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자동차
2012.12.29 02:44

엔진오일 종류

조회 수 42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W40 ?

W : Winter 의 약자

W 앞 숫자 : 환경이 저온일때의 엔진오일 점도이며 (겨울철)

W 뒤 숫자 : 환경이 고온일때의 엔진오일 점도이다 (여름철)

숫자가 '0'에 가까울수록 묽은오일(점도가낮은오일)이며 숫자가 클수록 된오일(점도가높은오일)

 

외기온도에 따른 엔진오일의 점도 추천

(풀이) 5W40의 엔진오일은 겨울철의 영하 30℃부터 여름철의 영상 40℃정도의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SAE OW30 : 영하 40, 45℃ 에서 영상 30℃ 정도
        5W30 : 영하 35, 30℃  ~   영상 30℃
        5W40 : 영하 35, 30℃  ~   영상 40℃
        5W50 : 영하 35, 30℃  ~   영상 50℃
       10W30 : 영하 25, 20℃  ~   영상 30℃
       10W40 : 영하 25, 20℃  ~   영상 40℃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는 엔진오일 점도 : 5W30, 10W30

우리나라 4계절 기후조건을 폭 넓게 사용하는 오일의 점도 : 5W40

디젤엔진의 점도는 대체적으로 점도가 높은 오일을 사용 (10W40, 15W40)

 

 

엔진오일의 종류

1. 광유계오일 : 원유를 정제한 Base Oil(기유) + 첨가제

2. 부분합성계오일 : 광유계오일 + 합성기유 + 첨가제

3. 100% 합성오일

 

 

엔진오일의 역할

   윤활작용 -  엔진내 금속끼리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마모를 예방
   청정작용 -  엔진내부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등의 이물질을 세척
   밀봉작용 -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틈을 밀봉하여 가스의 유입을 예방
   방청작용 -  금속표면이 공기에 의해 녹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

   냉각작용 -  엔진의 과열을 예방

 

어떤 엔진오일이 좋은가?

차량종류, 주행환경, 운전습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연비를 중요시하느냐, 엔진보호를 중요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내주행이 많은지 고속도로 주행이 많은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글 읽어 보세요 .

 

먼저 합성엔진오일이라 무엇인가

 

관련자료를 참고로 하여
간단하게 요약정리를 해 봤습니다.
참고하여 주십시요.

# 엔진오일은 크게 3가지 종류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1.광유계오일 : 원유를 정제하여 생산한 Base Oil(기유)에
                 첨가제를 배합하여 생산한 오일.

  2.부분합성계오일 : 광유계오일 + 합성기유 + 첨가제

  3.100% 합성오일 : 원유를 정제하여 불순물을 제거한후, 인위적인 화학
공정을 거쳐 최적의 분자구조를 갖는 화학물질의
합성기유(PAO. ESTER..),
또는 수소화처리공정의 수차례 정제과정을 거쳐
최적의 분자구조를 갖는 합성기유에(VHVI)
첨가제를 배합하여 생산한 엔진오일.

                   *어떤 합성기유라도 그 나름대로 장단점의 차이는
있습니다. 원료가 비싸다고 해서 모든면에서 최고의
우위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제조사만이 갖는 독특한
노하우및 기술력에 따른 경쟁하에 합성엔진오일의
품질은 계속 개선되어 나갈 것입니다.
      
# 합성엔진오일의 장점들.
 
  1.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도 윤활성이 뛰어납니다.
  2.낮은 온도에서 엔진의 시동성이 좋아 초기마모를 예방해줍니다.
  3.높은 온도에서도 오일의 점도변화가 작습니다.
  4.휘발성이 낮고 열안정성이 뛰어납니다.
  5.마찰에 따른 마모를 감소시키고 적정의 유압을 유지해줍니다.
  6.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아 엔진의 청정성을 유지해줍니다.
  7.오일교환주기의 연장 및 연비향상등의 경제성을 제공합니다.

# 여러조건및 상황에 따라 그 차이는 있겠지만, 점차적으로
  오일의 점도는 저점도화(0W/xx,5W/xx) 되는것이 세계적 흐름입니다.
  저점도의 엔진오일이 갖는 장점과 함께
  고온에서도 열안정성이 뛰어난 엔진오일,
  
  그리고 최상의 연비를 얻어내고자하는
  Maker의 요구와 노력에 따라,
  합성엔진오일의 수요범위는 점차 확대되리라 생각합니다.

 

 

 아래는= 운전자의 체감과 엔진오일의 기능에 대한 이해

 

1.엔진윤활과 마모방지작용 : 금속과 금속의 표면사이에 유막을 형성시켜 금속
면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합니다.
2.엔진부품의 냉각작용 : 마찰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며,부품의 마찰
부위에 발생한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는 작용을
합니다.
3.밀봉작용 : 피스톤과 실린더벽 사이에 윤활막이 형성됨으로서 연소가스가 새
             는 것을 막아주며 출력의 저하를 막아줍니다.
4.방청작용 :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수분등을 중화시키
             고 기계부품에 피막을 형성하여 녹과 부식을 방지합니다.
5.청정분산작용 : 엔진내 발생하는 슬러지의 형성과 오염물질이 응집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미립자로 분산시켜 엔진의 주요부품을 보호합니다.   
6.기포발생 방지작용 : 엔진오일로 유입된 공기는 거품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거품은 엔진의 냉각성능 윤활을 저하시킵니다.

또한 거품은 하중을분산시킬 능력이 없으므로 기계부품의 마모을

초래하는 바거품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의 역할을 합니다.

위와 같이 운전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중요한 기능을 감당하는 것이 엔진오일의 역할이고, 광유계의 오일보다는 고급의 합성기유로 생산된 합성엔진오일이 엔진보호의 역할을 더 잘 감당하는 것은 당연하며, 합성엔진오일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입니다.
물론 엔진보호외에도 주행성능의 향상과 엔진오일 교환주기의 연장등.. 자동차 관리가 유리한 것은 당연하겠습니다.

그러나 많은 운전자들은 이런 눈에 보이지 않는 중요함 보다는, 엔진오일 교환후에 귀에 전달되는 엔진소음과 발로 느끼는 주행의 느낌으로 "좋다" "나쁘다" 또는 일반 광유계 오일과 "별 차이가 없다"라는 주관적인 표현으로 엔진오일의 질을 평가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물론 저도 그 점에 있어서 예외는 아니며.. 고급의 합성오일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의 공통적인 요구조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위의 여러 항목에 걸쳐 평가되어야 할 엔진오일이, 단순히 엔진소음등 한 두가지의 느낌만으로 평가된다면 굳이 고급의 합성오일을 사용할 필요는없을 것입니다.
엔진소음등 출력향상을 위해서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엔진첨가물과 특수한(?) 엔진첨가제가 배합된 엔진오일의 사용만으로도 체감적인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일부 불량 제품을 사용하였을 경우 처음의 느낌은 만족스럽지만 장시간 사용시 엔진내의 찌꺼기 발생 및 오염물의 응집으로 인하여, 엔진에 더 많은 해를 끼치는 결과도 초래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또 다른 만족감을 얻는데 있어서는, 운전자의 심리적인 기분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겠습니다. 사람마다 감성이 다른 것을 감안한다면 모두 똑같지는 않겠습니다만, 값이 비싼 제품이 뭔가 좋아도 좋다는 고정관념과 기대심리.. 값이 저렴한 제품은 웬지 싸구려 제품이라는 인식등.. 이런 소비자의 기분학적 만족감(?)을 이용하여 많은 업자들은 고가 유통정책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투입된 합성기유와 원료가 고급의 것으로써 어느정도 가격대가 높은 제품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동등한 원료의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유통되는 가격의 차이가 많은 것은 역시 거품이 한몫 한다고 하겠습니다.

또 소속된 자동차 동호회의 여론에 따라 운전의 만족감은 많은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어떤 특정 오일이 모동호회에서는 인기가 많은가 하면 다른 동호회에서는 맥을 못추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물론, 자동차별 엔진구조의 특성상 궁합(?)이 맞지않는 오일이 있을수 도 있겠습니다만.. 다른 사람들의 평가가 제품의 인식과 사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엔진오일의 사용 느낌은 기분에 의한 것이 반이상 영향을 받지 않을까.. 개인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역시 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어떤 엔진오일을 사용해도 항상 꾸준한 만족감을 주는 오일은 없는 것 같습니다. 처음 얼마간은 좋게 느껴졌던 오일이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몸에 익숙해지면 평상시의 느낌이 되는 이치와.. 운전자의 컨디션과 날씨 상황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고급의 세단차 느낌이 올때가 있는가 하면, 화물차 타는 느낌이 올 때가 있는 것처럼 항상 똑같지만은 않음을 느끼곤 합니다.

결론적으로, 저희가 취급하는 합성엔진오일만으로도 우리나라 및 외국의 고급명차, 그리고 여러 운전조건을(정숙주행 및 스포츠주행)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또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제품들도 다양하다고 생각합니다.

동일한 메이커에서 생산한 오일도 100%합성유와 반합성유 그리고 광유계등 여러종류의 오일이 있습니다. 또 100% 합성유라 하더라고 점도규격의 묽기에 따라 운전자의 체감적 느낌은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예컨대, 똑같은 쌀로 밥을 하더라도 "진 밥"과 "된 밥"의 끈적거리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 밥맛이 약간씩 다른 경우입니다)

엔진오일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용도에 맞는 오일점도와 API 및 ACEA.. 여러규격과 적정한 가격대의 제품으로, 너무 예민함보다는 편안하게 엔진을 관리한다는 마음을 갖고 사용하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

 

아래는= 엔진오일 규격을 정하는 단체

 


[규격인증기관]
API   : 미국석유협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CEA  : 유럽자동차 제조자협회
       (Association des Constructeurs Europeens d´Automobiles)
SAE   : 미국자동차 기술자협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ILSAC : 국제자동차윤활유 표준승인협회
      (International Lubricant Standardization and Approval Committee)
DIN   : 서독규격협회 (Deutsches Institute fur Normung)
IP    : 영국석유협회 (The Institute of Petroleum)
CCMAC : 구주 공동시장 자동차 제조업자협회
        (Committee of Common Market Automobile Consturctors)
AGMA  : 미국 기어 제조업자협회
        (American Gear Manufacturers Association)
FMVSS : 미연방 자동차 안전규격(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MIL   : 미국군용규격(Military Specifications)
CAFE  : 연료소비규제협회(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ISO   : 국제표준협회(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NLGI  : 국제그리스 윤활협회(National Lubricating Grease Institute)
BS    : 영국규격(British Standard)
CEC   : 유럽공동체 협의회(Coordinating European Council)
JIS   : 일본공업규격(Japan Industrial Standard)
NDS   : 일본방위청규격(Nippon Defense Standard)
JASO  : 일본자동차 기술협회(Japan Automotive Standard Organization)
KS    : 한국공업규격(Korean Industrial Standard)

 

아래는 =좋은 엔진오일의 기준과 선택에 관한 의견

 

 

안녕하세요~
저희 매장에 오신 손님들에게 가끔 이런 농담을 하곤 합니다.

"여기 진열된 제품들중 눈감고 아무거나 골라도 그 제품은 최고의
명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씀은 저희가 취급하는 대부분의 합성엔진오일은 원료와 제조기술등
모든 것이 일반 광유계 오일에 비해 뛰어난 제품성을 지니고 있다는 표현
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사람의 입맛이 각각 다른 것처럼 100%합성엔진오일도 운전자의
주관적 느낌과 기분, 메이커 선호도에 따라 평가가 엇갈리기도 합니다.
이렇듯 "어떤 오일을 사용해 봤더니 느낌이 좋더라 또는 나쁘더라"라는
표현은 각각 다를 수 있지만 한가지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합성엔진오일이 지니고 있는 우수성은 엔진보호 및 교환주기의 연장등 여러
측면에서 편안하게 엔진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많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체감적인 주행느낌을 얻는 것도 좋은 일이지만... 굳이 일반 순정
오일과 별다른 느낌의 차이를 얻지 못하더라도, 엔진의 내구성을 높여주고
엔진을 손 쉽게 관리해준다는 마음으로 합성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겠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오일선택시 기준이 될만한 내용 몇가지를 말씀드리
고자 합니다. 기존에 언급했었던 내용도 일부 중복되었으니 양해 바랍니다.

먼저, 합성오일을 선택할때는 적정점도의 오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가 취급하는 100%합성엔진오일의 점도규격 종류를 보면 0W30, 0W40,
5W30, 10W30, 5W40, 5W50, 10W40, 15W50, 15W60, 10W60.. 등 여러 점도의
종류가 다양하게 있습니다.

위의 많은 종류 가운데, 제조사 및 수입업자에 따라 한 두개의 점도규격만
취급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몇가지 이상의 제품을 수입하여 공급하는 회사
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점도의 종류가 많다는 것은 각 제품이 갖는 장단점
이 있음을 뜻하기도 하며, 운전여건에 따라 적절한 점도의 오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운전여건이라 함은, 기후온도에 따른 적절한 점도, 운전조건(도심
주행, 장거리주행, 정숙주행, 고RPM가혹조건)에 따른 점도, 엔진의 마모된
정도에 따른 적합한 점도, 엔진제작자의 추천에 따른 점도등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

이렇듯, 같은 Maker의 제품들도 점도수치의 차이로 인해 그 용도와 주행
느낌은 어느정도 차이가 있으며 제품의 가격도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메이커의 차종이라 하더라도, 위의 여건에 따라 적합한 점도의 엔진
오일은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제품선정시에 제품안내의 설명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을 수 밖에
없겠습니다만 (제품특장점에 기술된 내용 대부분은 다른 메이커의 제품들과
비교하여 그 내용이 거의 대동소이합니다) 상품설명서에 명기된 내용만으로는 적합한 점도의 오일을 선택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감안해야 하겠습니다.
그러나, 고급합성유의 경우 메이커는 달라도 같은 점도수치의 제품들이라면
그 느낌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이라고 하겠습니다.

둘째로는, 적정가격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렸듯이 같은 메이커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점도에 따라 제품
가격은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 수입된 합성엔진오일은 제품의 질이나
가격이 일반오일에 비해 높습니다. 그 제품들중에도 합성유의 기유(원료)에
따라서..    또는, 공급자의 가격정책에 따라 유통되는 가격이 아주 높은 제품도 많이 있습니다.  

어쨌든,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비싼 원료가 투입되어 생산된 제품이라 해서
무조건 좋다고 할 수만은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가혹한 운전조건의 레이싱 및 터보엔진등의 사용에 맞게 제조된 엔진오일은, 정숙주행 및 경제적
운행을 많이하는 차량에 사용할 경우 오히려 주행느낌의 저하와 연비절감등
굳이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저의 개인적 생각입니다.

따라서, 굳이 나의 운전조건과 맞지 않는 용도의 엔진오일과 뚜렷하게 제품별 사용의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면, 가격대비 경제적인 오일의 선택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어떤 메이커의 오일이 좋은가?"라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각 메이커 제품에 대한 비교는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과 기분에 의해
많이 좌우되므로 우열에 대한 비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비교하려면 같은 점도로서의 기준이 같아야 함은 물론이고, 똑같은
Maker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원산지에 따라 제품성의 차이가 있음을 감안
할 때 정확도가 떨어짐은 당연한 것이며, 어느 한부분의 느낌이(엔진소음
등..) 좋다고해서 여러 항목등 종합적으로 판단되어야 할 엔진오일로서의
모든 요건이 완벽하다고 할 수만은 없을 것입니다.
또한 제품의 Techincal Data의 자료수치상 높고 낮음의 판단으로 제품의
우열비교를 한다는 것도,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제조회사의 know-how등의
중요요소들을 감안할때, 등급을 정한다는 것 자체는 역시 주관적인
판단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아래는= 적정한 엔진오일의 용량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이 알고있는 기본적인 상식이 되겠습니다만,
엔진오일의 역할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윤활작용 -  엔진내 금속끼리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마모를 예방
   청정작용 -  엔진내부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등의 이물질을 세척
   밀봉작용 -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틈을 밀봉하여 가스의 유입을 예방
   방청작용 -  금속표면이 공기에 의해 녹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
 
   위와같은 기능 이외에도, 중요하고 대표적인 기능중의 하나가
   엔진의 과열을 예방하는 냉각작용의 역할입니다.

많은 운전자는, 엔진의 냉각이 냉각수에 의해서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크랭크샤프트, 메인 베어링, 캠샤프트와 그 베어링, 타이밍기어, 피스톤등
엔진 아래 부분에 위치한 많은 부품들은 엔진오일에 의해서 냉각이 됩니다.

그런데, 엔진오일의 양이 최대선(Max) 이상이 되면, 엔진내 크랭크축의
일부가 오일에 잠기게 됩니다. 이렇게 된다면 회전하는 중에 공기가 혼입
되면서 엔진오일은 기포(거품)를 형성하게 되는데, 기포가 있는 오일은
오일의 라인을 잘 통과할 수 없습니다.
결국, 윤활작용 및 냉각효과 그리고 엔진 힘의 저하를 초래하면서
주석(TIN)과 납(LEAD)이 주재료인 베어링의 변성이 오게 되어 부품의
손상을 입게 됩니다. 이와 반대로 오일의 양이 너무 적으면 엔진오일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역시 엔진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진오일의 적정 양(오일게이지 중간정도)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엔진에는 최상의 컨디션과 내구성을.., 그리고 운전자에게는 최상의
주행감각을 제공할 수 있음을 참고하여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아래는= 우리나라에 알맞는 엔진오일의 점도는

 

 

엔진오일은 제품 용기에 표기된 점도수치에 따라
외부온도의 대략적인 사용범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즉, 외기온도에 따른 엔진오일의 점도 추천은 다음과 같습니다.

     SAE OW30 : 영하 40, 45℃ 에서 영상 30℃ 정도
         5W30 : 영하 35, 30℃  ~   영상 30℃
        5W40 : 영하 35, 30℃  ~   영상 40℃
        5W50 : 영하 35, 30℃  ~   영상 50℃
       10W30 : 영하 25, 20℃  ~   영상 30℃
       10W40 : 영하 25, 20℃  ~   영상 40℃
       (이하생략, W앞의 숫자은 겨울철 사용점도)

   *위의 수치는 참고자료에 따라 일정부분 차이가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간단한 설명을 덧 붙이자면, 5W40의 엔진오일은 겨울철의 영하 30℃
부터 여름철의 영상 40℃정도의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따라서, 위의 내용을 참고로 하여 우리나라 계절별 기후조건에 맞는
오일을 사용하며 엔진을 관리하는 방법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고성능합성유와 일반광유의 점도에 따른 사용온도는
다음과 같이 그 범위를 달리합니다. (자료:Volkswagen/VW)
┏━━━━━━━━━━━━━━━━━━━━━━━━━━━━━━━━┓
┃ A:합성오일 ℃40╋ ┏━━━┓ ┃
┃ ┏━━━━┓ ┃ ┏━━━┓┃ ┃ ┃
┃ ┃ ┃ ┃ ┃ ┃┃ ┃ ┃
┃ ┃ ┃ 30╋ B:광유계다급오일 ┃ ┃┃SAE ┃ ┃
┃ ┃ ┃ ┃ ┃ ┃┃ 15W40┃ ┃
┃ ┃ ┃ 20╋ ┃ ┃┃ 15W50┃ ┃
┃ ┃SAE     ┃     ┃   ┏━━━┓┏━━━┓┃      ┃┃ 20W40┃ ┃
┃ ┃ 5W30 ┃ 10╋ ┃ ┃┃ ┃┃ ┃┃ 20W50┃ ┃
┃ ┃ 5W40 ┃ ┃ ┃ ┃┃SAE ┃┃SAE ┃┃ ┃ ┃
┃ ┃ 10W30  ┃    0╋   ┃      ┃┃ 10W30┃┃ 5W50 ┃┃      ┃ ┃
┃ ┃ 10W40  ┃     ┃   ┃SAE   ┃┃ 10W40┃┃10W50 ┃┃      ┃ ┃
┃ ┃ ┃ -10╋ ┃ 5W30 ┃┃ ┃┃10W60 ┃┃ ┃ ┃
┃ ┃ ┃ ┃ ┃ 5W40 ┃┃ ┃┃ ┃┗━━━┛ ┃
┃ ┃ ┃ -20╋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40╋ ┃
┗━━━━━━━━━━━━━━━━━━━━━━━━━━━━━━━━┛
메이커에 따라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위에서 본 것처럼 합성엔진오일은 5W30, 5W40, 10W30, 10W40 어떤
점도의 오일이라 하더라도 광유계 오일에 비해 저온과 고온의 폭 넓은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는 엔진오일의 점도는, 연비절약형 점도인
5W30, 10W30 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4계절 기후조건을 폭 넓게
사용하는 오일의 점도는 5W40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0W30 / 0W40 저점도 100%합성유도 사계절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점차 아열대성 기후로 변하는 우리나라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는 것과
가격적 측면(고가)도 고려해 볼 필요는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내게 맞지않는 불필요한 고온조건의 오일(5W50/10W50..)을
사용했을 때도 연비절감면에서 어느정도 불리한 점이 있음을 참고로
해야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위의 설명들도 저의 주관적 판단이듯이 0W30/40, 또는 5W50..
10W60등 어떤 점도의 오일을 사용하여 만족하였다면 사용하셔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점도가 묽은 오일을 사용했을 때, 어떤 분들은 부드럽다고 표현하는 반면
어떤 분들은 너무 헐렁(?)한 느낌이 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점도가 진한 오일을 사용했을 때, 어떤 분들은 느낌이 묵직한 것이
힘이 좋아진 것 같다고 표현한 반면, 어떤 분들은 뒤에서 뭔가 잡아 당기는 것 같이 차가 안 나간다고 합니다. (그만큼 개인차가 있다는 것이겠지요)

디젤엔진오일 점도는 가솔린에 비해, 고부하 및 가혹조건등을 고려하여
대체적으로 점도가 높은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10W40,15W40)
그렇지만, 디젤전용 100%합성유인 5W40에 해당하는 엔진오일도 점차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겨울철 사용에 유리한 점도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LPG엔진의 전용합성유는 없으며, 위의 합성엔진오일중 적당한
점도를 선별하여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에 열거한 모든 내용은 엔진상태와 운전조건에 따라서
적합한 점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자동차메이커에서 특별히 추천하는
점도의 오일도 있음을 참고하여 주십시요. (^^)  

 

 

아래는 =미션오일의 선택기준에 관하여

 

미션오일도 크게 광유와 합성유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합성유계가 품질이나 미션의 내구성 보호차원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렇지만 합성유를 사용하기 앞서서, 자동차메이커에서 추천하고
승인한 제품규격에 부합되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대체적으로 국내차종의 미션에 사용할 수 있는 미션오일은
엔진오일에 비해 제품선택의 폭이 좁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수동기어오일]

수동미션오일은 합성유 또는 광유를 포함하여 API(미국석유협회)의
기어오일 분류방법에 따라 GL-1, GL-2, GL-3, GL-4, GL-5로 분류됩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보통 GL-4 또는 GL-5급의 오일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GL-5급은 GL-4급에 비해 고하중 및 가혹한 운전조건에
적합한 원료와 첨가제가 배합된 제품입니다.

또한 GL-4, GL-5급의 기어오일은 SAE(자동차기술자협회)의 점도분류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여러 점도의 제품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L-4 : 75W80, 75W85, 75W90, 80W90, 85W140 ... #90, 140
    GL-5 : 75W80, 75W85, 75W90. 80W90, 85W140 ...

겨울철(W) 숫자가 낮을수록 유동점이 낮고
각 제품에 따라 점도지수는 다르다고 할수 있습니다.

어쨋든, 미션오일을 교환하기 전에는 적합한 규격을 먼저 확인해
주는 것이 좋겠는데...  하나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현대자동차 전륜구동미션의 싱크로나이저는 청동의 재질로 되어있는 바,
GL-4급의 기어오일을 사용하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미션에 GL-5급의 오일을 사용했을때, GL-5급에 함유된
극압첨가제(황, 인)로 인해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다고 하면서
GL-5급의 사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물론, 위 규격과 다른 제품을 사용하여 장시간 아무런 문제없이 운행되는
차량도 많습니다. 그렇지만 차종과, 전륜/후륜구동에 따라 사용되는 오일과
점도가 각기 다를 수 있음을 이 기회를 통해 말씀드리며, 내 차에 맞는
점도규격등의 내용은 자동차 취급설명서를 참고하여 주십시요.

수동미션오일의 최초 교환주기는 10,000KM 정도이고
일부 차종은 무교환으로서 교환작업 자체가 어려운 차량도 일부 있습니다.


[자동변속기오일] - ATF : Automatic Transmission Fluids

 유압에 의해 기아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변속기는 오일의 선택과
 관리방법에 따라 밋션의 수명과 차량의 컨디션이 크게 좌우됩니다.
 자동변속오일도 합성유계가 대체적으로 제품성이 뛰어나지만, 역시
 미션제작자가 추천하는 규격을 우선적으로 맞추어야 하겠습니다.

 자동변속오일도 윤활기유와 점도지수향상제, 내마모제, 산화방지제
 청정분산제등의 원료에 따라 품질이 좌우됩니다.
 사람의 혈액이 A형, B형, O형등 여러가지가 있듯이 자동변속오일도
 유체흐름의 변화 및 온도조건등 제작자의 기준들이 다르기 때문에
 제작자 추천규격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덱스론Ⅱ,Ⅲ / 덱스론Ⅱ-E / 덱스론Ⅱ-D / 포드 MERCON / 현대 SP-Ⅲ..)
 
 물론, 다른 규격의 제품을 사용하여 더 좋은 느낌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며 100,000 - 200,000KM 넘게 주행을 하는 경우도 실제로는 많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많은 차량중에서 어쩌다 한 대의 차량이 트러블등의
 문제가 발생 했을때 그 책임소재는 복잡해질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자동변속오일의 첫 교환주기는 20,000KM 정도이고 차량에 따라
 무교환방식도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아래는= 엔진오일의 점도 표시에 관한것

 

엔진오일의 역할을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금속마찰로 인한 마모예방, 밀봉작용, 세정작용, 방청작용
냉각작용 및 소음방지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엔진오일의 가장 기본적인 성질은 점도로써 (묽기의 끈적거림)
이 점도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모든 제품의 엔진오일마다 SAE (미국자동차기술자협회)에 따른
점도표기가 용기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OW30, 5W30 ..)

이 점도의 숫자가 낮으면 낮을수록 끈적거리는 정도가 묽으며
숫자가 높아질수록 점도는 진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요즘 엔진오일은 여름과 겨울을 다같이 사용할수 있는
4계절용 다급점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즉
SAE 5W30 이라 했을때 앞의 5W는 겨울철, 뒤의 30은 여름철에
사용할수 있는 점도라고 쉽게 이해하면 됩니다.

예) 0W, 5W, 10W, 15W     /   20, 30, 40, 50
   ~~~~~~~~~~~~~~~~~~~       ~~~~~~~~~~~~~~~
(겨울철) (여름철)
    *W는 Winter의 약자

바꾸어 말하면 0W, 5W, 10W는 저온에서 점도를 유지할수 있는
한계기준을 수치로 분류한 것으로 0W에 가까울수록 저온에서의 유동점이
낮아 시동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겨울철이나 새 엔진에 유리하고 연비향상에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지만, 무더운 여름이나 노후된 차량및 하중이 많이 실리는 차량에는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체적으로 합성유는 점도가 묽다 하더라도 고온하에서
유막이 끊어지지 않는 높은 점도지수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서 점도지수라 함은 온도에 따른 점도관계를 수치화 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합성유는 광유에 비해 점도지수가 상당부분 높습니다.

뒤의 30, 40, 50의 숫자는 고온에서의 점도 수치라 할수 있습니다.
40, 50의 고점도 오일은 노후된 차량 또는 가혹한 운전조건하에서
유리한 면은 있습니다만.., 무조건 좋다고만은 할수 없습니다.
그 엔진오일이 광유 또는 합성유인가에 따라서 그리고 첨가제의
질에 따라 중요한 물성인 점도지수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요즘의 모든 엔진오일은 4계절 사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지만
기후조건, 엔진상태, 운전조건에 따라 자기 차량에 적합한 점도의 오일을
선택해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구분을 하자면, 우리나라에서 0W30, 0W40의 엔진오일은 신차및
겨울철에 어느정도 유리하고 5W30, 5W40, 10W30, 10W40의 오일은
겨울을 포함하여 4계절을 폭넓게 사용할수 있는 점도라 할수 있습니다.
10W50, 10W60, 15W50의 점도는 고RPM을 많이 쓰는 가혹한 운전조건에
맞는 오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디젤차량의 경우 겨울철에는 5W40과 10W40의 점도
그리고 여름철에는 10W40, 15W40의 점도가 일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W(겨울)의 점도수치와 여름의 수치가 넓으면 넓을수록
폭넓은 온도범위를 수용할수 있는 장점과, 오일의 소모및 고온하에서
적합할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뒤의 점도수치가 필요이상으로 높을 경우, 세정작용 및 연비저하
그리고 승차감이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또한 가혹조건의 기준설정을, 어디에 맞출것인가도 생각해볼 문제겠지요.

끝으로, 같은 점도를 가진 엔진오일이라 하더라도 광유및 합성기유의
원료및 첨가제에 따라 반응속도가 틀리기 때문에, 점도만 갖고 단순비교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 점도에 따른 외부온도 기준 (대략적인 설정) #
      
    OW : 영하 -50'C 이하     20 : 상온 20'C 정도
    5W : 영하 -38'C 정도     30 : 상온 30'C 정도
   10W : 영하 -22'C 정도     40 : 상온 40'C 정도
   15W : 영하 -15'C 정도     50 : 상온 50'C 정도

 

아래는= 그렇다면 어떤 엔진오일이 좋은가?

 

결론적으로 말씀드려서, 어느 하나의 특정제품을 선별하여
최고라고 할수있는 오일은 없습니다.

그런 오일이 있다면, 저희는 그 제품만 판매하면 될 것이고..,
레이싱팀들 또한 그 좋다는 오일 한가지만 사용하면 될 것입니다.

모든 윤활유 제조업자들은 자사 제품이 최고라고 광고를 합니다.
그렇지만, 저희들같은 업자들은 100% 합성유 수준의 제품이라면
오십보백보(?)라고 말합니다.

물론 어떤 합성기유와 어떤점도를 가진 오일을 사용했는가에 따라서,
그리고 엔진의 상태및 배기량, 운전조건, 운전습관, 기후조건등에 따라
Driver의 평가는 달라지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똑같은 차종에 같은 오일을 사용해도 운전자에 따라
그 평가는 달라질수 있습니다.

합성유는 실제상황에서 일반적인 상식을 뛰어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레이싱카의 경우, 그 가혹조건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100%합성유라 하더라도
높은점도(10W60, 15W/50(60), 20W50)의 오일을 사용해야 된다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0W40, 5W/30처럼 저점도의 오일을 사용하더라도
그 가혹조건을 수용하고, 시간을 단축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아무튼, 어떤 오일을 사용하든지 운전자의 느낌이 좋다면
일차적으로그 오일은 좋은 것이라고 말할수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내가 좋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느낌까지 똑같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음식도 먹어봐야 맛을 알듯이, 오일도 사용을 해봐야
알수 있으며 그 느낌의 표현은 사람들마다 같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합성유의 느낌이 광유계오일과 별반 다른 느낌이 없을수도 있으며..,
광유계오일을 사용하면서도 차를 오랫동안 관리하며 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광유계오일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품질이 그보다 더 우수한 합성엔진오일을 사용하면서 차를 관리한다면
연비및 엔진보호등 내구성 차원에서 실보다는 득이 훨씬 더 많고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seraphhj/60119712622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110301&docId=63246159&qb=7JeU7KeE7Jik7J28IOyiheulmA==&enc=utf8&section=kin&rank=3&search_sort=0&spq=0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563
1186 인터넷 구글 개인정보 삭제요청 방법 file JaeSoo 2013.01.08 6816
1185 윈도우즈 윈도우 명령어로 간단하게 컴퓨터 자동종료하기 file JaeSoo 2013.01.08 5557
1184 소프트웨어 V3 광고 않뜨게 하기 file JaeSoo 2013.01.08 3714
1183 경제 연말정산 핵심포인트 JaeSoo 2013.01.05 2957
1182 하드웨어 터치로 컴퓨터 켜기 file JaeSoo 2013.01.04 4538
1181 웹 프로그래밍 Sketchbooks 레이아웃 for XE 태그 위젯을 설정하여도 홈페이지에 태그가 보이지 않습니다. file JaeSoo 2013.01.03 3322
1180 육아,교육 하루종일 붙어있는 아이를 위한 처방 file JaeSoo 2013.01.03 4076
1179 웹 프로그래밍 CSRF 공격에 대비한 XE 보안 체계에 대한 이해관리자 JaeSoo 2013.01.01 2634
1178 웹광고 알라딘 TTB - 악성코드 구글 검토 요청 방법 file JaeSoo 2012.12.31 4456
1177 논문 시간의 복잡도 총정리 (알고리즘) file JaeSoo 2012.12.31 4176
» 자동차 엔진오일 종류 JaeSoo 2012.12.29 4227
1175 네트워크 웹사이트 로딩시간-웹페이지의 모든 개체 로딩시간 테스트 file JaeSoo 2012.12.28 3471
1174 네트워크 웹사이트 블로그 로딩속도 테스트를 할수있는 웹서비스 모음 file JaeSoo 2012.12.28 3232
1173 하드웨어 인텔® 가상화 기술 적용 프로세서 제품군 목록 JaeSoo 2012.12.27 4244
1172 소프트웨어 분산 시스템의 소개(JEUS & WebtoB) JaeSoo 2012.12.27 4748
1171 하드웨어 PC의 WOL 기능 설정하기 file JaeSoo 2012.12.26 4028
1170 자동차 네비게이션 AUX 선 연결시 알터노이즈에 대하여 JaeSoo 2012.12.26 4284
1169 자동차 AUX 노이즈 해결 알터노이즈 file JaeSoo 2012.12.26 4499
1168 하드웨어 Asrock P55 Pro 바이오스 설정 설명 file JaeSoo 2012.12.25 4250
1167 하드웨어 Vmware Bios Upgrade (No-Execute Memory Protection) JaeSoo 2012.12.25 4383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