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조회 수 827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론> - 왜 이런 내용을 정리했나?

써놓고 나니 엄청 시덥잖은 내용인 듯. ㅋㅋㅋ
혹시 용어가 저처럼 헷갈렷던 분은 약간이라도 도움 되시라고 부끄럼을 무릅쓰고 올립니다. 결론만 보셈.
아님 누가 보고 지적해주세요. 고치게요.

1) 공대 컴공과 석사출신인 신 모 아저씨(결혼한지 벌써 1년이 되가는군요)와 이야기 나누면서도 서로 말이 엇갈려서 무척 황당했던 기억.
 "논문지에 투고했다"는 말을 하는데 알아들을 수 없었음. "지"라는 말은 한자로 모은다는 것 아닌가? 논문지란 말을 그때 처음 들었고, '논문은 그냥 논문이고, 논문지에 내야 제대로 한거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아마도 이사람 이야기는 '논문이 학술대회에 초록만 내는 것 또는 포스터 수준을 의미하고, 논문지에 낸다는 것이 Journal에 original article 등으로 publish 한다'는 의미겠거니 했습니다.

2) 한 블로거가 올린 글에서, '저널을 골랐다'고 했는데, 저는 'NEJM을 볼까(혹은 NEJM에 투고할까) BJM을 볼까 하고 고민하다 BJM을 보자(혹은 BJM에 투고하자)고 결정'했겠거니 했으나,
뒤에 글을 보니 그게 아닌 듯 했습니다. 아마 좀 전의 저처럼 저널, 논문, 학술지, 학술저널, 논문지, 저널지 등의 용어가 막 헷갈리고 있을 것 같았습니다.

가끔 말이 헛나오거나 하면서 또 헷갈립니다.
그래서 시간을 좀 투자해서 이렇게 정리해봤습니다.



<본론> - 용어 분석

특별한 설명 없이 써있는 숫자는 구글코리아 검색에서 결과 숫자입니다. (검색은 2008년 7월 8일 시행)

1. 논문: 32,800,000
[명사]
1 어떤 것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자기 의견이나 주장을 적은 글. 그 체계는 대개 서론, 본론, 결론의 세 단계이다.
2 어떤 문제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적은 글. - from naver 국어사전

2. 저널: 33,000,000
[명사]정기적으로 간행되는 신문이나 잡지. ‘언론’으로 순화. - from naver 국어사전

따라서, '논문이 저널에 실리는 것'은 잘 아실테지요.

3. 학술지: 6,240,000 - 유명학술지: 5,310 - scientific journal
[명사]학술·예술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글을 싣는 잡지. - from naver 국어사전
[學術誌] <명사> 학술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글을 싣는 책.  - from yahoo 국어사전
[명사] 학술·예술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글을 싣는 잡지. - from 다음국어 사전

4. 학술저널: 302,000
학술지란 말과 같음. 결론은, 저널을 한자로 표현하면 지(誌)

5. 학회지: 2,740,000  - 유명학회지: 280 - Journal(지) of ________ Association (학회)
 - 대한의료정보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의료정보학회의 영어 공식명칭은 KOSMI)
 - 대한신경과학회 국문학회지: J Korean Neurol Assoc (대한신경과학회의 영어 공식명칭은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 한국통계학회 학회지 - JKSS: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한국통계학회의 영어 공식명칭은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naver, yahoo, 다음 모두 특별한 사전 정의는 안나왔습니다.
제 생각에, "학회(학회에 대한 의미는 consensus가 확실한 듯)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라는 좀 더 한정된 의미로 학회지를 이해하면 될 듯.
사실, 학회가 아닌 곳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는 거의 없다고 보이므로(혹시 있다면 누가 알려주시길).

cf. 학회집: 학회집에서는 학회가 association이 아니라 학술대회(symposium 정도?)의 축약 표현이고, 여기 발표되는 초록 수준의 간략한 논문을 그냥 모았다는 의미로 지가 아닌 집이란 말을 쓰는 듯.
    요즘은 그냥 완전하게 풀어서 학술대회 초록집, 학술대회 논문집, 학술대회 발표집 등으로 많이들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6. 학회저널: 9,210
학회지란 말과 같을 듯. 사회과학 관련 학회의 이름이 눈에 많이 띄는군요.

7. 논문지: 259,000 - 유명논문지: 9
DBPIA에 보면, 전자공학회지 말고, 전자공학회논문지가 있습니다. 전자공학회잡지도 있고.
즉, 논문만 모은 것을 논문지라고했고, 학술대회 논문은 논문집, 학술회의 논문집도 있고, 학술발표회 논문집도 있다.
학술대회초록(proceeding)을 묶어서 발간한 경우를 보통 초록집이라고 하는데 초록집과 논문지와 잡지 등 여러가지 세분화시킨 용어인 듯.

-> 논문지란 말은 해당 학회에서 학술지가 여러종류일때 쓰는 용어인 것 같습니다.
학술지가 1종류이면 대개는 학회지로 이름이 끝나고,
2가지 이상이면, 수준에 따라 1) original article, review article 등의 paper 수준의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거치는 경우를
논문지라 하고, 2) 그렇지 않고 학술대회 발표수준인 경우는 초록집, 3) 잡지도 있고,  4) 학술대회논문집(모음), 등등 여러 종류가 가능하군요(대한전자공학회의 예.)
정보과학회, 전자공학회 등 공대쪽 학회에서 발행하는 정기간행물들은 논문지와 학회지 학술발표논문집 등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8. 저널지: 15,700 - 유명저널지: 80
잘못된 용어 같음. 대개 journal이 번역되어서 지라고 하는 것 같으므로, 용어의 반복인듯.

9. 학술논문: 3,870,000        
10. 학위논문: 2,450,000
좀 알았으니, 이건 쉽겠지요.
학술논문은 학술지(비슷한 말로 학회지 논문지 등, 영어로 Journal)에 투고(영어로 submit)해서 실린(published) 논문(paper, article)을 의미.
학위논문은 학사/석사/박사 등의 학위(degree)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 학사는 학위논문없이 시험으로 대체하는 경향이 많은 것 같고, 석사부터는 학위논문을 써야됨.



<결론> - 이것만 보면 되겠군욤

논문은 학위논문(thesis, dissertation 등)과 학술논문(article, paper 등) 등을 의미하고,
저널(journal)은 학회등이 중심이 되어서 학술논문들을 모아 만든 정기간행물 등을 의미합니다. 같은 말로 학술지,학회지가 있음.
학술논문보다 수준이 낮은 글이 저널로 나갈 경우, 논문지와 학술대회초록집(줄여서, 학회집) 등으로 분리 가능.




펌 : http://shimdong.tistory.com/4
?
  • ?
    배수일 2012.01.28 04:01 SECRET

    "비밀글입니다."

  • profile
    JaeSoo 2012.02.01 18:18

    네 수일님도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도움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8094
149 기타 MBTI검사 16가지 유형 “간단 명료”하게 정리! file JaeSoo 2025.07.01 132
148 기타 기타 사이즈 file JaeSoo 2024.07.25 187
147 기타 잠깐만요! 기타 고르시기 전에 나에게 맞는 기타사이즈는?? (+입문용,중급 기타추천) file JaeSoo 2024.07.18 85
146 기타 Recuerdos de la Alhambra - YunJun - 통기타로 연주하는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 YunJun(조각나암) JaeSoo 2024.07.11 62
145 기타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기타 연습영상 JaeSoo 2024.07.11 63
144 기타 좋은 의자, 책상 조사 - 허만밀러(Herman Miller), 퍼시스(Fursy), 일룸(Iloom), 컴프프로(Comf-Pro), 니스툴(Nistul) file JaeSoo 2013.07.10 6696
143 기타 IFTTT 활용하기 file JaeSoo 2013.07.10 4432
142 기타 조본 업 (UP by Jawbone) FAQ - 자주 묻는 질문 JaeSoo 2013.07.10 3134
141 기타 조본 업(Jawbone Up) - 피트니스밴드 file JaeSoo 2013.07.09 4417
140 기타 드롭박스(Dropbox) 기본 용량 2GB? 4.38GB! 부터 시작! JaeSoo 2013.05.20 9093
139 기타 RSS 주소 모음 JaeSoo 2013.05.07 12465
138 기타 손자병법, 권모술수의 36계 JaeSoo 2013.04.15 7466
137 기타 손자병법 1계에서 36계까지 JaeSoo 2013.04.15 3730
136 기타 손자병법 36계 - 들어가는 말 JaeSoo 2013.04.15 4079
135 기타 병법 36계 JaeSoo 2013.04.15 14548
134 기타 당신이 죽기전에 맛봐야할 칵테일들 file JaeSoo 2013.04.15 3915
133 기타 헬로비너스(HELLOVENUS) 프로필 - 아름다운 음악과 클래식한 사랑의 꽃을 피우는 여신들 file JaeSoo 2013.04.12 5264
132 기타 각 나라별 커피믹스의 종류와 특징 file JaeSoo 2013.03.28 5246
131 기타 스마트폰 콜택시 관련 기사, 글, 어플리케이션 JaeSoo 2013.03.12 4393
130 기타 황산에 대하여.. (묽은 황산, 진한 황산) JaeSoo 2013.02.06 57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