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무관 계급(품계, 관직)
| 
 품계  | 
 관직  | 
 설명  | 
 임진왜란시 재임자  | 
| 
 정1품 (참모총장급)  | 
 도제조  | 
 의정(議政)이나 의정을 지낸 사람을 임명하였으나, 실무에는 종사하지 않는 자문 명예직  | 
|
| 
 종1품 (군사령관급)  | 
 제조  | 
 
  | 
|
| 
 정2품 (군단장급)  | 
 조선 시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서 군무(軍務)를 총괄하던 최고 관직  | 
||
| 
 일반적으로 전시에 부여되는 임시 관직, 군정(軍政) 양쪽을 통솔하는 역할로 인해 보통 문관 중에서 최고위 관료가 임명  | 
권율 | ||
| 장용사 | 
 장용영 :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국왕 호위 군대  | 
||
| 
 종2품 (중장급)  | 
 감사(監司):관찰사  | 
 각 도의 행정 최고 책임자.  | 
|
| 병사(兵使):부총관 병마절도사 | 각 도의 육군 최고 책임자. (감사보다 아래 계급) | ||
| 겸사복장 | 겸사복 : 국왕 호위를 맡은 정예 기병대 | ||
| 별장 (용호령) | |||
| 수군통제사 | 충청수영,전라좌우수영,경상좌우수영의 삼도 수군을 모두 통제 | 이순신(or 원균) | |
| 
 내금위장 (영조때 정3품으로 변경)  | 
 내금위 : 왕의 호위군 내금위장은 따로 뽑지 않고 보통 다른 관직에서 겸직  | 
||
| 중군(中軍) | |||
| 
 정3품 (소장급: 사단장)  | 
 병마절제사  | 
 
  | 
|
| 수사(水使):수군절도사 | 각 도의 수군을 지휘, 감독. | 이순신, 원균, 이억기, | |
| 
 종3품 (준장급: 여단장)  | 
 첨사(僉使):병마첨절제사  | 
 
  | 
|
| 첨사(僉使):수군첨절제사 | |||
| 병마우후(兵馬虞候) | |||
| 도호부사(都護府使) | 동래부사 송상현 | ||
| 
 정4품 (대령급: 연대장)  | 
 수군우후(水軍虞候)  | 
 
  | 
|
| 군호 | |||
| 수문장(守門將) | 도성 수문장, 왕궁 수문장, 각전 수문장 | ||
| 
 종4품 (중령급: 대대장)  | 
 병마동첨절제사  | 
 
  | 
|
| 만호(萬戶) | 주민가구수가 1만가구정도의 행정 치안 수비병력지휘하는 직위 | ||
| 
 정5품 (소령급)  | 
 
  | 
||
| 
 종5품  | 
 
  | 
||
| 
 정6품 (대위급)  | 
 
  | 
 
  | 
|
| 
 종6품 (중위- 대위급)  | 
 
  | 
||
| 주부(主簿) | |||
| 현감(縣監) | |||
| 척후장(斥候將) | 총리영(摠理營)에 두었던 서반 무관직 | ||
| 
 정7품 (중위급)  | 
 사정(司正: 正七品)  | 
 
  | 
|
| 참군(參軍) | |||
| 
 종7품 (고참소위급)  | 
 부사정(副司正: 從七品)  | 
 
  | 
|
| 
 정8품 (소위급)  | 
 사맹(司猛)  | 
 
  | 
|
| 좌시직(左侍直) | 세자를 호위하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무관 | ||
| 
 종8품 (상사급)  | 
 부사맹(副司猛: 從八品)  | 
 
  | 
|
| 봉사(奉事) | |||
| 
 정9품 (상,중사급)  | 
 사용(司勇: 正九品)  | 
 
  | 
|
|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 세자를 호위하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무관 | ||
| 
 종9품 (하사급)  | 
 부사용 별장(副司勇: 從九品)  | 
 
  | 
|
| 권관(權管) | |||
| 
 
  | 
 
  | 
 
  | 
조선시대 문관, 무관의 벼슬(관원)을 호칭할때
정2품 이상에게는 대감,
종2품과 정3품 당상관에게는 영감,
나머지 관원에게는 나리
라고 불렀다. 통제사 이순신은 종2품이므로 '영감'이라 불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