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u-Eco City
2008.08.08 19:39

BPR의 모든것

조회 수 62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BPR의 등장배경


 


단어의 뜻에서 알수 있듯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은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혁명적으로 고치자’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회사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의 처리과정을 A에서 Z까지 한꺼번에 고쳐서 그 개선효과를 극대화하자는 의미이다.


 


BPR의 등장배경은 ‘미통일된 기업업무 처리방식의 혼선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컴퓨터가 기업의 업무처리에 도입되면서부터’ 누적되기 시작한 ‘업무의 중복 및 혼선’이 BPR의 등장배경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더 쉽게 설명을 하자면 불과 2, 30여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 나라는 말할 것도 없고 미국의 기업에서 조차 ‘타자기’를 사용하는 구닥다리 업무방식이 전부였다. 종이 서류에 내용을 적어서 상급자에게 결재를 올리고 최종단계에서 사장이 싸인을 하면 다시 아래로 전달이 되어 실제로 일이 진행이 되는 그런 ‘단계’를 거쳐야 했다는 말이다. 하지만 컴퓨터가 회사의 업무에 도입되면서 회사원들의 일이 매우 간편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기업들은 앞을 다투어 ‘업무 전산화’에 나서게 되었다. 불행히도 거기에서부터 BPR의 필요성이 싹을 트게 된다. 기업 내부에서도 부서별로 사용하는 컴퓨터 체제가 다른 경우들이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예를 들면 전산실에서는 유닉스, 비서실에서는 도스, 영업부에서는 매킨토쉬 등을 사용하는 그런 경우가 된다. 문제는 이들 각각의 컴퓨터 시스템은 매우 훌륭하지만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결정적인 약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를테면 2003년 10월 전산실과 영업부의 보고서를 취합해서 갖고 오라는 사장의 지시가 떨어졌을 때, 문제가 복잡해 진다는 얘기가 된다. 유닉스 문서와 매킨토쉬 문서를 도스 환경에서 재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된 것이다. 편리하자고 들여놓은 컴퓨터가 오히려 업무를 더디게 만들어 버린 역설에 빠진 것이다. 그래서 ‘이래서는 안되겠다. 업무효과를 향상시키자고 들여온 컴퓨터 때문에 문제가 생겼으니 기업 전산 시스템을 통일시켜 이 참에 아예 업무 처리 과정 자체를 뜯어고치자’는 움직이 나왔고 그것을 ‘BPR’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개념


 


"할 수 있는 것"에서 "해야하는 것"으로의 혁신적인 사고 전환을 통해 회사 업무 처리 프로세서를 목적추구형, 병렬처리형 등으로 혁신시킴은 물론 이와 관련된 Infrastructure 및 Technology, Organization을 동시 에 혁신 시켜 기업의 경쟁력을 세계 초일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기법이다.


 



BPR의 목표


 


BPR은 기업활동을 부가가치의 창조를 위한 프로세스로 파악하는 것이며 이 프로세스란 고객의 주문부터 제품의 인도까지 이익을 실현하는데 핵심이 되는 활동들의 연결고리를 말한다. 기업은 모든 조직 및 활동을 이 프로세스에 집중시키기 위해 불필 요한 부분을 모두 제거, 기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킨다는 것이 BPR의 목표가 되고 있다.


 


BPR에서 말하는 프로세서란 개인이나 특정부서의 업무가 아니고 여러 부서간에 수행되고 있는 프로세스(Process)이다. 여기 에서 말하는 프로세스란 “내부 또는 외부의 고객을 위하여 유용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하여 반복적이며 측정가능한 과업(Task)의 연 결”을 의미한다. 즉, 조직 내의 연계된 프로세스를 고객입장에서 서서 경쟁자보다 월등한 성과를 내야 한다는 관점의 변화를 요구한다. 고객들은 자신이 원하는 가격의 제품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품질로 원하는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가에 관심이 있지, 어떤 부서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일을 하는가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따라서 비지니스 리엔지니어링은 내부 또는 외부의 고객요구사항을 접수하여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설정하여, 경쟁사보다 월등한 성과를 내기 위해 시도하는 프로세스 혁신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BPR의 향후 전망


 


BPR의 향후 전망은 크게 ‘독자 개발 적용 방식’과 ASP 서비스와 같은 ‘위탁 처리방식’으로의 세분화가 정착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물리적 적용범위’에서 본다면 기존의 BPR이 ‘같은 건물내’에 국한되기도 했던 것에 비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의 발달에 의해서 ‘공간 개념을 넘어선 BPR’을 예상할 수 있다. 이를테면 삼성그룹에서 사용한다는 전용 전산망 ‘싱글’은 전 세계 어느 곳에 있는 삼성 그룹내 회사에서도 동시에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이러한 BPR의 공간 개념 탈피는 대기업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자료출처 : http://blog.naver.com/kohseiuk?Redirect=Log&logNo=130017052489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773
406 윈도우즈 나도 모르게 설치된’ ActiveX 삭제하기 JaeSoo 2008.12.03 5926
405 기타 신차구입 지침서 JaeSoo 2008.11.22 4907
404 기타 신차 인수 시 차량 확인 할 점 JaeSoo 2008.11.22 5304
403 웹 프로그래밍 [제로보드XE] 메인메뉴에서 2차메뉴가 1차메뉴를 따라다니는 롤오버 메뉴로 만들기 JaeSoo 2008.11.05 4674
402 기타 핵심성과지표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JaeSoo 2008.10.27 10312
401 소프트웨어 휴먼명조(HMKSM.HFT,HMKMM.TTF) 글꼴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JaeSoo 2008.10.20 17862
400 하드웨어 HDD (下) JaeSoo 2008.10.15 5707
399 하드웨어 HDD (上) JaeSoo 2008.10.15 5178
398 웹 프로그래밍 스크롤 따라다니는 위로,아래로 화살표 JaeSoo 2008.09.26 5085
397 소프트웨어 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EA)/정보기술아키텍처(ITA) JaeSoo 2008.09.24 4664
396 건강 다크서클 왜 생기나 JaeSoo 2008.09.11 6615
395 소프트웨어 빈 셀을 특정 숫자 또는 문자로 채우기 [ASAP Utilities 이용] file JaeSoo 2008.09.10 7188
394 건강 탈모 방지를 위해 지켜야 할 6가지 JaeSoo 2008.09.10 5903
393 소프트웨어 수동설치한 한글 2005에 신명조 추가하기 JaeSoo 2008.09.03 6169
392 기타 매트릭스(matrix) 분석 file JaeSoo 2008.08.28 7142
391 u-Eco City 델파이 기법 개요 JaeSoo 2008.08.08 7173
» u-Eco City BPR의 모든것 JaeSoo 2008.08.08 6282
389 소프트웨어 미들웨어란? JaeSoo 2008.08.07 5250
388 건강 모유 잘 나오게 하는법 JaeSoo 2008.08.02 5607
387 네트워크 인터넷 친구를 만들거나 비지니스 인맥을 만드는 웹어플리케이션, SNS JaeSoo 2008.07.23 7723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