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윈도우즈
2012.02.27 06:12

USB 장치에 XP 설치하기

조회 수 45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외국 포럼에서 본 글을 번역/정리하면서 다시 작성한 글입니다.

이 작업이 왜 필요한가?
일반적인 XP 시디로는 USB 장치에 설치가 불가능하다.
BIOS에서는 해당 장치를 인식하지만, 설치 시스템이 인식하지 못하는 구조랄까.

어떻게 해야 하는가?
USB관련 드라이버들을 Boot Bus Extender로 설정하게 조작을 해주면 된다.
즉, XP CD를 수정하면 된다.

방법을 알려달라!
한국어 XP CD에 맞추어 작성되었다.
우선 이 작업을 하기위해 필요한 준비물들은 다음과 같다.
* WIndows XP CD 혹은 CD 이미지 (수정, 정품 상관없음)
* Microsoft CAB SDK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platformsdk/cab/2.0/w98nt42kmexp/en-us/Cabsdk.exe
* CD이미지를 구울 장치. CD영역도 된다.
* USB 장치. 그래도 하드디스크를 추천한다.
* UltraISO 같은 ISO 편집기.

1. XP를 설치할 USB장치를 포맷하는 것을 추천한다. 가급적 NTFS로.
2. XP CD를 가지고 있다면 이미지로 만들어놓는다. 나중에 CD로 구울라면, iso로 작업하는 것이 좋기 때문.
3. CD이미지에서 다음 파일들을 추출한다. (Root\I386)

DOSNET.INF
TXTSETUP.SIF
USB.IN_
USBPORT.IN_
USBSTOR.IN_

4. Cabsdk를 이용하여 IN_ 파일의 압축을 푼다. cabarc x USB.IN_ 와 같은 방법으로 USB.IN_의 압축을 풀 수 있으며,
압축을 푼 결과는 cabarc.exe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된다. 즉 Cabsdk를 C:\cab 에 풀었다면
cabarc.exe는 C:\cab\cabarc.exe에 있는 것이며, USB.INF는 C:\cab\에 있는 것이다.

5. 그러면 USB.INF, USBPORT.INF, USBSTOR.INF 파일이 생긴다. IN_ 파일들은 전부 지우자.
6. TXTSETUP.SIF를 연다. 여기부터 말하는 ... 를 찾아서는 전부 맨 위부터 검색해서 첫번째 나오는 것을 뜻한다. 즉 맨 위부터 Ctrl+F 를 해야 함.
[InputDevicesSupport.Load] 를 찾아서
usbehci = usbehci.sys
usbohci = usbohci.sys
usbuhci = usbuhci.sys
usbhub = usbhub.sys
usbstor = usbstor.sys
를 지우고

다시 [BootBusExtenders.Load] 를 찾아서

usbehci = usbehci.sys
usbohci = usbohci.sys
usbuhci = usbuhci.sys
usbhub = usbhub.sys
usbstor = usbstor.sys
를 추가해준다.

[InputDevicesSupport] 를 찾아서
usbehci  = "Enhanced Host Controller",files.usbehci,usbehci
usbohci  = "Open Host Controller",files.usbohci,usbohci
usbuhci  = "Universal Host Controller",files.usbuhci,usbuhci
usbhub   = "Generic USB Hub Driver",files.usbhub,usbhub
usbstor  = "USB Storage Class Driver",files.usbstor,usbstor
를 지우고

[BootBusExtenders] 를 찾아서
위에서 지운 내용들을 그대로 추가해준다.

[HiveInfs.Fresh] 를 찾아서
AddReg = usbboot.inf,usbservices
를 추가한다.


[SourceDisksFiles] 를 찾아서 맨 윗줄에
usbboot.inf = 1,,,,,,_x,3,,3
를 추가한다.

이제 TXTSETUP.SIF를 저장한다.

7. DOSNET.INF를 연다.
두번째 [Files] 섹션을 찾아서
d1,usbboot.inf 를 추가한다.
저장한다.

8. USB.INF를 연다.
[StandardHub.AddService] 를 찾아
StartType = 0 으로 변경
LoadOrderGroup = Boot Bus Extender 을 추가한다.

[CommonClassParent.AddService] 를 찾아
같은 방법으로 한다.

9.
USBPORT.INF를 연다.
[EHCI.AddService] 를 찾아
StartType = 0 으로 변경
LoadOrderGroup = Boot Bus Extender 을 추가한다.

[OHCI.AddService] 와
[UHCI.AddService]
[ROOTHUB.AddService]
에도 같은 방식으로 한다.

10. USBSTOR.INF를 연다.
[USBSTOR.AddService] 를 찾아

DisplayName = %USBSTOR.SvcDesc%
ServiceType = 1
StartType = 0
Tag = 3
ErrorControl = 1
ServiceBinary = %12%\USBSTOR.SYS
LoadOrderGroup = Boot Bus Extender

로 수정/추가 한다.

11. USBBOOT.INF를 생성한다.
다음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다.

[usbservice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DisplayName",0x00000000,"USB Mass Storage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STOR.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DisplayName",0x00000000,"USB 2.0 Enhanced Host Controller Miniport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ehci.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ehci","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DisplayName",0x00000000,"USB2 Enabled Hub"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hub.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hub","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DisplayName",0x00000000,"Microsoft USB Universal Host Controller Miniport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uhci.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uhci","Type",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DisplayName",0x00000000,"Microsoft USB Open Host Controller Miniport Driver"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ErrorControl",0x00010001,1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Group",0x00000000,"System Reserved"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ImagePath",0x00020000,"system32\DRIVERS\usbohci.sys"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Start",0x00010001,0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ohci","Type",0x00010001,1

그리고 저장한다.

12. INF 파일을 IN_로 압축한다.
cabarc n USB.IN_ usb.inf
cabarc n USBPORT.IN_ usbport.inf
cabarc n USBSTOR.IN_ usbstor.inf
명령으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INF 파일은 지워도 된다.

13. 위 과정을 다 수행하면, 다음 파일들이 완료된다.
USBBOOT.INF
DOSNET.INF
TXTSETUP.SIF
USB.IN_
USBPORT.IN_
USBSTOR.IN_
이 파일들을 원래 있던 곳에 덮어쓰기/추가 하면 된다.

14. 수정된 CD이미지를 구워서 부팅하면.. USB에도 잘 깔린다.

15. 다만, USB의 속도 한계가 있으므로, 성능 우선으로 OS를 튜닝해야 할 것이다.

 

출처 : http://toolz.pe.kr/289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562
826 기타 공무원 제도 JaeSoo 2012.02.28 4251
825 기타 공무원 직종구분 (경력직공무원-일반직/특정직/기능직, 특수경력직공무원-정무직/별정직/계약직) (국가공무원법 제2조) file JaeSoo 2012.02.28 6042
824 논문 MSB , LSB 란? JaeSoo 2012.02.28 10254
823 기타 [노임단가] 2011년도 적용 SW기술자 노임단가 공표 file JaeSoo 2012.02.28 8692
822 기타 [사업대가] 2011년 소프트웨어사업대가의 기준 해설서 file JaeSoo 2012.02.28 6697
821 기타 [사업대가]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file JaeSoo 2012.02.28 5807
820 윈도우즈 USB 외장하드에 윈도우 XP 설치하기 file JaeSoo 2012.02.27 6129
» 윈도우즈 USB 장치에 XP 설치하기 JaeSoo 2012.02.27 4552
818 하드웨어 Younus 2G 메모리 CD영역 생성하기 VID = 0x1307, PID = 0x0163 file JaeSoo 2012.02.27 4278
817 윈도우즈 WinSetupFromUSB를 이용한 다양한 부팅USB 만들기 file JaeSoo 2012.02.27 18014
816 소프트웨어 MATLAB figure 위치 및 크기 조정하기 JaeSoo 2012.02.25 9264
815 소프트웨어 토렌트(torrent) 한글판 다운/사용법 - utorrent 한글판을 다운해보자! 1 file JaeSoo 2012.02.25 11381
814 소프트웨어 토렌트(torrent) 속도 올리기 - 토렌트 다운을 빠르게하자 / 토렌트 트래커(tracker) file JaeSoo 2012.02.25 8778
813 소프트웨어 유토렌트(utorrent)에 원하는 검색엔진 추가하기 file JaeSoo 2012.02.25 8941
812 소프트웨어 토렌트(torrent) 검색 공급자 관리 file JaeSoo 2012.02.25 7740
811 소프트웨어 엑셀 주민번호 뒷자리 *** 처리 file JaeSoo 2012.02.24 11165
810 기타 공기업 직원의 임대사업자 등록 가능 여부 (공공기관 임직원의 직무외의 영리 활동 금지) JaeSoo 2012.02.23 7083
809 소프트웨어 엑셀에서 문자를 비교하여 해당 문자가 있으면 값 가져오기 JaeSoo 2012.02.23 6865
808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l) 의 설계 file JaeSoo 2012.02.17 6914
807 하드웨어 삼성 슈퍼 WriteMaster 슬림 외장 ODD SE-S084C JaeSoo 2012.02.15 5377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