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림,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전면 재구축해야"
당초 설계 범위 초과, 한계 상황…문제 '심각'
현재 정보개발원이 운영하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대규모 복지사업 추가와 범정부 업무처리 지원 확대 등으로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한 상황으로 업무 착오나 오류 발생 등 위험부담이 가중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가용성 저하로 운영중단기간 급증, 운영·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 심각한 비효율에 직면해 있다는 것.
문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3년 8월 감사원의 ‘복지전달체계 운영실태’ 감사결과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됐다.
감사결과 2010년 이후 숨진 32만여 명에게 639억여 원 복지 급여가 지급되거나, 소득·재산자료(국민연금 등 25종)를 6개월 주기로 제공해 연간 752억여원이 과오지급된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기초생활수급자 선정에서 지자체가 이자소득 자료를 조회할 수 있는 법적근거도 마련되지 않아 15만3천여명에게 연간 959억원이 과오지급된 것으로 추정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노출됐다.
특히 문 의원이 지난 2010년 시스템 도입 당시와 현재의 여건을 비교분석한 결과 당초 설계 범위를 초과, 한계 상황에 도달해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복지사업 수는 101개에서 289개로 186%, 복지대상자는 700만명에서 2700만명으로 286%, 지자체 등 타 기관과 연계되는 자료는 217종에서 552종으로 154% 증가했다.
문 의원은 “기초연금, 개별급여 등 복지제도 변경에 따른 지속적 고도화 사업으로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이 급증해 구축비 대비-고도화 및 유지보수에 투입된 예산이 이미 340%에 달하는 실정”이라며 “비용효과 측면에서도 시스템 전면 재구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취약계층 발굴 프로세스 강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정보시스템의 성능향상과 효율적인 업무처리 체계 마련, 복지급여 부정수급 방지 및 상시 확인조사 체계 구축을 통한 복지재정 절감 등 선제적인 업무 처리를 위해 사전 정보화전략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해 보고할 것”을 요구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