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웹 프로그래밍
2012.07.12 08:06

Windows용 아파치 설정하기 (쓰레드 설정)

조회 수 39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Windows용 아파치는 다중쓰레드 방식을 사용하기때문에,
유닉스와 달리 요청마다 다른 프로세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아파치 프로세스는 항상, 부모 프로세스와 요청을 처리하는 자식 프로세스, 2개이다.
자식 프로세스에 있는 여러 쓰레드들이 요청들을 처리한다. 

그래서 작업 관리자 -> 프로세스에 보시면

httpd.exe 가 두개 실행 되어 있습니다.

=====

WinNT MPM에서의 쓰레드 조절과 관련된 옵션 설정은

MaxRequestsPerChild / ThreadsPerChild

를 사용합니다.

httpd.conf 에서 설정 할 수 있으며

MaxRequestsPerChild: 유닉스와 같이, 자식 프로세스가 요청을 얼마만큼 처리하고 죽을지를 조정한다. 그러나 유닉스와 달리 프로세스가 한번에 한 요청만을 처리하지않고 한번에 모든 요청을 서비스하기때문에, 설정한다면 매우 큰 값을 설정하길 권한다. 권장하는 기본값 MaxRequestsPerChild 0을 사용하면 자식 프로세스는 죽지않고 영원히 요청을 서비스한다.

ThreadsPerChild: 이 지시어는 새로 추가되었다. 이 지시어는 서버가 사용할 쓰레드 개수를 지정한다. 이 값이 서버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연결개수이기때문에, 사이트에 접속량이 많다면 충분히 큰 값을 설정해야 한다. 권장하는 기본값은 ThreadsPerChild 50이다.

이렇게 설정 합니다.

APMSETUP은 

ThreadsPerChild 250
MaxRequestsPerChild  0

으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만약 사용자가 많다면
ThreadsPerChild 값을 증가 시켜 주시면 됩니다.

올바로 설정 되었다면

logs/error.log

파일에

[XXXXXXXXXXXXXXXXXXXXXXXX] [notice] Child XXXX: Starting 250 worker threads.
[XXXXXXXXXXXXXXXXXXXXXXXX] [notice] Child XXXX: Starting 300 worker threads.

형식으로 로그가 남게 됩니다.

By http://httpd.apache.org/docs/2.2/platform/windows.html

 

 

출처 : http://www.apmsetup.com/board.php?bid=505&bs_type=&bs_str=&pg=0&mode=view&uid=19146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1.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Date2003.08.18 By처누 Views928102
    read more
  2. 메모리 부족 현상 (allowed memory size of 134217728 bytes..)

    Date2023.08.01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2207
    Read More
  3. Guzzle - cURL error 60: SSL certificate problem: unable to get local issuer certificate 문제 해결

    Date2023.07.30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2188
    Read More
  4. XE 캐시파일 재성생후 404 Oops, Sorry. Page is not found! 나올때

    Date2023.07.29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2117
    Read More
  5. XE - " Fatal error: Class 'Object' not found in " / class 낫파운드 오류

    Date2023.03.20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147
    Read More
  6. iOS 앱 개발을 위한 인증서 생성 및 관리

    Date2023.01.18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218
    Read More
  7. PHP 파서 이해하기 (<?php의 php를 생략하고 간단히 <? 태그 와 ?>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

    Date2016.08.10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322
    Read More
  8. XE 비회원 글쓰기 항목 지우기

    Date2016.04.28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499
    Read More
  9. 오른쪽 마우스 금지 소스 / 드래그 금지 소스

    Date2016.01.20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475
    Read More
  10. Strict standards and C5 support errors

    Date2015.12.02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524
    Read More
  11. ICT노트 :: 반응형웹을 만드는 기술은?

    Date2015.09.26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489
    Read More
  12. [번역] 2014년 가장 인기있는 5가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비교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862
    Read More
  13. 최고의 반응형 CSS 프레임워크 18선 (2013년 7월기준)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586
    Read More
  14. 가장 진보된 반응형 웹을 위한 프레임워크 UIkit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559
    Read More
  15. 반응형 웹을 위한 프론트-엔드 프레임 워크 (front-end framework for developing responsive web)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739
    Read More
  16. 한국형 반응형웹 프레임웍을 찾아서 - 왜 우리는 IE 7,8때문에 고통받아야 하는가?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611
    Read More
  17. 한국을 위한 CSS 그리드 디자인 프레임워크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531
    Read More
  18. 과연 반응형 웹 디자인만이 해답일까?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535
    Read More
  19. 반응형 웹 디자인의 단점

    Date2015.09.25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567
    Read More
  20. 웹디자인 신기술 트렌드 및 적용 사례

    Date2015.07.28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510
    Read More
  21. 제이쿼리(jQuery) 튜토리얼(Tutorial) 모음

    Date2015.07.28 Category웹 프로그래밍 ByJaeSoo Views12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