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항온항습이란 일정공간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와 일정한 습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
![]() |
항온항습기는 PACKAGE TYPE과 AIR HANDLING UNIT TYPE으로 소형과 대형으로 나눌수 있고, 응축방법에 따라 공냉식, 수냉식, E/GRYCOL(에틸렌글리콜) 등으로 분류하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향급기(UP FLOW)방식과 하향급기(DOWN FLOW)방식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
![]() |
1) 토출, 흡입의 온도차는 실내의 온도편차를 작게하고 환기횟수를 많이 하여 부하의 변동을 신속히 없앤다. |
2) 송풍량에서 외기(外氣)의 비율이 작다. |
3) 크린룸이나 시험실에는 재실자가 적기 때문에 실내부하는 거의 현열부하로 된다. |
그러므로 현열비(SHF)가 1에 가깝고 잠열부하가 작다. |
4) 겨울에도 냉각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5) 항온항습실은 안장상태를 얻는데 장시간이 필요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
이때문에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게 되는 곳은 24시간 연속 운전을 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