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내내 삽질했던 거라 비망록 겸해서 남긴다.
(덤으로 비슷하게 삽질하시는 분이 혹시라도 검색을 통해서 도움을 받으실 수 있게끔...)
일단, 윈도우(내 경우는 윈도우 서버 2008R2)에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마운트(기본값으로 Z드라이브에 마운트하는 듯)하고, 파일질라의 공유폴더에 Z드라이브를 입력한 후, FTP 클라이언트로 서버에 접속하면...
안에 아무 것도 없다. (쿨럭 -_-;)
...분명 드라이브 안에는 폴더와 파일들이 들어있는데, FTP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면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
덤으로 파일질라 서버 인터페이스를 띄워서 로그를 확인해 봐도 별다른 오류 로그도 없다.
(인터넷 검색해 보면 오류 로그가 출력된다는 소리도 있는데, 내 경우에는 아무 로그도 없었다. -_-)
도대체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하고 주말 내내 고민하고 회사 동료분들에게도 조언을 얻은 결과,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1. 파일질라 서버 서비스 실행 계정을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마운트한 계정'으로 변경한다.
기본 설정으로 서비스는 로컬 시스템 계정에서 실행되는데,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해당 드라이브를 마운트한 계정에 대해서만 유효하므로 서비스 실행 계정을 변경해줘야된다.
(물론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로그온할 때마다 연결되도록 설정되어있어야 한다.)
서비스 실행 계정 변경은 서비스 관리자에서 해당 서비스의 속성을 열어보면 관련 탭이 있다.
그리고.. 이게 가장 찾는데 오래 걸렸고, 또 가장 어이없는 해결방법이었는데...
2. 파일질라 서버의 공유폴더를 설정할 때 마운트된 드라이브나 IP 주소가 아닌 PC이름으로 경로를 설정해야 한다.
만약 IP가 192.168.0.10이고 이름이 walbum-test라는 기기의 share라는 이름의 공유폴더를 Z:\ 경로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마운트했다면 'Z:\'나 '\\192.168.0.10\share'가 아니라 '\\walbum-test\share'라고 설정해야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동작한다.
드라이브 문자는 그렇다 치고... 왜 IP로는 안되고 기기 이름으로는 되는지 이해불명이지만, 일단 결과만 놓고 본다면 저렇게 하면 된다.
이걸로 한 건 해결~인데... 내 주말...T_T
겨우 저것때문에 주말을 날려버렸다니...T_T
ps. iptime 공유기 펌웨어 업데이트를 안했더니 DDNS가 막혀버렸다. -_-;;;
DDNS를 계속 쓰고싶으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라고 하는데... 솔직히 요즘 국내 상황을 보면 도저히 안심하고 업데이트를 하기 힘든지라...-_-;;;
일단 최소한의 보안 설정은 해 놓았기때문에 백도어나 버그 때문이 아닌, 그냥 보안 강화 차원의 업데이트라면 굳이 설치할 필요는 없어서 안깔고 버티는 중.
신용을 잃어버린 사회에서는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쉽게 믿기 어려운 게 문제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