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현황분석 및 전략수립 단계에서 식별된 정보화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업무적, 기술적 개선방안을 적정하게 수립하고, 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한 정보화 실행계획을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수준으로 정의하였는지를 점검하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 전자정부법 시행령 [시행 2014.1.1.] [대통령령 제25050호, 2013.12.30., 타법개정]
- 정보시스템 감리기준(행정안전부고시 제2012-11호)
-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V2.0 (한국정보화진흥원 공지, 2013.08)
- 개선모델 및 실행계획 수립
- 기술 : 응용(Application), 데이터(Data), 기반기술(Infrastructure Technology), 보안(Security)
- 품질보증활동
- 정보화계획 : 응용(Application), 데이터(Data), 기반기술(Infrastructure Technology), 보안(Security)
- 적용도구 : 정보화계획 영역의 데이터아키텍처 분야에 대하여 데이터 모델링 점검도구 적용 등
- 발생원인 별 장애요인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필요
- 환경분석/현황분석에서 도출한 시사점 및 개선과제를 통합하고 정제하는 작업 필요
- 관련 업무 프로세스의 상세화 및 관계 산출물 간의 일관성 확보 필요
- 전체 업무 프로세스 확인이 가능한 통합 프로세스 작성 필요
-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표준화 계획 보완 필요
- 개선모델에서 구성요소간 관계 미정의 등의 보완
- 응용아키텍처 기능 정의와 시스템 규격(안) 간의 불일치 등 미흡한 사항들의 수정
- 개선모델의 개선과제 중 근거 및 필요성 제시 등의 보완
- 개선과제 및 세부 개선과제 간의 미흡한 연관성 제시를 보완
- 개선모델 수립의 논리적 흐름 불명확 등 미흡한 내용을 보완
- 개정대상 법제도와 타 영역 이행과제 간의 연관성 파악이 용이하도록 보완
- 행정정보데이터베이스 표준화지침 및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기술지침 등 표준화 요건 적용계획 작성 필요
- 개선과제와 이행과제 간의 상호 매핑 보완
- 개선모델의 개선과제와 통합이행계획의 이행과제 간의 연관성 확보 필요
- 이행과제별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이행전략 수립 필요
- 정보시스템 운영 인력 확보의 전제조건, 견적과정, 견적내역 및 근거자료의 상세한 제시 필요
- 코드 표준화 방안 보완, 단위시스템간 연동 지침 수립 필요 - 시스템 운영을 지원하는 각종 관리기능들의 체계적/효율적
- 기능점수(Function Point) 추정의 도출내역 상세화 및 중복 반영 부분 삭제 필요
- 산출물에 기술하는 용어의 표준화와 정제 필요
- 사업목표 및 업무개선 방향 등의 적정한 도출 가능
- 해당 조직의 목표 및 전략의 명확한 식별 가능
- 정보화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업무적/기술적 개선방안의 적정한 수립 가능
-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수준의 정보화 실행계획 수립 가능
- 업종/업무별로 BPR/ISP사업 감리 또는 정보화 사업 감리의 지식베이스 활용
- 필요시 전문가를 자문위원으로 활용(사내 시니어 컨설턴트, 학계/연구소/관계 기관의 자문위원 등)
- 연구기관/학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인천대학교/한국지역정보개발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