에서 보시는
것의 왼쪽은 갤럭시S4 LTE-A 이며 오른쪽은 갤럭시S4 액티브 입니다. 일반적으로 보던 배터리 커버와 다른 점이 있다면 희안한 모양을 하고
있는 고무 씰링입니다. 이런 디자인의 이유는 배터리 주변을 살펴보면 간단하게 해답을 얻을 수 있는데요.
위와 같이 유심카드와
배터리 등 주요 설계부 주변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처리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처음 갤럭시S4
액티브의 배터리 커버를 열어보고 고무실링 처리를 위해 위치를 변경했구나 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똑같이 놓고 살펴보니 바뀐 것이 없는 걸 보고
더 신기했던 것 같습니다.
IP67 등급을 받아
갤럭시S4 액티브의 방진 방수 성능을 가늠해볼 수 있었는데, 6은 방진 테스트에서의 성능을 말하며 6점 만점이기 때문에 완벽하다 볼 수 있고
뒤에 붙은 7은 방수 테스트에서의 성능을 말하며 1미터 깊이의 수심에서 30분을 견딜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방수폰 갤럭시S4
액티브와 갤럭시S4 LTE-A 비교 후기를 통해 한 형제 라인업과 비슷한 점은 어떤 것이 있고 무엇이 다른지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동시에 어떻게 방진, 방수를 할 수 있었는지 원리도 살짝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전체적으로 살펴봤을 때 괜찮은 점수를 주고 싶은 폰이었습니다.
아웃도어형 컨셉의 느낌을 살리면서 갤럭시 라인업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그대로 가져가고 있는 모습도 좋았고, 방진, 방수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만
생각했던 것보다 그렇게 무겁지도 크기가 부담스럽지도 않았다는 점도 좋은 평가를 내릴 수 있는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갤럭시S4액티브
단점이라면 디스플레이에서 삼성 고유의 아몰레드가 아닌 TFT LCD를 채용했다는 사실인데, 인치당 픽셀수는 괜찮아 가독성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밝기나 색감에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만 물속에서의 터치는
안되지만 물속에서 물리버튼을 이용한 간단한 컨트롤 정도도 가능하며 1미터 깊이의 수심에서 30분 정도까지 견딜수 있는 능력이나, 스크래치나
충격으로부터 강한 소재와 표면처리를 했다는 점은 아웃도어를 즐기시는 분들이나 열악한 환경에서 일을 하시는 분들에게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SK텔레콤 LTE-A를 통해 최고 150Mbps 다운로드 속도로 영화나 드라마, 음악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원활하게 즐길 수
있다는 점도 좋았습니다.
방수폰 갤럭시s4
액티브와 함께 아웃도어를 즐겨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