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 1 개요
- 2 여초 업종
- 3 여초 국가
- 4 여초 학과
- 5 여초 사이트
- 6 관련항목
女超. 한
인구 내에서 여자(女)의 수가 남성의 수를 초과(超)하는 것.
보통 일반적인 인류사회에서는 자연상태에서 유소년층은
남초였다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여초가 된다.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출생률이 낮아져 유소년층 비율이 낮아지고
고령화가 진행되면 여초 현상은 더욱 심화된다.
인구 성비 불균형 외에도, 특정 업종이나 환경에서 여자 비율이 높은 현상도 여초라고 일컫는다.
은행원 등의 직업이 그 예.
전쟁으로 인해 남자가 많이 사망하는 경우 여초가 유발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의
러시아와
삼국동맹전쟁 직후의
파라과이. 파라과이는
삼국동맹전쟁의 여파로 전쟁이 끝난 직후의 남녀 성비가 크게 떨어졌다. 그 이후로도 한동안 남녀 성비가 여자 100명당 남자 90을 넘지 못하기도 했으나, 빠른 인구증가로 회복되었고, 최근 조사에서도 파라과이의 성비는 101(즉 남초국가)로 집계되고 있다. 한편 러시아는 지금도 성비 86(2009년 기준)의 여초국가이데, 제 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노령층에서는 성비가 46밖에 안 되고, 알콜 중독과 보건의료 수준 저하로 인해 청장년층의 성비는 92에 불과하다. 그와 반대로 유년층은 다른 많은 나라들처럼 성비가 105 정도를 기록하고 있다.
2 여초 업종 ¶
- 은행원 - 단, 창구직 한정. 창구직 외에는 남성 비율이 그리 낮은 편은 아니다.
- 간호사
- 비서
- 교사 - 초등교사의 경우 80% 이상은 여성이라고 봐야 한다. 중고등교사는 학습 과목에따라 차이가 있으나 역시 여성 비율이 높은 편. 체육교사나 과학교사, 수학교사등은 그나마 남녀 비율이 비슷한 수준?
- 미용사
- 무용수 - 발레의 경우 남성 지원자가 여성 지원자의 10~20% 수준이다. 국내 주요 발레단들도 남성 무용수들이 항상 부족하여 외국인들로 충당하는 일이 빈번하다.]
- 미용, 패션 관련 업종 대부분.
메이드
출처 : http://mirror.enha.kr/wiki/%EC%97%AC%EC%B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