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기타
2006.11.24 21:09

가족 및 친척에 대한 호칭

Views 5168 Votes 0 Comment 0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 내외간의 호칭


남편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여봐요, 여보, ○○씨


* 흔히 쓰이고 있는 '자기'는 일종의 유행어적 성격을 띠고 있어 인정하지 않기로 한다.


② 자녀가 있을 때: 여보, ○○아버지


* '아빠'는 공식어로 인정하지 않기로 한다.


 


 


아내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여봐요, 여보, ○○씨


② 자녀 있을 때: 여보, ○○엄마(어머니)


③ 장노년: 여보, 임자, ○○할머니


 


 


2) 시부모에 대한 호칭


① 시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버님


② 시어머니에 대한 호칭: 어머님, 어머니


* '어머니'는 고부간에 친딸처럼 가까워졌을 때 쓸 수 있겠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어머님'을 쓰는 것이 좋다.


아들의 경우 자기 부모를 '아버님, 어머님'이라 하지 않고 '아버지, 어머니'로 부르고, 며느리는 시부모를 '아버님, 어머님'이라 하고 친부모를 '아버지, 어머니'라 구분해서 부르도록 기준을 세운 점에 비추어서도 그러하다.


 


3) 며느리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아가, 새 아가


② 자녀가 있을 때: 어미야, ○○어미야


* 일상 대화 때 흔히 쓰는 '에미'는 일종의 공통어 성격을 띠고 있는 말이다.


 


4) 처부모에 대한 호칭


① 장인에 대한 호칭: 장인 어른, 아버님


② 장모에 대한 호칭: 장모님, 어머님


 


5) 사위에 대한 호칭


○ 서방, 여보게, ○○이


 


6) 내외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의 경우>


① 남편의 형(媤叔): 아주버님


② 남편의 아우(媤同生): 도련님


③ 남편의 누나(시누이): 형님


④ 남편의 누이동생(손아래 시누이): 아가씨, 아기씨


⑤ 남편의 형의 아내(손위 同壻): 형님


⑥ 남편의 아우의 아내(손아래 同壻): 동서


⑦ 남편의 누나의 남편(손위 시누이남편): 아주버님, 서방님


* '시누이남편'의 호칭은 '아저씨'라고 하는 예도 있다.


⑧ 남편의 누이동생의 남편(손아래 시누이남편): 서방님


* '서방님'은 시동생의 호칭과 혼동이 되어 좋지 않다. 손위 시누이남편이 '아저씨'라면 '아제' 정도로 고려할 만하겠다.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의 경우>


① 아내의 오빠(妻男): 처남, 형님


* 처남은 10년 이상의 연장자가 아니면 '형님' 이라 하지 않고 그냥 '처남'이라 부르면서 트고 지낸다.


10년 연장이면 형이라 하는 것은 가령 성년이 20살일 때 "나이가 배가 위면 아버지로 섬기고 (年長以培則父事之), 10년이 위면 형으로 섬기고(十年以長則兄事 之), 5년이 위면 어깨동무를 하고 따라다닌다(五年以長則肩隨之)." 는 말에 근거를 둔 것이다.


이 말은 본시 예기(禮記)」'곡례 (曲禮)' 편에 들어 있는 것을 「소학(小學)」에서 인용하고, 중종 때 박세무(朴世茂)가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엮으면서 빌어 쓴 것이다.


② 아내의 남동생(손아래 妻男):l 처남, ○○(이름)


③ 아내의 언니(妻兄): 처형


④ 아내의 여동생(妻弟): 처제


⑤ 아내의 오빠의 부인(妻男의 댁): 아주머니


⑥ 아내의 남동생의 부인(손아래 妻男의 댁): 처남의 댁


⑦ 아내의 언니의 남편(손위 同壻): 형님, 동서


⑧ 아내의 여동생의 남편(손아래 同壻): 동서, 서방


 


7) 동기와 그 배우자의 호칭


<남자의 경우>


① 형(兄): 형, 형님


② 형의 아내(兄嫂): 아주머님, 형수님


③ 남동생: ○○(이름), 아우, 동생


④ 남동생의 아내(弟嫂): 제수씨, 계수씨


⑤ 누나: 누나, 누님


⑥ 누나의 남편(妹夫): 매부, 매형(妹兄)


* 손위 누이의 남편을 자형(姉兄)이라고도 하나, 아직 보편적으로 표준을 삼기는 이르다고 여겨져 취하지 않는다.


⑦ 여동생: ○○(이름), 동생, ○○어머니(엄마)


⑧ 여동생의 남편: 매부, ○서방


 


 


<여자의 경우>


① 오빠: 오빠, 오라버니(님)


② 오빠의 아내: (새)언니


③ 남동생: ○○(이름), 동생, ○○아버지(아빠)


④ 남동생의 아내: 올케, ○○어머니(엄마)


⑤ 언니: 언니


⑥ 언니의 남편: 형부(兄夫)


⑦ 여동생: ○○(이름), 동생, ○○어머니(엄마)


⑧ 여동생의 남편: ○서방, ○○아버지(아빠)


 


8) 숙질간의 호칭


① 아버지의 형(伯父): 큰아버지


② 아버지의 형의 아내(伯母): 큰어머니


③ 아버지의 남동생(叔父): 미혼 - 삼촌, 아저씨, 기혼 - 작은 아버지


④ 아버지의 동생의 아내(叔母): 작은 어머니


⑤ 아버지의 누이(姑母): 고모, 아주머니


⑥ 아버지의 누이의 남편(姑母夫): 고모부


⑦ 어머니의 남자 형제(外叔): 외삼촌, 아저씨


⑧ 어머니의 남자 형제의 아내(外叔母): 외숙모, 아주머니


⑨ 어머니의 자매(姨母): 이모, 아주머니


⑩ 어머니의 자매의 남편(姨母夫): 이모부, 아저씨


⑪ 남형제의 아들(姪): 미성년 - ○○(이름) 성 년 - 조카, ○○아범, ○○아비


⑫ 남형제의 아들의 배우자(姪婦): (새)아가, ○○어멈, ○○어미


⑬ 남형제의 딸(姪女): 미성년 - ○○(이름) 성 년 - 조카, ○○어멈, ○○어미


 


9) 사촌간의 호칭


① 아버지 남형제의 자녀(四寸): 형님, 누님, 동생


② 아버지 여형제의 자녀(姑從): 고종, 고종사촌, 내종, 내종사촌(형님, 누님, 동생)


③ 어머니 여형제의 자녀(姨從): 이종, 이종사촌(형님, 누님, 동생)


 


10) 사돈간의 호칭


사돈끼리


① 바깥사돈끼리: 사돈


② 안사돈끼리: 사부인(査夫人), 사돈


③ 바깥사돈→안사돈: 사부인


④ 안사돈→바깥사돈: 사돈어른


 


위 항렬에게: 사장어른


 


아래 항렬에게 또는 아래 항렬끼리


①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② 여자에게: 사돈, 사돈아가씨, 사돈처녀


 


11) 직장 내 호칭


동료끼리: ○○○(○○)씨, 선생님, ○선생(님), ○○○선생(님), ○선배, (○○)언니, ○(○○○)여사


상사


① 직함이 있을 때: 부장님, ○부장님, (총무)부장님


② 직함이 없을 때: (○)선생님, ○선배님, ○여사, (○○)언니


 


아래 직원


① 직함이 있을 때: ○과장, (총무)과장, ○○○씨, ○형, ○선생(님), ○○○선생(님)


② 직함이 없을 때: ○○씨, ○형, ○선생, ○○○선생, ○여사, ○군, ○양


 


직장 상사의 가족


① 부인: 사모님, 아주머니(님)


② 남편: (○, ○○○)선생님, (○, ○○○)과장님


③ 자녀: ○○(이름), ○○○씨, (○)과장(님)


 


직장 동료 및 아랫사람의 가족


① 부인: 아주머니(님), 부인


 


② 남편: (○, ○○○)선생(님), (○, ○○○)과장(님)


③ 자녀: ○○(이름), ○○○씨, (○)과장(님)


 


12) 일상 생활에서의 호칭


친구의 아내: 아주머니, (○)○○씨, ○○어머니, 부인, ○여사


친구의 남편: (○)○○씨, ○○아버지, (○)과장님, (○)선생님


남편의 친구: (○)○○씨, ○○아버지, (○)과장님, (○, ○○○)선생님


아내의 친구: (○)○○씨, ○○어머니, 아주머니, ○선생(님), ○과장(님), ○여사(님)


아버지의 친구: ① 어린이말: (지역이름) 아저씨, ○○아버지


② 어 른 말: (지역이름) 아저씨, 어르신, 선생님, (○)과장님


어머니의 친구: ① 어린이말: (지역 이름) 아주머니, ○○어머니(엄마)


② 어 른 말: (지역 이름) 아주머니, ○○어머니


친구의 아버지: ① 어린이말: ○○아버지, (지역 이름) 아저씨


② 어 른 말: (○○)아버님, 어르신, ○○할아버지


친구의 어머니: ① 어린이말: ○○어머니(엄마), (지역 이름) 아주머니


② 어 른 말: ○○어머님, 아주머님, ○○할머니


남선생님의 아내: 사모님


여선생님의 남편: 사부님, (○, ○○○)선생님, (○)과장님


 


13) 올바른 호칭법


☆ 남 앞에서 남편을 부를 때


'그이', '그 사람'이라는 호칭이 무난하며, 가까이 옆에 있을 때는 '이이', '이 사람', 떨어져 있을 때는 '저이', '저 사람'으로 바꾸어 부른다.


남 앞에서 남편을 소개하거나 지칭할 경우에는 '제 남편', '우리남편' 등으로 '남편'을 써야 옳다.


 


☆ 남 앞에서 아내를 부를 때


'집사람', '안사람'이 적절한 호칭이다. 윗분 앞에서는 '제 아내', '제 처'로, 아랫사람이나 평교간에는 '내 아내'가 적절하다.


'마누라'는 신혼 초에는 어색하겠으나, 나이가 들어서는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쓰는 호칭이다.


 


 


☆ '미스'와 '양'


보통 20세 전후의 여성에게 '미스'와 '양'을 붙여 부르나, 요즈음은 대부분의 여성들이 '○○○씨'라 불러 주기를 바라므로 이름 뒤에 '씨'를 붙여 부르는 추세이다. 직장에서는 기혼 여성에게도 '미스', '양', '씨'로 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사모님'과 '부인'


'사모님'이라는 호칭은 본래 자기가 직접 배운 선생님의 아내를 이를 때만 쓸 수 있으나, 10세 이상 연상이나 사회적으로 스승의 자리에 앉을 만한 분의 아내에게도 쓴다.


'부인'은 자기보다 아래 나이의 여성이나 대여섯 위의 여성에 게 쓴다.


 


☆ '씨'라는 호칭


동년배이거나 나이 차가 아래위로 10년을 넘지 않을 때 쓰는 것이 좋다. 이·삼십대의 연령층이 사·오십대의 연령층에 '씨'자를 붙여 쓰는 것은 삼가야 한다.


나이 차가 10세 이상 나면 '○○○선생님' 정도가 무난하다.


 


☆ '형'이라는 호칭


'박형', '최형' 식의 '형'이라는 호칭은 아래위로 나이 차가 5년을 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5년 차 이상이 나는 연하자가 연장자에게 쓸 때는 조심해 써야 한다.


이 경우는 '○○선배님'으로 부르는 것이 무난하다.


 


☆ '자기'라는 호칭


우리가 흔히 쓰는 '자기'라는 호칭은 일종의 유행어적 성격을 띤 말이므로 일반 호칭어로는 배제한다. 이성간의 호칭으로는 어느 자리에서나 쓸 수 있는 '○○씨' 정도가 무난한 표현이라고 본다.


 


☆ 자네'라는 호칭


'자네'는 나이든 어른이 가까운 젊은이를 대접해서 부르는 호칭이며, 초면의 사람과 친하지 않으면 쓸 수 없다.


나이든 장인. 장모는 사위를 '자네'라고 불러도 무방하나 되도록 '○서방'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


 


14) 문답 풀이


문) 처남은 친구, 형님이 아니다.


아내의 오빠가 저보다 나이가 적습니다. 주위에서는 아내의 형이니까 저도 '형님'이라고 해야 한답니다. 나이 적은 사람을 어떻게 '형님'이라 합니까?


답) 여자는 시댁의 손위 동서가 나이가 적어도 남편의 서열에 따라 '형님'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남자도 처가의 가족은 아내의 서열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출가외인(出嫁外人), 즉 여자는 시집가면 친정과 인연이 끊어집니다. 그러므로 남편이 처가의 가족에게 아내의 서열을 따지지 않습니다.


처가 가족은 아내의 직계존속(장인·장모)만 인척으로서의 위계가 있고 기타는 나이에 따라 사회적 사귐으로 대접하는 것입니다.


귀하의 경우 아내인 오빠인 처남과 서로 말을 놓아 '하게'를 쓰며 친숙하게 지내는 친구간입니다. 이름을 부르고 벗을 하십시오.


 


문) 代와 世를 쓰는데 代와 世가 어 떻게 다릅니까?


답) 代와 世를 혼동하는데 엄격히 다른 것입니다.


代는 아버지와 나는 1代이고 할아버지와 나는 2代가 되어 상대와 나, 시작과 끝의 사이(간격)를 말하고, 世는 아버지와 나는 2世 , 할아버지와 나는 3世인 것과 같이 상대와 나 시작과 끝을 모두 합해서 말하는 것입니다. 또 上代下世라고 해서 윗대 조상을 말할 때 는 代를 쓰고 아랫대 자손을 말할 때는 世를 쓰기도 합니다만 자칫 혼동하기 쉬워 엄격히 구분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족보에서 世라고 할 때는 始祖를 1世로 해서 몇 世孫이라고 말하기도 하기 때문에 上代下世라고 말하기도 하나 자손을 말할 때에도 몇 世孫이라고 하는 경우를 잊어서는 안됩니다.


代는 사이(격간)이고 世는 上下를 모두 말하는 것은 엄격히 쓰여지고 있습니다.


 


15) 친척관계


부자간: 아버지와 아들


부녀간: 아버지와 딸


 


모자간: 어머니와 아들


모녀간: 어머니와 딸


구부간: 시아버지와 며느리


고부간: 시어머니와 며느리


옹서간: 장인장모와 사위


조손간: 조부모와 손자. 손녀


형제간: 남자동기끼리


자매간: 여자동기끼리


남매간: 남자동기와 여자동기


수숙간: 남편의 형제와 형제의 아내


동서간: 형제의 아내 및 자매의 남편끼리


숙질간: 아버지의 형제자매와 형제자녀의 자녀


종형제, 자매, 남매간: 4촌끼리


당·종숙질간: 아버지의 종형제자매와 종형제자매의 자녀


재종형제. 자매. 남매간: 6촌끼리


재종·당숙질간: 아버지의 6촌 형제자매와 6촌 종형제자매의 자녀


삼종형제. 자매. 남매간: 8촌끼리


구생간: 외숙과 생질


내외종간: 외숙의 자녀와 고모의 자녀


이숙질간: 이모와 이질


이종간: 자매의 자녀끼리


고숙질간: 고모와 친정조카


외종: 외숙의 자녀


고.내종: 고모의 자녀


이종: 이모의 자녀


처질: 아내의 친정조카


생질: 남자자매의 자녀


이질: 여자자매의 자녀


처이질: 아내의 이질


 


▣ 친인척 호칭법, 자녀에게 쉽게 가르쳐 줍시다.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친·인·외척의 호칭. 아이를 중심으로 가계도를 그리거나 족보로 설명하면 쉽다.


 


▼ 사촌 이내: 자, 아들아, 촌수를 배워볼까. 아버지와 네가 일촌간이고 너와 동생이 이촌간이야. 부자간이 일촌, 형제간이 이촌으로 촌수의 기본이지. 할아버지와 너는 이촌간이야. 남에게 할아버지를 말할 때는 '저의 할아버지’나 '조부'라고 한단다.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고모는 알지. 아버지의 형제자매로 너한테 촌수로는 삼촌이야.


아버지의 형제자매가 많은 집에서는 대개 아버지보다 형이면 '큰아버지, 아버지의 동생이면‘작은아버지'라고 부른단다. 그러나 아버지의 맏형만 '큰아버지'라고 하고 다음부터‘둘째아버지’셋째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 원칙이지. 남에게는 '백부', '숙부'로 말한단다.


 


▼ 다음은 사촌: 아버지 형제의 자녀가 너와는 친(親)사촌이다.


고모 딸이 네게는 고종(내종)사촌.


외가 쪽을 볼까. 엄마의 부모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엄마의 오빠와 남동생이 '외삼촌(외숙)', '외삼촌의 부인'이 '외숙모'인 것은 알지. 또 엄마의 언니와 여동생이 '이모'고 이모의 남편이 '이모부'인 것도. 이모의 자녀는 '이종사촌'이야.


◈ '외삼촌의 자녀'는 네게는 '외사촌'.


 


▼ 5∼8촌: 아버지의 사촌형제가 너한테는 오촌으로 당숙이고 부를 때는 '아저씨' 하면 돼. 당숙의 자녀는 너하고 '재종간'이야. 육촌이지. 육촌끼리는 '증조할아버지'가 같으니 가까운 편이지.


나이에 따라 형 누나로 부르면 돼. 아버지의 육촌형제가 너한테는 칠촌 재종숙으로 역시‘아저씨'라고 부르면 돼요


휴..답변이 길어졋네요.


 


님의 아내는 매형을 부를때 "시누남편"하고 부르면 되고요.현대적으로는 아이들을 빗대어 "고모부님"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옳은 호칭은 아닙니다


매형께서는 님의 아내를 "처남댁"이라 호칭합니다


좋은 답변 됫기를..

출처 :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8&dir_id=811&eid=3lR//DX1uXXKBt0rfuAxXJJTlzhwEBX1&qb=us7AziC56L/swNogvsi757b3IMH9u+e29w==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8083
2473 연애 폭소클럽 제36회 - 즉석미팅 1 (김제동) file JaeSoo 2003.08.18 18981
2472 연애 폭소클럽 제37회 - 즉석미팅 2 (김제동) file JaeSoo 2003.08.18 17808
2471 연애 폭소클럽 제38회 - 방학특집 연애특강 1 (김제동) 1 file JaeSoo 2003.08.18 16361
2470 연애 폭소클럽 제39회 - 방학특집 연애특강 2 (김제동) file JaeSoo 2003.08.18 17828
2469 연애 폭소클럽 제40회 - 방학특집 연애특강 3 (김제동) file JaeSoo 2003.08.18 16842
2468 웹 프로그래밍 이미지 특정 부분에 링크 만들기 처누 2003.08.24 15624
2467 웹 프로그래밍 게시판에 자신의 FTP 자료 올리기 3 처누 2003.08.25 13135
2466 동식물 고양이 클리닉 - 고양이 기르기 file JaeSoo 2003.10.10 13693
2465 동식물 고양이 클리닉 - 고양이 품종 file JaeSoo 2003.10.10 13427
2464 동식물 고양이 클리닉 - 2개월에서 4개월령 고양이 관리 file JaeSoo 2003.10.11 13428
2463 동식물 고양이 클리닉 - 4개월에서 9개월령 고양이 관리 file JaeSoo 2003.10.11 13132
2462 동식물 고양이 클리닉 - 다자란 고양이 file JaeSoo 2003.10.13 13922
2461 동식물 고양이 클리닉 - 나이든 고양이 file JaeSoo 2003.10.13 13679
2460 동식물 고양이 클리닉 - 고양이의 영양 file JaeSoo 2003.10.13 13429
2459 동식물 고양이 먹이와 주의사항 file JaeSoo 2003.10.13 13902
2458 동식물 아기 고양이의 식사 file JaeSoo 2003.10.13 11821
2457 동식물 고양이 사료 급여량 file JaeSoo 2003.10.13 12880
2456 기타 편지봉투 쓰는 법 file JaeSoo 2003.10.21 16993
2455 웹 프로그래밍 제로보드 로그인 실패시 이유를 메세지로 알려주기 처누 2003.11.04 8458
2454 웹 프로그래밍 최근 게시물 출력시 링크게시물에 스타일시트 적용하기 처누 2003.11.06 79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