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하드웨어

RAID 종류 및 용량 산정법

by JaeSoo posted Sep 30,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RAID – 0 (스트라이프)

 

RAID 구성 시에는 같은 모델, 용량, RPM으로 구성해야 장애 없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RAID 구성 시 최소 용량과 RPM은 동일해야 한다. 안 지켜질 시 블루 스크린 등 장애발생.

 

1. 최소 HDD 개수

   : 2개 이상(/짝의 개수와 관계없이 구성가능)

     EX> 2, 3, 4, 5, 6, 7 ~

 

2. 용량 산정

   : C = N * D (C : 총 용량, N : DISK 개수, D : HDD 용량)

     EX> 2 * 100G = 200G (2개일 경우)

           4 * 100G = 400G (4개일 경우)

 

3. 특징

   : HDD에 순차적으로 Data를 저장하기에 성능, 안정성 ↓(성능을 위한 구성)

 

 

4. 참고사항

 . 구성비용이 싸다.

 . 쓰기가 RAID-1, 5 보다 빠르다.

 . 완전 비추천!!!!!!!! 디스크 Fail시 대책이 없음.

5. 구 성

    R0.jpg


 

 

RAID – 1 (미러링)

 

RAID 구성 시에는 같은 모델, 용량, RPM으로 구성해야 장애 없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RAID 구성 시 최소 용량과 RPM은 동일해야 한다. 안 지켜질 시 블루 스크린 등 장애발생.

 

1. 최소 HDD 개수

   : 2개 이상(2의 배수 개수로 구성가능) why? HDD 1개당 복사할 HDD가 필요하기 때문에

     EX> 2, 4, 6, 8, 10 ~

 

2. 용량 산정

   : C = N * D/2 (C : 총 용량, N : DISK 개수, D : HDD 용량)

     EX> 2 * 70G /2 = 70G (2개일 경우)

           4 * 70G /2 = 140G (4개일 경우)

 

3. 특징

   : 원본의 복사본을 그대로 생성하기 때문에 안전성, 성능, 2배의 용량이 필요하기에 용량의

     비효율성을  갖고 있다.(내결함성을 위한 구성)

 

4. 참고사항

 . 구성비용이 저렴하다.

 . 데이터 보존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다.

 . 용량이 2배가 소모되므로 용량의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5. 구성

    R1.jpg


 

RAID – 5 (Parity)

 

RAID 구성 시에는 같은 모델, 용량, RPM으로 구성해야 장애 없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RAID 구성 시 최소 용량과 RPM은 동일해야 한다. 안 지켜질 시 블루 스크린 등 장애발생.

 

1. 최소 HDD 개수

   : 3개 이상(/짝의 개수와 관계없이 구성가능)

     EX> 3, 4, 5, 6, 7 ~

 

2. 용량 산정

   : C = (N-1) * D (C : 총 용량, N : DISK 개수, D : HDD 용량) : parity disk용량이 disk 1개분량

     EX> (3-1) * 70G = 140G (3개일 경우)

            (4-1) * 70G = 210G (4개일 경우)

 

3. 특징

   : 성능은 RAID-0보다 느리지만 성능, 안정성, 용량의 활용성에 대한 부분을 고려해 한 곳에 특화된 것이

     아닌 3가지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형태.

   : 데이터 복구 시 Parity bit를 사용한다.

 

4. 참고사항

 . 구성비용이 돈 좀 든다.

 . 읽기 속도는 빠르지만, 쓰기 속도는 느리다.(why? Parity bit를 계산하여 조합하기 때문에)

 . 구성이 된다면 RAID -0, 1 보다 RAID-5 구성이 좋다.

5. 구성 

    R5.jpg


                                    RAID – 01 (0+1)

 

RAID 구성 시에는 같은 모델, 용량, RPM으로 구성해야 장애 없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RAID 구성 시 최소 용량과 RPM은 동일해야 한다. 안 지켜질 시 블루 스크린 등 장애발생.

 

1. 최소 HDD 개수

   : 4개 이상(/짝의 개수와 관계없이 구성가능)

     EX> 4, 5, 6, 7, 8 ~

 

2. 용량 산정

   : C = N * D /2 (C : 총 용량, N : DISK 개수, D : HDD 용량)

     EX> 4 * 100G = 200G (4개일 경우)

            6 * 100G = 300G (6개일 경우)

 

3. 특징

   : RAID-0, 1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지만 RAID-1의 특성인 용량의 비효율성은 그대로 유지

 

4. 참고사항

 . 구성비용이 비싸다.

 . 읽기, 쓰기 속도가 빠르다.

 . DISK 장애 시 내결함성은 갖고 있으나, Fail disk의 데이터 복구 시 Fail disk와 같이 구성된 disk가 많으면 많을수록 긴 시간 필요하게 된다.

       Ex> (왼쪽) 장애 디스크가 2개로 구성 시 disk 2개 분량의 복구시간이 필요.

               (오른쪽) 장애 디스크가 3개로 구성 시 disk 3개 분량의 복구시간이 필요.(R0의 특성)

 

5. 구성 

R01.png


 

RAID – 10 (1+0)

 

RAID 구성 시에는 같은 모델, 용량, RPM으로 구성해야 장애 없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RAID 구성 시 최소 용량과 RPM은 동일해야 한다. 안 지켜질 시 블루 스크린 등 장애발생.

 

1. 최소 HDD 개수

   : 4개 이상(짝의 개수만 구성가능)

     EX> 4, 6, 8, 10 ~

 

2. 용량 산정

   : C = N * D /2 (C : 총 용량, N : DISK 개수, D : HDD 용량)

     EX> 4 * 100G = 200G (4개일 경우)

            6 * 100G = 300G (6개일 경우)

 

3. 특징

   : RAID-0, 1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지만 RAID-1의 특성인 용량의 비효율성은 그대로 유지

    , RAID-01 보다 RAID-10이 관리/운용 면에서 훨씬 뛰어나다.

 

4. 참고사항

 . 구성비용이 비싸다.

 . 읽고, 쓰기 속도가 빠른다.

 . HDD 6개로 RAID 구성 시 내부적으로 RAID-01 3:3으로 RAID-10 2:2:2로 구성된다.

       따라서 DATA 복구 시 복구시간이 줄어든다. 

5. 구성

  

R10.jpg


 

RAID – 50 (5+0)

 

RAID 구성 시에는 같은 모델, 용량, RPM으로 구성해야 장애 없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RAID 구성 시 최소 용량과 RPM은 동일해야 한다. 안 지켜질 시 블루 스크린 등 장애발생.

 

1. 최소 HDD 개수

   : 6개 이상(짝수/3의 배수 개수로 구성가능)

     EX> 6, 8, 9, 10, 12, 14, 15 ~

 

2. 용량 산정

   : C = (N-RN) * D (C : 총 용량, N : DISK 개수, RN : RAID-5 구성 개수, D : HDD 용량)

     EX> (6-2) * 70G = 280G (6개일 경우)

            (9-3) * 70G = 420G (9개일 경우)

 

3. 특징

   : 성능, 안정성, 용량의 효율성은 높지만, 이에 따라서 Cost

 

4. 구성

    R50.jpg


 


출처 : http://blog.daum.net/zeromis/29

TAG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