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조회 수 1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개인정보 보호법 전면개정, 데이터 신경제 시대 열린다
작성부서 대변인 작성자 권선정
작성일 2023-03-07 조회수 11463
첨부파일 목록
첨부파일 [참고] 230307_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위원장 브리핑 발표문(배포).pdf 다운로드
첨부파일 [참고] 230307_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위원장 브리핑 발표문(배포).hwpx 다운로드
첨부파일 230308 (조간) 개인정보 보호법 전면개정, 데이터 신경제 시대 열린다(개인정보보호정책과)FN.pdf 다운로드
첨부파일 230308 (조간) 개인정보 보호법 전면개정, 데이터 신경제 시대 열린다(개인정보보호정책과)FN.hwpx 다운로드
페이지 URL

 

개인정보 보호법 전면개정, 데이터 신경제 시대 열린다
-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3월 14일 공포 예정 -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지난달 27일 국회를 통과한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이 오늘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 개정안에는 전 세계적인 디지털 대전환 추세에 부합하도록 ▴데이터 경제 견인, ▴국민 개인정보 신뢰 사회 구현, ▴국제 기준(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개인정보 규범 선도 등을 위하여 시급히 필요한 내용들을 담았다.

○ 특히, 2011년 법 제정 이후 처음으로 정부가 학계·법조계·산업계·시민단체 등과 2년여의 협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정비한 실질적인 전면 개정(정부안 중심으로 20개 의원안 통합)이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

□ 법 개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전 분야 마이데이터 확산, 디지털 경제 성장 견인 】

□ 첫째,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개인정보 활용 기반 조성으로 데이터 시대 신기술·신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유한 기업·기관에게 그 정보를 다른 곳으로 옮기도록 요구할 수 있는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일반법적 근거를 신설하였다.

- 이에 따라 그간 금융·공공 등 일부 분야에서만 제한적으로 가능했던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국민 개개인의 뜻에 따라 의료·유통 등 모든 영역에서 보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 더불어, 다양한 데이터 간 합종연횡이 가속화되면서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진 새싹기업(스타트업) 등 다양한 경제주체가 새로운 데이터 생태계에서 성장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가 부착된 자율주행차, 드론, 배달 로봇 등이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였다.

- 그동안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는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실과는 달리 명확한 규정 없이 운영되어 왔다.

- 이에,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업무 목적으로 운영할 경우 촬영사실을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등 운영 기준을 마련하였다.

○ 누구든 법을 쉽게 준수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으로 이원화된 규제체계를 개편하여 동일행위에는 동일규제가 적용되도록 하였다.

- 특히, 국민의 권리 보장에 도움이 되는 규정은 모든 분야로 확대*하고, 실효성이 낮은 조문은 삭제**하였다.


【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국민의 적극적 권리 강화 】

□ 둘째, 디지털 환경에 맞추어 국민이 자신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개편하여 국민과 기업·기관 간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신뢰’가 축적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그간 정보주체의 ‘동의’에만 과도하게 의존했던 개인정보 처리 관행에서 벗어나, 상호계약 등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동의 없이도 개인정보 수집·이용이 가능하도록 정비하였다.

- 또한, 개인정보위가 기업·기관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평가한 후 개선하도록 하여 국민이 자신의 개인정보 처리에 대해 보다 쉽고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화된 결정이 채용 면접, 복지수급자 선정 등과 같이 국민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이에 대해 거부하거나 설명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신설하였다.

○ 디지털 세대인 아동에게 개인정보 관련 내용을 알릴 때에는 이해하기 쉬운 양식·언어 사용 의무를 온라인 분야에서 모든 분야로 확대하고, 국가·자치단체의 아동 개인정보 보호 시책 의무를 명확히 하였다.

○ 개인정보 분쟁조정 절차에 참여 의무를 공공기관에서 전체 개인정보처리자로 확대하고, 분쟁조정을 위해 사실확인이 필요한 경우 사실조사 근거를 마련하는 등 분쟁해결을 위한 제도를 정비하였다.


【 국제 기준(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법제도 정비 】

□ 셋째, 국제 통상에서 데이터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 기준에 부합하고 개인정보 국제 규범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외이전, 과징금 제도 등을 정비하였다.

○ 그동안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하려면 정보주체의 ‘동의’가 필요하였으나, 동의 외에도 계약·인증·적정성결정 등으로 국외이전 요건을 다양화하여 국제 규범과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였다.

- 다만, 해당 국가가 개인정보를 적정하게 보호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국외이전 중지를 명령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하여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 침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국제 기준(글로벌 스탠다드)과 달리, 개인정보 보호 책임을 기업보다는 담당자 개인에 대한 형벌 위주로 규율하고 있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도한 형벌을 경제벌 중심으로 전환하였다.

- 특히, 과징금 상한액은 글로벌 수준에 맞추어 전체 매출액의 3% 이하로 조정하고, 산정 시 위반행위와 관련 없는 매출액은 제외하도록 하여 비례성과 효과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 밖에도, 매년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와 개인정보 침해 발생 위험성이 높고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한 경우 사전에 실태점검을 할 수 있는 근거 등도 포함하여 공공·민간의 개인정보 보호체계를 공고히 하였다.

□ 한편, 오늘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개인정보 보호법」개정안은 오는 3월 14일 공포되어, 9월 15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국민은 언제든 자신의 개인정보를 실질적으로 통제하여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기업은 국민의 신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어야 한다”며,

○ “앞으로 위원회에서는 ‘국가 마이데이터 혁신 로드맵’ 마련 등을 통하여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국민이 신뢰하고 체감할 수 있는 개인정보의 비전과 정책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 개인정보보호정책과 임종철(02-2100-3055), 정승인(02-2100-3057)

 

출처 : https://www.pipc.go.kr/np/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S074&mCode=C020010000&nttId=8674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562
31 법/정책 개인정보 보호법 제2차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JaeSoo 2023.06.12 316
30 법/정책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알아야 할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file JaeSoo 2023.06.12 201
29 법/정책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3.05.19~23.06.28) file JaeSoo 2023.06.12 163
» 법/정책 개인정보 보호법 전면개정, 데이터 신경제 시대 열린다 file JaeSoo 2023.06.12 170
27 법/정책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특수법인’해당 여부 판단 기준 JaeSoo 2015.05.27 461
26 법/정책 특수법인 JaeSoo 2015.05.26 364
25 법/정책 경기도 공동주택 관리 감사 조례안 file JaeSoo 2015.03.26 413
24 법/정책 소득세법 시행령 JaeSoo 2014.12.24 458
23 법/정책 소득세법 JaeSoo 2014.12.24 339
22 법/정책 선택적복지 포인트 과세 여부 질문입니다. file JaeSoo 2014.12.24 723
21 법/정책 선택형 복지포인트 근로소득 제외 여부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JaeSoo 2014.12.24 797
20 법/정책 의료기관 인증 관련 법령 정보(의료법) file JaeSoo 2013.12.07 2269
19 법/정책 수학여행·수련활동 용역 다수공급계약 업무처리기준 JaeSoo 2013.12.03 2247
18 법/정책 다수공급자계약 2단계경쟁 업무처리기준 JaeSoo 2013.12.03 2404
17 법/정책 규정, 규칙, 지침, 훈령, 예규 JaeSoo 2013.11.26 3360
16 법/정책 각종 법령 제명의 '규정'과 '규칙' 차이점 file JaeSoo 2013.11.26 2560
15 법/정책 사이버 명예훼손 file JaeSoo 2013.11.09 2268
14 법/정책 명예훼손에 관한 수배 (형사사건) JaeSoo 2013.11.09 2336
13 법/정책 고소와 고발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설명 부탁드립니다. JaeSoo 2013.11.09 2906
12 법/정책 사이버 명예훼손!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라구요! file JaeSoo 2013.11.09 3327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