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뜻으로는 국가중대사안(정치·헌법체제 등)이나 사회기본가치에 대한 동화적 통합(同化的 統合)을 말하고, 좁은뜻으로는 국제연합 안보이사회·총회에서 의장의 제안에 대하여 반대의사가 없을 경우 결정이 이루어진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도를 말한다. 따라서 만장일치와는 뉘앙스가 다르고 또한 양적 규모에 있어 합의와도 구별되는데 단순한 합의는 반수 이상의 합치라 할 수 있지만 콘센서스는 압도적인 다수가 요구된다. 유형으로는 ① 자발적 콘센서스(Spontaneous Consensus):전통사회의 경우처럼 변화가 생겼을 때 새로운 환경에 필요한 생활방식을 점진적으로 채택하거나 마술·신성(神性)에 의지함으로써 사고를 하나로 집약시키는 것 ② 도출적콘센서스(Emergent Consensus):도시사회 경우처럼 자유롭게 모든 관점을 검토한 뒤 의견을 모으는 것 ③ 조작적 콘센서스(ManipulatedConsensus):현대적 현상으로 정교한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공개적 의사개진이 가능한 사회질서를 요구하는 것 등이 있다. 오늘날 독재국가이든 민주국가이든 콘센서스는 어느 정도 여론조작의 결과이다. 그러나 규범·신념·전통에 대한 콘센서스는 사회행동양식에 정당성을 부여하여 사회적 동질성을 이루게 한다.
출처 : http://www.knoum.com/kboard/view.php?id=newsterm&no=111
출처 : http://www.knoum.com/kboard/view.php?id=newsterm&no=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