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응용 프로그래밍
2016.02.06 01:39

[SVN] Subversion 명령들

조회 수 9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ubversion 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명령들을 알아보자.  IDE (통합 개발환경)을 사용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지만 커맨드 사용법을 알아두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커맨드를 직접 사용해 보면 내부동작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화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도움이 된다.  
(소스관리 프로젝트를 위해 svn 명령을 사용할 경우와 svn 자바 라이브러리를 다룰 때도 도움이 된다. )

다음과 같은 순서로 Subversion 사용방법을 알아보겠다. 

1 저장소 생성
2 프로젝트 생성
3 프로젝트 저장소에 임포트(import)
4 작업본(working copy)  내려받기(checkout) 
5 woking copy에 파일 추가(add)
6 로컬 수정사항 커밋(commit)
7 저장소 변경사항 업데이트 받기 (update) 
8 브랜치/태그 (저장소 파일 복사/이동)
9 저장소 파일 삭제 
10 working copy 정보 보기




 

1. 저장소(Repository) 생성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저장소를 생성하는 작업이다. 저장소 생성에 관련된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svnadmin create --fs-type fsfs  MyRepository





2.  프로젝트 생성
이제 저장소에서 관리할 프로젝트를 위한 최초 디렉토리 구조를 로컬상에 생성한다. 
다음과 같은 구조로 "문서관리 시스템"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하였다. 
 

dms_프로젝트_구조.png

 






3. 프로젝트 저장소에 임포트(import) 
이제 로컬에 생성한 프로젝트를 저장소로 옮기자. 이 작업은 공유를 위한 프로젝트 최초 기본파일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아래 명령으로 로컬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소로 복사한다. 
 
 svn import  -m "First DMS Project Import"  ./dms
저장소에 프로젝트 파일들이 옮겨졌기 때문에, 로컬 상에 있는 프로젝트 파일들을 삭제하자. 
이제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이 모든 공유 문서들의 원본이 되고, 변경이 추가될 때마다 그 이력이 버전별로 관리가 된다. 




4. 작업본(working copy) 내려받기(checkout)
여러 사람이 저장소에 접근하여 산출물을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 파일들을 
로컬상에 먼저 내려 받아보자.  로컬상에 자신이 다루게 되는 프로젝트 파일들을 작업본(working copy) 이라고 한다. 
작업본 내 모든 디렉토리에는 숨김파일 .subversion 이 생성되며 디렉토리 내 파일들의 목록과 수정사항들이 관리된다. 

 

svn checkout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trunk dms 

 

※ svn 명령들은 -r (revision) 옵션을 주어 아래와 같이 특정 리비전의 파일들을 다운 받을 수 있다. 
svn checkout -r  7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trunk dms




 

5. 작업본에 파일 추가 (add) 
내려받은 작업본을 기반으로 자신이 담당한 모듈을 개발해 나가면 된다.  
새로운 파일을 작업본에 추가하고 싶은 경우,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는 것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작업본 파일목록에 명시적으로 새로 생성한 파일을 번영해 주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한다. 
svn add build.xml




6. 로컬 변경사항 커밋 (commit)
작업본에 대한 모든 수정사항은 커밋을 해야 저장소에 반영이 된다.  파일 하나하나를 수정할 때마다 
커밋을 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에러가 발생하는 파일들을 저장소에 반영하면 업데이트를 받은 다른 팀웍들의
작업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되도록이면 명확한 단위작업별로 구분하여 완전히 동작하는 수정사항만을 커밋하는
것이 좋다.  커밋을 할 때마다 -m 옵션으로 변경사항에 대한 메시지를 반드시 달아주어 변경에 대한 정보를 알수있게 하자
svn commit -m "Added build.xml ant file"




7 저장소 변경사항 업데이트 받기 (update) 
작업본 checkout 이후부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저장소 최신 변경사항을 update 받아 작업본을 최신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저장소와 작업본 사이에 버전 차이가 커질 수록 나중에 commit이 충돌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명령으로 저장송 변경사항을 작업본에 최신화시킨다. 
svn update




8 브랜치(branch)와 태그(tag) 
특정시점의 문서버전(예를 들어 1차 개발버전과 같은...)에 대한 복사본을 남겨두고 싶을 때 브랜치를  사용한다. 
브랜치를 사용하면 복사본이 생성되고,  이후 수정작업들은 다시 작업본에 계손 수정되어 나간다.   branch는 가지라는 뜻으로
현재 작업버전에 대해 분기점이 되는 버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태그는  브랜치와 비슷한 의미를 갖지만, 분기되어 
완전히 작업이 완료된 버전(첫번째 릴리지 버전과 같은...)이며  이름표를 달아서 알아보기 쉽게 표시를 한다. 
svn에서 브랜치와 태그를 생성하는 명령은 copy 로 동일하다.  태그 생성시는 t 옵션을 주어 이름표를 달아준다.

브랜치 생성 
 
svn mkdir -m "Create branch directory"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branches
 

svn copy -m "Creating release branch for 1.0"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trunk  \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branches/RB-1.0
 


태그 생성 
 
 svn mkdir -m "Create branch directory"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tags
 
svn copy -m "Tag release 1.0.0"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branches/RB-1.0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tags/REL-1.0.0
 




9. 저장소 파일 삭제 (delete)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 파일 삭제후 update 를 수행하면 작업본에도 반영이 된다. 
 
svn delete -m  "Remove branch 1.0" svn://repository_ip_address/MyRepository/branches/RB-1.0 




10. working copy 정보보기 
다음명령으로 작업본 리비전 정보와 저장소 루트, 최신 수정일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vn info 
 

svn_info.png

 

 

출처 : http://hiddenviewer.tistory.com/94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562
41 응용 프로그래밍 WIndows Application의 실행 속도 측정 file JaeSoo 2023.09.06 3185
40 응용 프로그래밍 [Apple] 엔터프라이즈 계정신청 (Enterprise Program) file JaeSoo 2023.03.27 267
39 응용 프로그래밍 [MSA] MSA란 무엇인가? 개념 이해하기 file JaeSoo 2023.01.26 210
38 응용 프로그래밍 메모리 영역 (code, data, stack, heap) file JaeSoo 2016.03.23 744
» 응용 프로그래밍 [SVN] Subversion 명령들 file JaeSoo 2016.02.06 966
36 응용 프로그래밍 IBM JDK 1.6 에서 Spring 2.5.2를 사용할 때 GenericTypeResolver 에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는 문제 JaeSoo 2016.01.27 785
35 응용 프로그래밍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톰캣(Tomcat) 설치하기 file JaeSoo 2016.01.02 533
34 응용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격언 JaeSoo 2015.03.04 397
33 응용 프로그래밍 새로운 것을 배워야 좋은 프로그래머인가요? JaeSoo 2015.02.13 318
32 응용 프로그래밍 개발자&웹퍼블리셔 운영서버 배포관리는 어떻게 하시고 계신가요? file JaeSoo 2014.05.15 1287
31 응용 프로그래밍 버전관리 - 형상관리, 소스세이프, CVS, Subversion(SVN), GIT, mercurial(hg), Perforce JaeSoo 2014.05.15 1755
30 응용 프로그래밍 빌드를 자동화하라 (Automate the Build) JaeSoo 2014.05.15 1128
29 응용 프로그래밍 단일화된 소스 저장소를 유지하라. (Maintain a Single Source Repository.) JaeSoo 2014.05.15 1417
28 응용 프로그래밍 지속적인 통합으로 피처요구사항 빌드하기 (Building a Feature with Continuous Integration) JaeSoo 2014.05.15 1309
27 응용 프로그래밍 지속적인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 file JaeSoo 2014.05.15 1176
26 응용 프로그래밍 변경관리/형상관리/빌드배포 자동화 연동 시 주요 이슈 JaeSoo 2014.05.15 1218
25 응용 프로그래밍 형상관리의 기능 범주 file JaeSoo 2014.05.15 1313
24 응용 프로그래밍 Conversion Struts to Spring MVC JaeSoo 2014.05.09 1251
23 응용 프로그래밍 Spring 3.1 Overview JaeSoo 2014.05.09 1146
22 응용 프로그래밍 Spring MVC 에서 ContentNegotiatingViewResolver를 이용한 단일 RequestMapping 으로 Muilti-View 처리하기 file JaeSoo 2014.05.09 168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