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일반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1]'쓰레기 지옥 4남매'로 본 아동방임 실태(관련)

by JaeSoo posted Apr 29,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2년 현황보고서 결과 10명중 5명은 '중복 학대'
재발 위험 높고 정서·신체발달부진등 후유증 유발
"방임으로 사망했어도 화상·교통사고 처리 가능성"


아동 학대로 숨진 아이 가운데 80%가 '방임'으로 고통받다가 끝내 숨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방임은 장애의 원인이나 또 다른 학대, 범죄로 연결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아동복지법은 '방임'을 '자신의 보호·감독을 받는 아동을 유기하거나 의식주를 포함한 기본적 보호·양육·치료 및 교육을 소홀히 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이 최근 발간한 '2012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를 보면 2012년 학대로 숨진 아이는 모두 10명. 이 중 8명은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이 방임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3명은 방임만으로 사망에 이르렀고, 방임에 신체·정서학대 등이 합쳐진 '중복학대'로 숨진 아이가 5명에 달했다.

최근 4년(2008~2012)동안 학대로 숨진 아동 중 상당수도 방임이 원인이었다. 2009년 50%, 2010년 66.7%, 2011년 61.5%가 방임 때문에 사망했다. ┃그래픽 참조

아동의 신체를 물리적으로 학대하는 행위보다 내버려두는 방임이 더욱 끔찍한 결과를 낳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방임은 다른 아동학대보다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심각성을 더해 준다. 2012년 아동학대로 보호기관 등에서 조치를 취한 뒤에도 또다시 신고 접수된 아동학대 유형을 보면 중복학대(47.2%)를 제외하고는 방임(24.6%)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방임이 신체·정서 등 다른 종류의 학대로 연결되거나 외부 범죄의 위험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지적한다.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등의 연구 결과를 보면 방임은 심리·정서적 문제, 학습 부진, 신체 발달 부진 등 다양하고 심각한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다.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관계자는 "방임으로 아동이 적절한 보호나 양육을 받지 못하는 사이 제3자에 의한 성학대가 발생하기도 한다"며 "정서 학대나 방임이 또 다른 학대나 범죄에 대한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이같이 심각한 결과를 불러올 수 있는 방임은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아동학대 유형이다. 2012년 아동학대사례 유형별 건수를 살펴보면 방임, 신체 학대, 정서 학대 등이 함께 나타나는 중복학대가 3천15건(47.1%)으로 가장 많았고, 방임이 그 다음으로 많은 1천713건(26.8%)이었다.

인천시가 내놓은 지난해 '아동보호전문기관 사업실적보고'를 봐도 전체 학대사례 344건 가운데 방임이 120건(34.9%)으로 가장 많았다. 우리 주변에서도 방임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아동학대 유형 가운데 방임으로 인해 사망하는 아동이 가장 많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방임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밝혀지지 않고 화상이나 교통사고로만 처리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며 "방임은 신체 학대보다 더욱 지속적이고 상처가 깊고 오래 갈 수 있다. 아이가 힘이 세지면 신체 학대는 못하지만 방임은 그렇지 않다. 아이나 부모가 방임을 당연하다고 생각하면서 더욱 심각한 결과를 불러오게 된다"고 말했다.

/김민재·홍현기·박경호기자

<저작권자 ⓒ 경인일보 (http://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http://www.kyeong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846412


Articles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