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u-E(동향)

국내 u-City 추진 동향

by JaeSoo posted Dec 07,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내 u-City 추진 동향



건축연구팀 전임연구원 이성호


출처:


1. 지경용, 김문구, 박종현(2006), 유비쿼터스 도시(u-City)의 시장 기회와 잠재력, IITA



주간기술동향 통권1233호.


2. 조병선, 정우수, 조향숙(2006), u-City 사업전개와 추진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1


권 제4호.


3. 남상관 (2007), 국내 u-City 추진동향, 건설기술정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u-City는 일반적으로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를 의미 함.


현재 u-City 구축 사업 및 기술개발은 건설교통부가 중심이 되어 추진 중이며, 2007년 부터 u-Eco City 구축사업,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등 대형 R&D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 임.


초기 u-City는 기업도시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2003년 상암DMC(Digital Media City) 및 화성 동탄지구를 필두로 지자체중심으로 u-City를 추진하고 있음.





1. u-City 추진 배경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이 미래 지능형 사회의 기본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국내에서도 2002년부터 컴퓨팅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u-City, u-Home, u-Health, u-Gov. 등 새로운 미래 사회의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건설분야에서도 2003년경부터 유비쿼터스 컴퓨팅개념을 도입하여 건설분야 정보화를 위한발전방향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중앙정부의 국토균형발전 및 신성장동력 육성, 지자체의 시민 생활편의 향상 및 효율적인 도시 시설물 관리 등의 목적으로 본격적으로 u-City 개발에 대한논의가 시작되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u-City는 일반적으로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를 의미한다.




2. 중앙정부 및 지자체별 u-City 추진 동향


중앙정부의 u-City 추진은 정보통신부에서 시작되었고, 정보사회진흥원(구 한국전산원) 및 u-City 포럼을 중심으로 정보통신 관련기술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이후 정보통신부와 건설교통부의 MOU를 기점으로 현재 u-City 구축 사업 및 기술개발은 건설교통부가 중심이 되어 추진 중이며, 2007년 부터 u-Eco City 구축사업,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등 대형 R&D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에 있다. 초기 u-City는 기업도시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2003년 상암DMC(Digital Media City) 및 화성 동탄지구를 필두로 지자체중심으로 u-City를 추진하고 있으며, 전국 40여개 지자체에서 u-City 구축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상암DMC와 u-송도는 현재 구축중에 있으며, 부산, 파주 등은 기본계획 수립(VSP1))이 끝난 상태이다. 주요 지자체의 u-City추진 계획은 표1과 같다.




표1. 주요 지자체 u-City 추진현황

























































지자체명


사업주체


주요내용


서울 상암 DMC


서울시 


(2003-2007)


 - 최첨단 IT 콤플렉스 구축


 - 첨단정보미디어 단지를 조성,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허브 조성


u-송도


인천자유구역청 (2004-2008)


 - 인구 50만도시 전체를 유비쿼터스화


 - 정보화 전략수립(ISP-KT컨소시엄)


용인흥덕


토지공사 


(2004-2007)


 -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도시 건설


 - 지하매설물 센서, 50MBps 이상의 인터넷망 구축


화성동탄지구


삼성SDS 


(2003-2007) 


 - 유비쿼터스 사업모델로 추진


 - 첨단 IT기술이 총동원된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


u-제주


제주도


 - 텔레매틱스 시범사업과 연계


 - u-관광, u-이어도건설, 실버산업, RFID 국립공원 관리 등


u-전주


전주


정보영상진흥원 


(2005-2008)


 - u-전주기본계획 수립 추진


 - 전통문화 체험 U-기반 구축, 디지털 영상산업 활성화 지원,


디지털 콘텐츠 콤플렉스 조성, U-Life 실현기반 구축


u-부산


부산시


 - u-Port 추진(RFID를 이용한 항만물류관리)


 - 2020년 로드맵 발표(2005.5.27)


u-광주


광주시


 - u-culture 문화산업 혁신 도시 구축


u-경북


경북도


(-2010)


 - u-도시 건설을 위한 적정 입지도시 1개 지역씩 선정


 - u-문화관광, u-교통, u-환경, u-가정, u-농업 등 테마별 시


범 프로젝트 병행 추진


u-강원


강원도


(-2014)


 - RFID를 부착한’대관령 한우 RFID이력관리 시스템' 구축


 - 평창지역을 'u-City' 시범 도시로 구축


u-청주


청주시


 - u-cheongju’종합발전전략을 마련, 추진


 - 지식기반 정보도시로의 목표


u-오송


충북도


 - 충북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를 u-City모델로 건설


 - U-충북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기반 세부 계획 수립




3. 사업자별 u-City 추진동향


(1) 삼성SDS


삼성SDS는 삼성그룹 계열사 전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자, 건설, SI 등의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2006년 2월 광교USP(15억)를 진행하였으며, 주로 u-Home, u-Office, u-FMS, u-ITS, u-GIS, 도시통합운영센터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2) KT


KT는 광통신 네트워크망을 보유한 강점을 앞세워 부산, 인천,파주, 화성동탄, 용인흥덕 등 초기 u-City USP 추진 사업 대부분을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SI 업체를 중심으로 경쟁이 심화되어 민간 프로젝트 수주 실적이 줄어들고 있다. 실제 u-City 구축에 있어 USP 수립 컨소시엄에 실제 구현 프로젝트를 맡기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현재 SI 업체들에서는 출혈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3) LG CNS


2006년 u-City 추진팀을 신설하고 u-City 기반이 되는 USN 개발이 집중하고 있다. 서울시와 공동으로 서울시 u-City 마스터플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RFID 분야 기술력을 바탕으로 관련 사업을 추진중이다.




(4) SK C&C


SK C&C는 u-City 구축에 필요한 스마트 단말기 구현과 네트워크 통합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홈 1단계 시범사업을 SKT와 공동으로 수행하였고, u-전주 기본계획에도 참여하였다.




4. 맺음말


1) 현재 u-City 추진 동향을 보면 초기 전략 수립 단계에 그치고 있으며, 일부 구축을 시작한 지역에서도 첨단 기술보다는 초고속 통신망 및 아파트 관리 등 단순한 기능 구현에 그치고 있다. 이는 국가차원의 가이드라인이 제시지 않고, 핵심 기술은 아직 현장에 적용 할 만큼 성숙되지 못한 때문이다. 현재 40여개 지자체 및 SI 사업자들이 경쟁적으로 u-City 계획을 발표하였지만, 실제 u-City구축은 매우 일부에 한정되고 있다. 보다 실제적인 u-City 구축을 위해 서는 앞으로 실제적인 기술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건교부 중심의 대형 R&D사업은 세계 일류 기술의 개발 및 신규 시장 창출에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2) U-City는 도시의 기반 시설인 방재, 교통 및 통신시설을 유, 무선 장치를 통해 종합 통재하는 것을 중심으로 함. 건설사의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기술개발보다는 기술의 개념 및 업무 프로세스의 이해를 통해 기획단계에서의 활용과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의 간섭 회피와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출처 :


1. 지경용, 김문구, 박종현(2006), 유비쿼터스 도시(u-City)의 시장 기회와 잠재력, IITA


주간기술동향 통권1233호.


2. 조병선, 정우수, 조향숙(2006), u-City 사업전개와 추진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1


권 제4호.


3. 남상관 (2007), 국내 u-City 추진동향, 건설기술정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출처 : http://www.dwcons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