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티비나, 비티비, 스카이라이프 영상을 녹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패키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외형에서 보듯 PC의 익스프레스 슬롯에 삽입하는 방식이 아닌 셋탑박스나 게임기, DVD/블루레이 플레에이어 직접 연결하여 독립적으로 녹화하는 제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케이블 채널의 HD PVR서비스 상품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박스 크기 짐작를 위해 무한도전 시디를 올려놓고 촬영했습니다. ^^
압축률 좋은 H.264 비디오 코덱과, MP3 오디오 코덱 사용으로 녹화 화질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1TB HDD 내장 하드 기준으로 압축 옵션 별 녹화 가능한 시간 표기가 되어 있네요. 압축 옵션은 나중에 자세하게 보여 드리겠습니다.
주요 기능이 적혀 있습니다. 1080i HD 해상도록 즉시 녹화, 예약 녹화, 리모컨 버튼을 통한 캡쳐샷, 녹화한 영상 바로 재생, USB 저장매체에 파일 복사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자세한 스크린 샷과 함께 자세하게 보여 드리겠습니다.
봉인 스티커가 튼튼하게 2개 붙어 있습니다. 어떤 제품이든 간에 패키지 개봉하는 순간은 즐겁죠? ㅎㅎ
내부 박스에도 봉인 스티커가 붙어 있고 언박싱을 하면 2단으로 수납된 구성품이 보입니다.
에버미디어 HD EzRecorder Plus의 구성은 본체, 컴포넌트/RCA 오디오 케이블 2개, 12V/.5A 파워어댑터, IR 블라스터 케이블, 리모컨(AAA 배터리 제공), 사용자설명서로 되어 있습니다. 셋탑박스와 TV에 연결할 컴포넌트 케이블이 2개 제공되 추가 구입이 필요 없고 저장 매체용 내장 HDD나 USB 2.0 단자로 연결 가능한 메모리, 외장 하드는 미리 준비하셔야 합니다.
디자인은 잠시 후에 보기로 하고 구성품들을 먼저 보여 드리겠습니다. 투박한 형태의 미니 리모컨은 즉시 녹화, 스크린 샷 촬영, 녹화 영상 제어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전원 버튼 옆의 MODE 버튼은 지원되지 않는 기능이고 자주 사용하는 메뉴 팝업, 이동, 녹화/중지, 이전 메뉴 복귀, 즉시 녹화, 캡쳐 샷 버튼을 상단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본체와 일직선 상으로 위치해야 반응하고 버튼 조작감은 썩 좋은 편은 아닙니다.
12V/1.5A 전원 어댑터는 애플 사 제품처럼 국가별 콘센트만 변경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개봉 후 뚜껑을 제거하고 콘센트를 사진처럼 끼워주면 됩니다.
EZRecorder Plus가 요즘은 보편화된 HDMI 인터페이스 미지원이라 아쉬워할 분들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HDMI와 컴포넌트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HDMI는 깔끔한 선정리와 화질이 좋은 반면 HDCP에서 자유로울 수 없죠. 컴포넌트는 HDMI보다 화질은 약간 떨어지나 HDCP 제약이 없습니다. RCA 오디오 케이블과 함께 사용해야 하니 선정리를 해줘야 하죠.
예약 녹화를 하려면 IR 블라스터 케이블을 셋탑 박스에 연결해야 합니다. IR 블라스터 케이블의 길이가 꽤 긴 편이라 설치 시 불편한 점은 없습니다.
본체 상단과 전면에 보호 필름이 붙어 있습니다. 저는 상판으로 올라오는 열기가 높지 않은 편이라 떼지 않고 그냥 붙여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
164x124x57mm 크기의 본체 상단 중앙에 음각 처리된 AVerMedia 로고와 붉은색/흰색 조합의 영문 이름이 적혀 있고요. 네 귀퉁이 부분을 제외한곤 무광 처리되어 있고 이번에도 무한도전 오디오 시디를 놓고 촬영보았습니다. 크기 짐작이 되시나요?
전면의 모습을 보면 상판은 블랙 하판은 다크 그레이 색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USB 2.0 단자와 녹화 버튼/전원 버튼/리모컨 센서가 보입니다.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볼까요?
내장 하드를 사용하지 않고 USB 메모리나 외장 하드 연결 시 NTFS로 파티션 구성을 해야 합니다. 이미 NTFS 파티션으로 되어 있다면 본체에서 디스크 포맷 과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면의 입출력 단자 모습입니다. IR 블라스터와 전원 포트가 양쪽으로 분리되어 있어 깔끔하게 선정리가 안되네요. 컴포넌트 케이블 연결 방법은 사용자 설명서에 그림으로 소개하고 있으니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연결하실 수 있을 겁니다. 봐도 정 모르겠다면 색깔별로 꼽으시면 돼요. ㅎ
바닥 부분을 보면 커버가 보이시죠? 내장 하드는 바로 저 커버를 열고 설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편리한 점은 HDD 설치 시 드라이버가 필요 없게 설계된 점이 좋더군요. 저는 내장 HDD를 설치하여 녹화할 예정입니다. 다음 사용기에선 설치와 리모컨 학습, 녹화 내용이 담겨 있으니 기대해 주세요. (???)
출처 : http://www.betanews.net/article/574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