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량분석 | 定量分析 Quantitative Analysis
----------------------------------------------------------------
수치로 나타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각종 기관에서 수집한 통계자료에서 이론을 이끌어 내는 방식과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리하는 두 가지 방법이 흔히 사용된다.
기본 자료 및 판단의 기준을 수치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론의 정립에 있어서의 객관성 확보가 쉽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치화된 각종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말해 줄 뿐,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은 불가능하다.
즉, 새로운 이론을 창출해 내지는 못하며 이미 만들어져 있는 가설을 간접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인과관계는 별도의 이론을 통해서만 따로이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정성분석 | 定性分析 Qualitative Analysis
----------------------------------------------------------------
사회 현상의 현장에 찾아가 구성원들을 관찰하거나 직접 대화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론을 구성하거나 이미 세워져 있는 가설을 증명하는 방법.
직접 관찰법, 사례 연구법 등이 흔히 쓰이는 형식이며, 일반적으로 정량분석 전에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출처 : http://titicat.egloos.com/1331722
----------------------------------------------------------------
수치로 나타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각종 기관에서 수집한 통계자료에서 이론을 이끌어 내는 방식과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리하는 두 가지 방법이 흔히 사용된다.
기본 자료 및 판단의 기준을 수치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론의 정립에 있어서의 객관성 확보가 쉽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치화된 각종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말해 줄 뿐,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은 불가능하다.
즉, 새로운 이론을 창출해 내지는 못하며 이미 만들어져 있는 가설을 간접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인과관계는 별도의 이론을 통해서만 따로이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정성분석 | 定性分析 Qualitative Analysis
----------------------------------------------------------------
사회 현상의 현장에 찾아가 구성원들을 관찰하거나 직접 대화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론을 구성하거나 이미 세워져 있는 가설을 증명하는 방법.
직접 관찰법, 사례 연구법 등이 흔히 쓰이는 형식이며, 일반적으로 정량분석 전에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출처 : http://titicat.egloos.com/133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