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포럼에서 본 글을 번역/정리하면서 다시 작성한 글입니다.
이 작업이 왜 필요한가?
일반적인 XP 시디로는 USB 장치에 설치가 불가능하다.
BIOS에서는 해당 장치를 인식하지만, 설치 시스템이 인식하지 못하는 구조랄까.
어떻게 해야 하는가?
USB관련 드라이버들을 Boot Bus Extender로 설정하게 조작을 해주면 된다.
즉, XP CD를 수정하면 된다.
방법을 알려달라!
한국어 XP CD에 맞추어 작성되었다.
우선 이 작업을 하기위해 필요한 준비물들은 다음과 같다.
* WIndows XP CD 혹은 CD 이미지 (수정, 정품 상관없음)
* Microsoft CAB SDK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platformsdk/cab/2.0/w98nt42kmexp/en-us/Cabsdk.exe
* CD이미지를 구울 장치. CD영역도 된다.
* USB 장치. 그래도 하드디스크를 추천한다.
* UltraISO 같은 ISO 편집기.
1. XP를 설치할 USB장치를 포맷하는 것을 추천한다. 가급적 NTFS로.
2. XP CD를 가지고 있다면 이미지로 만들어놓는다. 나중에 CD로 구울라면, iso로 작업하는 것이 좋기 때문.
3. CD이미지에서 다음 파일들을 추출한다. (Root\I386)
DOSNET.INF
TXTSETUP.SIF
USB.IN_
USBPORT.IN_
USBSTOR.IN_
4. Cabsdk를 이용하여 IN_ 파일의 압축을 푼다. cabarc x USB.IN_ 와 같은 방법으로 USB.IN_의 압축을 풀 수 있으며,
압축을 푼 결과는 cabarc.exe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된다. 즉 Cabsdk를 C:\cab 에 풀었다면
cabarc.exe는 C:\cab\cabarc.exe에 있는 것이며, USB.INF는 C:\cab\에 있는 것이다.
5. 그러면 USB.INF, USBPORT.INF, USBSTOR.INF 파일이 생긴다. IN_ 파일들은 전부 지우자.
6. TXTSETUP.SIF를 연다. 여기부터 말하는 ... 를 찾아서는 전부 맨 위부터 검색해서 첫번째 나오는 것을 뜻한다. 즉 맨 위부터 Ctrl+F 를 해야 함.
[InputDevicesSupport.Load] 를 찾아서
usbehci = usbehci.sys
usbohci = usbohci.sys
usbuhci = usbuhci.sys
usbhub = usbhub.sys
usbstor = usbstor.sys
를 지우고
다시 [BootBusExtenders.Load] 를 찾아서
usbehci = usbehci.sys
usbohci = usbohci.sys
usbuhci = usbuhci.sys
usbhub = usbhub.sys
usbstor = usbstor.sys
를 추가해준다.
[InputDevicesSupport] 를 찾아서
usbehci = "Enhanced Host Controller",files.usbehci,usbehci
usbohci = "Open Host Controller",files.usbohci,usbohci
usbuhci = "Universal Host Controller",files.usbuhci,usbuhci
usbhub = "Generic USB Hub Driver",files.usbhub,usbhub
usbstor = "USB Storage Class Driver",files.usbstor,usbstor
를 지우고
[BootBusExtenders] 를 찾아서
위에서 지운 내용들을 그대로 추가해준다.
[HiveInfs.Fresh] 를 찾아서
AddReg = usbboot.inf,usbservices
를 추가한다.
[usbservices]
[SourceDisksFiles] 를 찾아서 맨 윗줄에
usbboot.inf = 1,,,,,,_x,3,,3
를 추가한다.
이제 TXTSETUP.SIF를 저장한다.
7. DOSNET.INF를 연다.
두번째 [Files] 섹션을 찾아서
d1,usbboot.inf 를 추가한다.
저장한다.
8. USB.INF를 연다.
[StandardHub.AddService] 를 찾아
StartType = 0 으로 변경
LoadOrderGroup = Boot Bus Extender 을 추가한다.
[CommonClassParent.AddService] 를 찾아
같은 방법으로 한다.
9. USBPORT.INF를 연다.
[EHCI.AddService] 를 찾아
StartType = 0 으로 변경
LoadOrderGroup = Boot Bus Extender 을 추가한다.
[OHCI.AddService] 와
[UHCI.AddService]
[ROOTHUB.AddService]
에도 같은 방식으로 한다.
10. USBSTOR.INF를 연다.
[USBSTOR.AddService] 를 찾아
DisplayName = %USBSTOR.SvcDesc%
ServiceType = 1
StartType = 0
Tag = 3
ErrorControl = 1
ServiceBinary = %12%\USBSTOR.SYS
LoadOrderGroup = Boot Bus Extender
로 수정/추가 한다.
11. USBBOOT.INF를 생성한다.
다음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다.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DisplayName",0x00000000,"USB Mass Storage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STOR.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DisplayName",0x00000000,"USB 2.0 Enhanced Host Controller Miniport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ehci.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DisplayName",0x00000000,"USB2 Enabled Hub"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hub.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DisplayName",0x00000000,"Microsoft USB Universal Host Controller Miniport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uhci.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DisplayName",0x00000000,"Microsoft USB Open Host Controller Miniport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ohci.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Type",0x00010001,1
그리고 저장한다.
12. INF 파일을 IN_로 압축한다.
cabarc n USB.IN_ usb.inf
cabarc n USBPORT.IN_ usbport.inf
cabarc n USBSTOR.IN_ usbstor.inf
명령으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INF 파일은 지워도 된다.
13. 위 과정을 다 수행하면, 다음 파일들이 완료된다.
USBBOOT.INF
DOSNET.INF
TXTSETUP.SIF
USB.IN_
USBPORT.IN_
USBSTOR.IN_
이 파일들을 원래 있던 곳에 덮어쓰기/추가 하면 된다.
14. 수정된 CD이미지를 구워서 부팅하면.. USB에도 잘 깔린다.
15. 다만, USB의 속도 한계가 있으므로, 성능 우선으로 OS를 튜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