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ternet의 개념 |
X-Internet이란 executable & extended Internet을 줄인 표현으로써, XML을 기반으로 하며 Web 아키텍처와 Client/Server 아키텍처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장점만을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인터넷 아키텍처를 의미한다. |
![]() | ||
![]() |
||
![]() |
실행 가능한 인터넷(executable Internet) X-Internet은 Smart Client(엔진 및 각종 Component)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인텔리전트하게 표현해내는 인터넷 시스템이다. 즉, 인터넷을 기반으로 Smart Client를 통해 C/S와 같은 Rich UI 어플리케이션을 browsing해내는 어플리케이션 환경을 의미한다. | |
![]() |
||
![]() | ||
![]() |
||
![]() |
확장된 인터넷(extended Internet) Smart Client가 Web 브라우저, 4GL Tool, 독립모듈 등의 다양한 개발 및 운용환경을 지원하고 기존 S/W Component나 각종 외부 장비들과의 스마트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 시스템과 손쉽게 연동할 수 있고 Windows, WinCE, Palm, Embedded Linux 등의 Multi-OS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외부 환경과의 다이나믹한 연동이 가능한 확장형 인터넷 시스템이다. | |
![]() |
||
![]() | ||
![]() |
![]() |
![]() | ||||||||
C/S(Client/Server) 아키텍처는 개발, 배포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많은 약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어플리케이션의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가장 진보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직까지도 S/W 아케텍처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반면 Web은 '브라우징(browsing)'이라는 막강한 개념과 편의성을 무기로 급격히 그 세를 확장시켜 왔으나 Document가 아닌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그 기능성이 C/S에 비하여 훨씬 취약하다는 단점을 표출함으로써 기업의 업무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
![]() | ||||||||
물론 이 과정에서 Web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있어 왔고, 그 첫번째로 등장한 것이 컴포넌트 기반의 확장형웹(Extended Web)이다. 즉 웹브라우저의 기능적인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종 S/W 컴포넌트를 통해 웹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시도들이 많이 등장하였으나, 기본적으로 웹 브라우저의 한계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데다가 HTML 구조를 탈피하지 못함으로써 C/S 어플리케이션에 비해서는 여전히 상당한 취약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Web과 C/S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장점만을 취하기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로서 X-Internet이 등장하였으며, 빠른 속도로 기존의 웹 어플리케이션과 C/S 어플리케이션을 대체해가고 있다. | ||||||||
![]() | ||||||||
결국 X-Internet은 먼저 새로운 아키텍처가 등장하여 이를 기업에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이미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Web과 C/S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한 아키텍처라 할 수 있다.
|
출처 : http://www.ebm.co.kr/product/miplatform/miplatform-challenge.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