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는, 글씨를 잘 못적는다. 그래서 레포트나 이런거 할 때에도, 타이핑을 선호하는 편이고,
레포트 역시 PC를 이용하는 편이 깔끔해서 좋다.
.
.
허나, 악필인게 자랑은 아니니까, 이걸 고치고 싶어서, 이곳 저곳 기웃거려봤는데, 딱히 마음에 드는 내용이 없더라.
예쁜 POP글씨 책이라던가, 이런거도 봐밨지만, 기본적인 글을 적는데에 도움이 된다기 보다는,
예쁘게 다이어리를 쓴다던가 할 때에 어울릴만한 내용들이기에..
그래서 나름대로 고민을 해보고, 노력을 해보려고 모은 정보들을 포스팅.
나 스스로가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거라, 해봐서 안되던데 책임지셈ㅡㅡ; 이런건 정중히 사양함요.
그래서 나름대로 고민을 해보고, 노력을 해보려고 모은 정보들을 포스팅.
나 스스로가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거라, 해봐서 안되던데 책임지셈ㅡㅡ; 이런건 정중히 사양함요.

아무튼 선택한게 이거, YES24에서 냉큼 주문했다. 손글씨 / 예쁜 손글씨 두개 다 삼;
악필탈출 일주일만에 OK. 가능할까? 싶기도 했지만, 생각보다 저렴한 가격이길래, 냉큼 사버렸고, 그 내용은,
이렇게 어떤 글씨인지 예쁘게 보여주고,
물론, 이렇게 연습하면, 아무것도 안하는 것 보다야, 나아질 듯 하지만,
좀 더 글씨를 예쁘게 꾸밀려고 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연습에 만족하겠지만..정말 악필..이라 정보전달에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뭔가 조금 부족한 것 같아서, 이리저리 알아보았다.
.
.
이건 09년에 이글루 쓸 때 쓰던 글씨. 악필이 천재긴 무슨;
.
.
글씨 교정학원이라던가, 여러 홈페이지들이 있지만, 대게 강좌들어보셈~
이라는 내용이 대부분이더라.
.
.
글씨연습책을 찼았던 이유가, 그, 받아쓰기 초등학교 때 교과중에서 <말하기·쓰기>였나,
거기에 보면 정사각형 4개로 나누어놓고 글씨 연습 시키던거, 그게 생각나서 이리저리 뒤적여봤지만,
-온라인 서점에서 구하진 못했다.-를 보면, 글씨 교정에 도움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였다.
.
.
처음부터하는 것도 좋지만, 지금 내 글씨에 뭐가 문제이가 부터 생각해보자.
.
실제로 레포트를 쓸 적에 내가 쓴 글을 PC로 옮겨서 적어보는 것과 대조해보면,
내가 손으로 적은 글씨는 우선, 삐뚤빼뚤하고, 글이 쭈욱 일직선으로 이어지지 못하더라.
그래서 이걸 보안하기 위해선,
밑줄이 그어져있는 연습장에 글쓰기 연습을 하는게 좋을 것 같다.
.
글씨를 교정하는데 있어서, 글을 적지 않고 교정하는 방법은 있을 수 없는 거겠지,
글씨를 적을 때 교정이니까, 빠르게 적지말고 한자한자 정성들여서 적어보자.
그리고 펜쥐는 법,
이미지 출저는 구글, 꼭 저렇게 쥐지않아도 상관은 없다고 보지만,
오래적으면 덜 힘든게 저방식 아닐까?
책상, 노트를 바르게 놓고 올바르게 적는 습관을 기르는게 좋을 듯 하다.
일본어든, 영어든, 매일매일 일기장이든, 용돈 기입장이든, 시를 적든, 저렇게 밑 줄 그어진
노트에다가 글을 적자. 가능하면 A4크기에 끝까지 열을 맞춰서 쓰는 연습을 하면, 긴글을
가지런하게 쓰는데도 도움이 될 듯하고, 처음 맞추기가 힘들면,
처음을 맞추어서 쓰는것도 연습해보자.
.
.
그리고 한글은 조합하는 글자니까, 폰트제작시에도 한글 조합형, 완성형이 있듯이,
이 조합의 비율을 얼마나 예쁘게 하느냐가 예쁜 글씨의 특징이겠지.
근데 이게 생각보다 복잡했던 기억이 난다.
왜 미농지 덮어서 글씨 연습하고 그랬었는데..
.
.
(참, 나에는 샤프로 글씨 쓰는것 보다 볼펜으로 쓸 때에 더 힘들더라고.
그래서 정말 자기 글씨가 알아보기 힘든 정도라면, 볼펜보다는 샤프, 샤프보다 연필을 추천.
샤프를 선호한다면 부드럽고 진한 B심보다는 딱딱한 H심을 추천.)
.
.
그리고 나에도 글을 잘 쓰는건 아니지만, 필자의 글씨를 예를 들어 보자면...
[안녕]이라는 글자만 보면, 아 와 받침 ㄴ 의 크기, 위치에 따라 글의 느낌이 확 달라지니까,
아의 [ㅇ] 의 가운데, [ㅏ]는 크기를 [ㅇ]과 같게 하거나, 조금 작게, [ㅏ]에서 [-]도 [ㅑ]의 한가운데서 시작하느냐
조금 위에냐 조금 아래냐, 받침 [ㄴ]도 조금 올리느냐 붙이느냐, [아]의 [ㅇ]도 그냥 동그랗게 하느냐,
조금 계란처럼 하느냐, 약간 삐뚤하게 하느냐. 에 따라 느낌이 다 달라진다.
나에는 받침은 자음의 가운데쯤과 모음의 위치에 오게끔 적는편이다만, 마음에 안들면 크게 적어도 무방.
..
근데 굴림체를 보면 [안] 자와 [김]자는 받침이 굉장히 크다..
안 김
.
.
그쵸?;
여러 글자체의 [안]자 모양.
.
.
그리고 [우]를 비교해보면, 우에서 ㅇ 을 옆으로 퍼지게 적느냐, 그냥 동그랗게 적느냐,
ㅜ의 ㅡ를 길게 빼느냐 안빼느냐 차이에서 글씨의 느낌이 달라진다.
나에는 ㅇ은 약간 삐둘게, ㅜ는 초성보다 조금 길게 적는편.
여러 글자체들의 [우]자 모양.
..
이렇게, 가지런하게 쓰는연습과 같이 하면 좋을 것 같은게,
요기서 피오나는 마비노기 영웅전의 피오나[..]
[ㅍ] 과 [ㅣ] 사이의 공간, [피] 와 [오]의 공간, [ㅍ]의 획의 위치가
글씨의 느낌을 결정하기도 하기도 한다.
.
.
우선, PC로 레포트를 작성후에 글을 보면 읽기가 편한건, 글자의 크기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글자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는다면, 글읽기에 불편하겠지.
아, 물론 글의 강조를 위해 글자 크기를 다르게 할 수는 있지만,
이렇게 적어놓으면 솔직히 알아보기 힘들잖아.
..
웹에서 표시하는건 글자마다 크기를 달리하는 거지만, 글씨를 쓸 때엔 자음 모음 받침 전부 크기가 다를수도 있다.
...간단하다, 연습밖엔 답이 없다.
추천하는 방법은 원고지를 사서, 거기에 대고 연습을 하자.
아니면 국민 프로그램 한글에서(2010 이벤트로 4000원정도에 구매;) 제공하는 원고지를 뽑아서, 연습하자.
뭐든지 투자없이, 노력없이 쉽게 얻어지지 않으니까.
새문서 - 문서마당 단축키 Ctrl+Alt+N
문서마당 꾸러미 - 원고지 문서 - 400자 원고지선택해서 출력해서 뽑아서 연습하자.
처음에는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는게 목표니까, 원고지 가득히 글을 쓰는게 좋을 것 같다.
조금 더 익숙해지면 따라하고픈 글씨체로 타이핑 후에 그 위에 덮어쓰는 방식으로 연습해보자.
....
글자크기가 다르면 읽기에 별로다.
글을 쓸적에 ㄹ을 ㄱ+ㄴ 처럼 모든 획을 다 적는것처럼 연습하게끔, 큰 글씨로 연습하는것을 추천.
큰글씨에 익숙해지면, 평소적는 크기로 연습하자.
그리고!
아니거든 시리즈를 보면, 마지막 두 아니거든은, 세로획과 가로획이 바르지 못하다.
일딴 가로획과 세로획은 바르게 그어주자. 그리고 받침없는 모음의 크기는 똑같게 하자.
[가각간갇갈갏나난낙낛다닥닧]
굴림체를 보아도, 받침없는 모음의 크기는 동일, 받침이 있는 모음의 크기도 동일하다.
더불의 자음의 위치도 비슷. [가나다라마바사]
[우루구루수루부주두]
[옹왕윙읭] ㅇ의 크기도 조금씩은 다르지만 받침은 동일.
....
[나눔고딕]의 자음, 모음, 심지어 [ㅋ],[ㅃ]의 획사이의 틈도 동일하다.
가나다라...를 보면 [ㅏ]의 [-]의 위치도 전부 가지런하게 동일하다.
저렇게 똑같은면 제일 좋겠지만, 삐뚤빼둘하게 쓰기보단,
글자크기를 동일하게 하고, 자음의 크기를 맞추고,
중심을 잡아서 그것도 동일하게 위치시키면 좀 더 글씨가 예뻐지지 않을까 한다.
이렇게,
자신이 마음에 드는 글자를 모방해서 따라해보는게 좋을것 같다. 위의 <한글 손글씨 쓰기> 책의 내용과 비슷하다.
나에는 나눔고딕이라는 글꼴(http://hangeul.naver.com/index.nhn)을 참고하려고 하는중.
동글동글한 손글씨도 예쁘지만, 주구장창 길게 글을 적어 놓으면, 굴림체, 고딕체, 이런것 만큼 괜찮은 글꼴이 없더라고.
나눔폰트 개발저버젼의 개발노트 내역을 보면, { http://dev.naver.com/news/detail.php?news_id=176 }
자간과, 넓이, 줄간격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것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
나에의 글씨는 작고,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솔직히 읽는 사람이 힘들다고 생각한다.
이것 역시 고쳐야 할 점. 반대로 자신은 단어사이의 간격이 띄워쓰기만큼 크다면, 그걸 고쳐야겠죠?
적절한 글씨크기와 자간, 줄간격이 가독성을 높이니까요.
.
요약하면, 단정한 글자(고딕,궁서,굴림등)을 골라서(자음, 모음의 크기가 같음), 마음에 드는 글씨의 특징
(동그라미가 타원이 아니라 비스듬하다던가, ㅏ,ㅑ의 -부분이 아래로 조금 내려온다던가, ㄱ,ㄴ,ㄷ이 조금 둥글다던가)
를 적용해가면 될 듯 하다.
참고로, 아까의 [문서마당 꾸러미]에서, 글씨 쓰기 문서 - 한글쓰기 시리즈를 선택하면,
이렇게 착실하게 모눈종이까지 있는 페이지가 나온다.
이걸 보고, 낳을 예쁘게 쓰려면, [ㄴ], [ㅏ], [ㅎ]이 어떻게 위치하면 좋을지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다.
기본적인 비율을 알게 되면, 나머지는 쓰다보면 저절로 어울리게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음 + 모음 + 받침의 조합이니까, 대충 나눠서 받침이 두개면 자음 조금 작게 적고 받침 절반씩 나눠적는등.
아래와 같이 정리해서 연습을 하면 좀 더 편하겠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글씨체로 적어보는걸 추천.
(위의 문서에서 글씨체만 바꾸면 되니까)
악필탈출 일주일만에 OK. 가능할까? 싶기도 했지만, 생각보다 저렴한 가격이길래, 냉큼 사버렸고, 그 내용은,


각각의 글씨를 따라 적을 수 있게 연습,

..
PC의 예쁜 폰트를 하나하나씩 해체해서, 몇번 따라 쓰기를 제공하는 방식이더라.물론, 이렇게 연습하면, 아무것도 안하는 것 보다야, 나아질 듯 하지만,
좀 더 글씨를 예쁘게 꾸밀려고 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연습에 만족하겠지만..정말 악필..이라 정보전달에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뭔가 조금 부족한 것 같아서, 이리저리 알아보았다.
.
.

.
.
글씨 교정학원이라던가, 여러 홈페이지들이 있지만, 대게 강좌들어보셈~
이라는 내용이 대부분이더라.
.
.
글씨연습책을 찼았던 이유가, 그, 받아쓰기 초등학교 때 교과중에서 <말하기·쓰기>였나,
거기에 보면 정사각형 4개로 나누어놓고 글씨 연습 시키던거, 그게 생각나서 이리저리 뒤적여봤지만,
-온라인 서점에서 구하진 못했다.-를 보면, 글씨 교정에 도움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였다.
.
.
처음부터하는 것도 좋지만, 지금 내 글씨에 뭐가 문제이가 부터 생각해보자.
.
실제로 레포트를 쓸 적에 내가 쓴 글을 PC로 옮겨서 적어보는 것과 대조해보면,
내가 손으로 적은 글씨는 우선, 삐뚤빼뚤하고, 글이 쭈욱 일직선으로 이어지지 못하더라.
그래서 이걸 보안하기 위해선,
밑줄이 그어져있는 연습장에 글쓰기 연습을 하는게 좋을 것 같다.
.

글씨를 적을 때 교정이니까, 빠르게 적지말고 한자한자 정성들여서 적어보자.
그리고 펜쥐는 법,

오래적으면 덜 힘든게 저방식 아닐까?
책상, 노트를 바르게 놓고 올바르게 적는 습관을 기르는게 좋을 듯 하다.
일본어든, 영어든, 매일매일 일기장이든, 용돈 기입장이든, 시를 적든, 저렇게 밑 줄 그어진
노트에다가 글을 적자. 가능하면 A4크기에 끝까지 열을 맞춰서 쓰는 연습을 하면, 긴글을
가지런하게 쓰는데도 도움이 될 듯하고, 처음 맞추기가 힘들면,
처음을 맞추어서 쓰는것도 연습해보자.
.
.
그리고 한글은 조합하는 글자니까, 폰트제작시에도 한글 조합형, 완성형이 있듯이,
이 조합의 비율을 얼마나 예쁘게 하느냐가 예쁜 글씨의 특징이겠지.
근데 이게 생각보다 복잡했던 기억이 난다.
왜 미농지 덮어서 글씨 연습하고 그랬었는데..
.
.
(참, 나에는 샤프로 글씨 쓰는것 보다 볼펜으로 쓸 때에 더 힘들더라고.
그래서 정말 자기 글씨가 알아보기 힘든 정도라면, 볼펜보다는 샤프, 샤프보다 연필을 추천.
샤프를 선호한다면 부드럽고 진한 B심보다는 딱딱한 H심을 추천.)
.
.
그리고 나에도 글을 잘 쓰는건 아니지만, 필자의 글씨를 예를 들어 보자면...

아의 [ㅇ] 의 가운데, [ㅏ]는 크기를 [ㅇ]과 같게 하거나, 조금 작게, [ㅏ]에서 [-]도 [ㅑ]의 한가운데서 시작하느냐
조금 위에냐 조금 아래냐, 받침 [ㄴ]도 조금 올리느냐 붙이느냐, [아]의 [ㅇ]도 그냥 동그랗게 하느냐,
조금 계란처럼 하느냐, 약간 삐뚤하게 하느냐. 에 따라 느낌이 다 달라진다.
나에는 받침은 자음의 가운데쯤과 모음의 위치에 오게끔 적는편이다만, 마음에 안들면 크게 적어도 무방.
..
근데 굴림체를 보면 [안] 자와 [김]자는 받침이 굉장히 크다..
안 김
.
.
그쵸?;

.
.
그리고 [우]를 비교해보면, 우에서 ㅇ 을 옆으로 퍼지게 적느냐, 그냥 동그랗게 적느냐,
ㅜ의 ㅡ를 길게 빼느냐 안빼느냐 차이에서 글씨의 느낌이 달라진다.
나에는 ㅇ은 약간 삐둘게, ㅜ는 초성보다 조금 길게 적는편.

..
이렇게, 가지런하게 쓰는연습과 같이 하면 좋을 것 같은게,

[ㅍ] 과 [ㅣ] 사이의 공간, [피] 와 [오]의 공간, [ㅍ]의 획의 위치가
글씨의 느낌을 결정하기도 하기도 한다.
.
.
우선, PC로 레포트를 작성후에 글을 보면 읽기가 편한건, 글자의 크기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글자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는다면, 글읽기에 불편하겠지.
아, 물론 글의 강조를 위해 글자 크기를 다르게 할 수는 있지만,
이렇게 적어놓으면 솔직히 알아보기 힘들잖아.
..
의미의 강조를 위해 글자의 크기를 바꾼다. |
의미의 강조를 위해 글자의 크기를 바꾼다. |
...간단하다, 연습밖엔 답이 없다.
추천하는 방법은 원고지를 사서, 거기에 대고 연습을 하자.
아니면 국민 프로그램 한글에서(2010 이벤트로 4000원정도에 구매;) 제공하는 원고지를 뽑아서, 연습하자.
뭐든지 투자없이, 노력없이 쉽게 얻어지지 않으니까.


처음에는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는게 목표니까, 원고지 가득히 글을 쓰는게 좋을 것 같다.

....

글을 쓸적에 ㄹ을 ㄱ+ㄴ 처럼 모든 획을 다 적는것처럼 연습하게끔, 큰 글씨로 연습하는것을 추천.
큰글씨에 익숙해지면, 평소적는 크기로 연습하자.

아니거든 시리즈를 보면, 마지막 두 아니거든은, 세로획과 가로획이 바르지 못하다.
일딴 가로획과 세로획은 바르게 그어주자. 그리고 받침없는 모음의 크기는 똑같게 하자.
[가각간갇갈갏나난낙낛다닥닧]
굴림체를 보아도, 받침없는 모음의 크기는 동일, 받침이 있는 모음의 크기도 동일하다.
더불의 자음의 위치도 비슷. [가나다라마바사]
[우루구루수루부주두]
[옹왕윙읭] ㅇ의 크기도 조금씩은 다르지만 받침은 동일.
....

가나다라...를 보면 [ㅏ]의 [-]의 위치도 전부 가지런하게 동일하다.
저렇게 똑같은면 제일 좋겠지만, 삐뚤빼둘하게 쓰기보단,
글자크기를 동일하게 하고, 자음의 크기를 맞추고,
중심을 잡아서 그것도 동일하게 위치시키면 좀 더 글씨가 예뻐지지 않을까 한다.

자신이 마음에 드는 글자를 모방해서 따라해보는게 좋을것 같다. 위의 <한글 손글씨 쓰기> 책의 내용과 비슷하다.
나에는 나눔고딕이라는 글꼴(http://hangeul.naver.com/index.nhn)을 참고하려고 하는중.
동글동글한 손글씨도 예쁘지만, 주구장창 길게 글을 적어 놓으면, 굴림체, 고딕체, 이런것 만큼 괜찮은 글꼴이 없더라고.
나눔폰트 개발저버젼의 개발노트 내역을 보면, { http://dev.naver.com/news/detail.php?news_id=176 }
자간과, 넓이, 줄간격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것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나에의 글씨는 작고,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솔직히 읽는 사람이 힘들다고 생각한다.
이것 역시 고쳐야 할 점. 반대로 자신은 단어사이의 간격이 띄워쓰기만큼 크다면, 그걸 고쳐야겠죠?
적절한 글씨크기와 자간, 줄간격이 가독성을 높이니까요.
.
요약하면, 단정한 글자(고딕,궁서,굴림등)을 골라서(자음, 모음의 크기가 같음), 마음에 드는 글씨의 특징
(동그라미가 타원이 아니라 비스듬하다던가, ㅏ,ㅑ의 -부분이 아래로 조금 내려온다던가, ㄱ,ㄴ,ㄷ이 조금 둥글다던가)
를 적용해가면 될 듯 하다.


이걸 보고, 낳을 예쁘게 쓰려면, [ㄴ], [ㅏ], [ㅎ]이 어떻게 위치하면 좋을지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다.
기본적인 비율을 알게 되면, 나머지는 쓰다보면 저절로 어울리게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음 + 모음 + 받침의 조합이니까, 대충 나눠서 받침이 두개면 자음 조금 작게 적고 받침 절반씩 나눠적는등.
아래와 같이 정리해서 연습을 하면 좀 더 편하겠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글씨체로 적어보는걸 추천.
(위의 문서에서 글씨체만 바꾸면 되니까)
- 자음 + ㅏ ㅑ ㅓ ㅕ ㅣ ㅔ ㅖ ㅐ ㅒ...조합 ( 가나갸냐...계 게..)
- 자음 + ㅗ ㅛ ㅜ ㅠ ㅡ ㅣ 조합 (구규누뉴...)
- 자음 + ㅏㅑㅓㅕㅣ + 받침 (각갃각낙난낧닳...)
- 자음 +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 받침 (국군눅눈...)
- 자음 + 모음두개 ㅝ,ㅘ,...ㅟ... (궈눠둬뤄훠...와과위...)
- 자음 + 모음두개 + 받침 (귁왕읭끵..)
.
.
단순히 한자 두자 적는것이 아닌, 정보를 위한 필기, 메모를 하는데에는, 글씨 뿐만 아니라, 그림. 기호도 역활이 크다.
특히 레포트라면 더욱 더, 올바른 띄워쓰기 연습과, 문법을 학습하여 글을 적는 연습이 필요하겠다.
.
.
근데 이거 다 쓰고 YES24에서 악필 로 검색하니까, 교정관련 서적이 나온다. 애초에 예쁜 글씨가 아니라,
악필교정으로 책을 검색했다면, 좀 더 내가 원하는 책을 얻을 수 있었을텐데..라는 안타까운 마음이 뭉개뭉개 솟아난다.
다음에 사봐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