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소프트웨어

Google Photo 대신 Immich를 써보자

by JaeSoo posted Aug 07,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ome Server를 위한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는 나와 가족을 위한 사진, 동영상 관리 서비스이다. 본인 Home Server에 적용한 사진, 동영상 관리 오픈소스 Immich에 대해서 알아보자

Google Photo 단점

용량 제한, 구매 유도

예전에는 Google Photo 는 무료로 많은 사진,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었지만, 2017년 9월부터는 15GB로 제한되었고 메일, 문서 등 다른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다보면 10GB 남짓 저장이 가능하다. 

금방 15GB를 모두 사용하고 Google One 저렴한 상품을 구매 할 수 있지만, 100GB도 금방 사용하게 된다. 쉽고 안전하게 다량의 사진,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지만, 가족이 함께 서비스를 사용하다 보면 만만치 않은 비용이 발생한다.

공유 제한

15GB 무료 서비스 사용 시 1개 공유 가능하기에 너무 부족하고 Google One 상품을 구매하면 5개까지 공유가 가능하다.보통 가족과 사진, 동영상을 공유하는데 부모님, 배우자, 아이들 포함하면 5개 공유도 금방 부족 해 진다.

오래된 동영상 조회 속도

최근 업로드 한 동영상의 경우 빠르게 조회가 가능하지만, 5년 전, 10년 전 동영상을 조회 해 보면 플레이 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오래된 데이터의 경우 Google 내부 느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러 개 오래된 동영상을 보려고 하면 금방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

Google 자체적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유출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각 개인정보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사용될지 외부에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개인정보 보안을 보장 한다고 볼 순 없다.정말 중요한 정보라면 Google Photo에 보내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Immich

(광고 아님)

 

다운로드 (5).png

 

 

Immich는 AGPL License Opensource 프로그램이며, Google Photo를 대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생김새와 기능은 Google Photo와 매우 유사하며, 사진, 동영상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기능은 충분히 있다. 

https://immich.app

 

Immich 이외에도 Opensource Photo Library 프로그램은 있지만, 개인적으로 Google Photo 와의 유사성, Contributor 수, Update 정도를 많이 고려하기 때문에 Immich를 선택했고 구체적인 비교를 원한다면 아래 Site를 참고 해 보면 좋을 듯 하다.

https://meichthys.github.io/foss_photo_libraries/

 

Immich 설치 with Podman, Home server

 

다운로드.jpg

Home Server

 

참고로 Immich Docs에도 설치 가이드가 잘 나와 있지만, Home Server의 경우 Docker를 사용하지 않고 Podman을 사용하기 때문에 약간 과정이 차이가 있다.

Immich docker-compose download

wget -O docker-compose.yml https://github.com/immich-app/immich/releases/latest/download/docker-compose.yml
wget -O .env https://github.com/immich-app/immich/releases/latest/download/example.env

 

Immich docker-compose 환경설정 수정

여기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은 UPLOAD_LOCATION, DB_DATA_LOCATION 으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DISK에 Mount 되어 있는 PATH를 잘 지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DISK Full로 다시 파일을 옮겨야 할지도 모른다. 개인적으로는 새로운 구매한 M.2 2TB DISK에 할당된 PATH로 변경했다.

# You can find documentation for all the supported env variables at https://immich.app/docs/install/environment-variables

# The location where your uploaded files are stored
UPLOAD_LOCATION=./library
# The location where your database files are stored
DB_DATA_LOCATION=./postgres

# To set a timezone, uncomment the next line and change Etc/UTC to a TZ identifier from this list: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tz_database_time_zones#List
# TZ=Etc/UTC

# The Immich version to use. You can pin this to a specific version like "v1.71.0"
IMMICH_VERSION=release

# Connection secret for postgres. You should change it to a random password
# Please use only the characters `A-Za-z0-9`, without special characters or spaces
DB_PASSWORD=postgres

# The values below this line do not need to be changed
###################################################################################
DB_USERNAME=postgres
DB_DATABASE_NAME=immich

 

Immich docker-compose up with podman

여기서는 podman-compose를 사용하기 때문에 몇가지 옵션을 추가해야 잘 동작한다. 아래와 같이 실행해서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다.

$ podman-compose --pod-args='--infra=true --share="net"' up -d

 

Immich web 접속

기본적으로 2283 port로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docker-compose.yml 에서 2283 port 를 수정할 수 있다.

http://localhost:2283/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