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복제 |
입관이 끝나면 남.녀 상주들은 정식으로 상복을 입고 분향소애서 제수를 올리고 향을 피우며 첫 제사를 올리는데 이것을 성복제라 한다.(유교와 불교식에서 향함) |
|
※ 최근에는 성복제를 올리기 전에 상복을 입는 경향이 있다. |
|
발인제 |
장지로 떠나가 전 분향실에서 제물을 준비해 지내기도 하며 고인을 영구버스(영구차량)에 모셔놓고 지내는 제사를 발인제라 한다. 발인제 의미는 “ 이제 고인 ooo님의 유택(무덤)으로 모시고자 하오니 저희들과는 이 세상에서 다시 뵙지 못하는 영원한 이별을 하오니 고인의 평안을 비는 마음 “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
|
노제 |
장지로 가는 도중에 평소 고인이 애착이 있던 곳이나 살았던 곳에 들러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
|
사토제(산신제) |
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사토제의 의미는 이 곳에 광중을 세우니 신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
|
※ 광중이란 = 땅을 사각으로 파서 관을 모시는 자리 |
|
평토제 |
광중을 메우기 시작하여 평지와 높이가 같게 되면 지내는 제사다. 평토제는 맏사위가 담당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다. |
|
성분제(분묘제) |
장지에서 봉분(무덤 만들기) 이 완료되면 지내는 제사다. 성분제 의미는 무덤을 여기에 정하였으니 신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
|
초우제(반혼제) |
초우제는 산에서 돌아온 날 저녁에 지내는 제사이다. 장기가 멀어 다른 곳에서 숙박을 하더라도 그 곳에서 제를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
|
재우제 |
재우제는 산에서 돌아온 다음날 식전에 지내는 제사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재우제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
|
삼우제 |
발인한 날로부터 이틀째 되는 날 장지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
|
※ 우제 = 돌아가신 영혼을 위로하는 제사로서 집에 돌아온 자손들이 고인을 홀로 묘소에 모셔 놓게 되어 외롭고 놀라지 않을까 걱정되어 예를 드리는 의식이다. |
|
49제 |
임종하신 날부터 49일이 되는 날 지내는 제사이다. 49제 의미는 불교 행사로서 육체를 이탈한 영혼은 바로 극락으로 가지 못하고 온갖 세파에서 저지른 죄악을 정화하는 기간이며 어느 곳으로 갈 것인지 정해지지 않아 심판의 결과를 기다리는 기간을 49일로 보고 있어 가족들은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
|
※ 오늘날 49제는 발인일로부터 49일에 해당하는 날에 49제를 행하기도 한다. |
|
한식성묘 |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매년 양력4월 5일 또는 6일) 지내는 제사이다. 한식날 종묘와 능원 에서는 제 향을 오릴고 민간인은 조상에게 제서를 지내고 성묘를 간다. |
|
기제 |
고인이 돌아가신 날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이다. 지내는 시간은 자정에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
|
위령제 |
대체로 전쟁이나 천재지변 또는 대형사고로 인해 많은 생명이 희생되었을 때 죽은 이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합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