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수에 탕(끓안 국)을 놓게 되면 진설을 5열로 배열한다. | 
1) 밥과 국의 위치: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 이다.  2) 남자, 여자 조상의 위치: 남자 조상은 서쪽 여자 조상은 동쪽 이라는 뜻이다.     남자 조상은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는 오른쪽에 놓는다. (제사자의 입장에서 볼때) | 
 | 
 생선과 고기의 위치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머리, 꼬리의 위치 |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머리는 오른쪽으로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제사자의 입장에서 볼때) | 
 | 
 적(부침)의 위치 | 
굽거나 데운 적(부침)은 제사상의 중앙인 3열 가운데 놓는다. | 
 | 
 과일의 위치 | 
붉은색의 진한 과일은 동쪽(오른쪽), 흰 과일은 서쪽(왼쪽)에 놓는다. | 
 | 
 첫째 줄에는 과일 이외의 조과(유과, 약과)등을 홀수로 진설한다. | 
 | 
 둘째 줄에는 나물을 놓는데 홀수로 진설한다. | 
 | 
 셋째 줄에는 탕(끓인 국)을 진설 하는데 1, 3, 5 ,7 홀수로 놓는다. | 
 | 
 어탕은 동쪽, 육탕은 서쪽에 위치하며 고춧가루는 전혀 쓰지 않고 건더기만 담고 국물은   거의 담지 않는다. | 
 | 
 넷째 줄은 불에 굽거나 찐 음식인 적(부침) 과 기름에 튀긴 전을 놓는다. | 
 | 
 다섯째 줄은 밥과 국을 놓는다. (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놓는다) | 
 | 
 전과 상식 | 
 전 : 일단 빈소를 차린 후 영정 앞에 제물을 차리는데 이를 전을 올린다고 말하고 이는 입관 전까지 고인이         살아 있을 때와 같이 모신다는 뜻이며 떠도는 혼령을 위로하기 위함이다. | 
 상식 : 조석으로 고인에게 차려 올리는 음식을 말하며 입관 후 성복이 끝나면 상식을 올린다. | 
※ 성복이란 = 입관 후 상복을 입는 것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