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경제

마진율 계산법

by JaeSoo posted Mar 23,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옷가게를 예로 든것입니다만.. 다른 업종도 적용 하시면 됩니다.

마진을 붙이기 위해서는 여러분이 계신 가게 주위에
비슷한 옷가게들을 시장조사 해보셔야 합니다..
또 브랜드 옷가게 보다는 시장 상품을 다루는 옷가게를
조사해보시면 많이 봐왔던 옷들이나
자신의 가게가 가지고 있는 똑같은 상품의 판매가를
알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쉽게 마진의
배율을 알 수 있겠지요..

만약 비슷한 상품의 판매가격이 23,000원에 붙어 있다면
님께서도 비슷한 상품을 23,000원에 팔던가
아니면 더 싼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21,000원에 팔 수도 있는 것이지요..
물론 가게가 삐까번쩍하다면 25,000원에 팔 수도 있을 것입니다..
즉, 나름대로의 경쟁력을 위해서 판매가격은 고무줄 처럼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나중 가격을 깎는 소비자를 위해 택에는 높게 붙여놓고
팔 때 깎아주는 경우가 있기도 하고요..

그러나 그것은 나중 장사를 개시하고 몇일, 몇달이 지나서
하는 행위가 되겠고요..

처음에는 주위의 시장조사가 필수 입니다..

손님들이 비슷한 상품을 가지고 저 가게에선 23,000원 하는데..
여기는 왜 25,000원 하느냐... 할 때, 25,000원이어야 하는 이유를
잘 설명해주셔야 합니다..

원단의 특징이든.. 디자인 요소든..
뭔가 2,000원의 차이를 설명해야겠지요..
따라서 그런 특징이 없는 상품은 같은 가격을 붙이거나
더 낮게 붙여야 하는 애로점도 있습니다..

보통 로트샵에서는 사입가(원가) X 1.5를 붙이곤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일률적으로 붙이게 되면 여러 경쟁점과
가격차가 나기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일단 시장조사가
우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에 일정 비율을 계산하시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만약 마진이 적어서 유지비가 안나온다 하면
마진을 높이기 보다는 더 많이 파는 방법을 생각해야지요...
일단 가격경쟁에 돌입하면 가격가지고
경쟁을 하면 돈많은 사람이 이기기 마련입니다..
다른 쪽의 경쟁력을 키워야겠지요..
친절이란든가.. 경품이라든가.. 디스플레이 라든가.. 등등..

**** 원가에 1.5를 곱하면 마진률은 50% 일까요...? 아닙니다...

원가에 1.5를 곱하면 마진률은 33%가 됩니다..
마진률은 판매가 대비로 계산하기 때문에 늘어난 0.5가 전체 1.5에 대해 몇 %인가를 계산해야 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원가에 1.2를 곱해서 판매가가 나왔다면
마진률은 16.6 %가 됩니다..

계산방법은 1.2(판매가) - 1(원가) = 0.2(마진)

0.2(마진) / 1.2(판매가) X 100 = 16.6 (마진률;%)

즉, 판매가에 대한 마진의 비율이 되겠습니다...

초보상인분들이 많이 헷갈려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인터넷쇼핑몰을 운영하시는경우도 비슷하게 적용되는 부분이지만 개인사업자냐 법인이느냐에 따라서 부가세와 소득세등을 고려해야 하는점들이 있답니다. 옥션사업자들이 많은 제품을 팔고도 적자를 보거나 오히려 부채가 더 많아진경우들이 마진정책의 실패와 세금부분을 간과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점을 잘 고려하신다면 적어도 적자를 보시는 경우는 없을것입니다.

 

출처 : http://sokchae.egloos.com/10127437


Articles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