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versal Design의 원칙 |
 |
원칙 1: 동등한 사용 (equitable use) |
|
 |
디자인은 서로 다른 능력을 갖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유용하고 구매가치가 있도록 해야 한다. |
|
 |
Guideline |
|
|
- 모든 사용자들에게 같은 사용 방법을 제공하라. 가능한 언제나 동일하게, 그렇지 못할 때는 그에 상응하게. |
|
|
- 어떤 사용자든지 차별하지 않도록 하라. |
|
|
-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위한 규정은 모든 사용자들에게 동등하게 적용되어져야 한다. |
|
|
- 모든 사용자들에게 마음이 끌리도록 디자인하라. |
 |
원칙 2: 사용상의 융통성 (flexibility in use) |
|
 |
디자인은 광범위한 각 개인의 선호도와 능력에 부합해야 한다. |
|
 |
Guideline |
|
|
- 사용방법의 선택권을 제공한다. |
|
|
- 왼손-오른손 잡이의 접근과 사용을 위한 방법을 도모하라. |
|
|
- 사용자의 정확성과 정밀도를 용이하게 하라. |
|
|
- 사용자의 보조를 맞출 수 있도록 하라. |
 |
원칙 3: 손쉬운 이용 (simple and intuitive use) |
|
 |
디자인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경험, 지식, 언어 기술, 집중력 등에 구애되지 않고 이해하기 쉬어야 한다. |
|
 |
Guideline |
|
|
- 불필요한 복잡함을 제거하라. |
|
|
- 사용자의 기대와 직관력에 일치되게 디자인하라. |
|
|
- 광범위한 문자와 언어 기술에 부합되도록 하라. |
|
|
- 중요도에 일치하도록 정보를 정리하라. |
|
|
- 작업이 완료된 후나 그 진행 중에라도 실질적인 응답과 반응을 제공하라. |
 |
원칙 4: 지각할 수 있는 정보 (perceptible information) |
|
 |
디자인은 사용자들의 지각 능력이나 주위의 조건에 구애되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 시켜주어야 한다. |
|
 |
Guideline |
|
|
- 필수적인 정보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모드(그림, 언어, 촉감 등)를 사용하라. |
|
|
- 필수적인 정보와 주변 정보와의 적절한 비교를 제공하라. |
|
|
- 필수적인 정보는 최대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라. |
|
|
- 묘사될 수 있는 여러 방법으로 그 요소를 구별하라(즉, 지시하거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을 쉽게 하라). |
|
|
- 감각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구나 기술들에 호환성을 제공하라. |
 |
원칙 5: 안정성 (tolerance for error) |
|
 |
디자인은 고려하지않았거나 우연히 한 행동에 의한 역효과와 위험을 최소화한다. |
|
 |
Guideline |
|
|
- 위험과 실수를 최소화하도록 요소를 배열하라. |
|
|
(대부분 이미 사용된 요소, 접근 가능한 것으로 하되, 위험한 요소는 제거하고, 분리시키고, 막아 놓을 것) |
|
|
- 위험하거나 실수를 유발시키는 것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라. |
|
|
- 안전성이 실패할 것(fail-safe)을 대비하라. |
|
|
- 주의를 요하는 일에서 무의식적인 행동을 못하도록 하라. |
 |
원칙 6: 힘들지 않은 조작 (low physical effort) |
|
 |
디자인은 피로를 최소화하고, 좀더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 |
|
 |
Guideline |
|
|
-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라. |
|
|
- 합리적으로 작동하는 힘(reasonable operating forces)을 사용하라. |
|
|
- 되풀이되는 동작을 최소화하라. |
|
|
-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동작을 최소화하라. |
 |
원칙 7: 적당한 크기와 공간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
|
 |
사용자들의 체형이나 자세 그리고 기동성(mobility)에 관계없이 접근하고, 닿고,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
|
|
적절한 사이즈와 공간이 제공 되어야 한다. |
|
 |
Guideline |
|
|
- 중요한 요소들은 앉아있는 사용자나 서있는 사용자 모두에게 확실하게 보이도록 하라. |
|
|
- 모든 물건이 앉아있는 사용자나 서있는 사용자들 전부에게 편하게 닿을 수 있도록 하라. |
|
|
- 손이나 손잡이의 크기에서 변동(variations)을 고려하라. |
|
|
- 보조장치나 보조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적절한 공간을 제공하라. |
|
|
- 모든 사용자들에게 마음이 끌리도록 디자인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