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4.x에서 XDMCP 접속을 위한 설정법입니다.
 
 - XDM 설정
 
 - Linux runlevel 설정
  /etc/inittab 파일에서 runlevel을 5로 설정 - 시스템을 재기동하여도 항상 그래픽 모드로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id:5:initdefault:
  - gdm 환경 설정 (gdm을 사용하는 경우)
  /etc/X11/gdm/gdm.conf 파일의 [xdmcp] 섹션에서 Enable의 값을 1로 설정   [xdmcp]   Enable=1 (혹은 true)
 
  - kdm 환경 설정 (kdm을 사용하는 경우)
  /etc/X11/xdm/Xaccess 파일의 다음 줄에 코멘트 기호(#)를 삭제   #* #any host can get a login window ==>   * #any host can get a login window /etc/kde/kdm/kdmrc 파일의 [Xdmcp] 섹션에서 Enable의 값을 true로 설정   [xdmcp]   Enable=1 (또는 true)
 
  
  - 방화벽 설정
  PC에서 UNIX/Linux 방향으로 UDP 177번 포트 개방 UNIX/Linux에서 PC 방향으로 TCP 6000~6010번 포트 개방
  시스템에 iptable 방화벽이 구동되고 있을 경우 다음 명령으로 iptable 기능을 정지하거나 위와 관련한 설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service iptables stop
 
  - Linux 장비를 재부팅하거나 다음 명령을 실행한 후 Xmanager를 실행합니다.
  # init 3; init 5
 
  
  | 
CentOS 5.x, 6.x에서 XDMCP 접속을 위한 설정법입니다.
 
 - XDMCP 설정
 구동 중인 프로세스 목록에 디스플레이 매니저로 gdm, gdm-binary가 나타나는 경우 gdm 환경 설정을, kdm이 나타나면 kdm 환경 설정을 참조합니다. 디스플레이 매니저가 xdm일 경우는 거의 없지만 목로게 xdm이 보이면 기술지원팀에 문의하시거나 다른 OS의 xdm 설정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 Linux runlevel 설정
  /etc/inittab 파일에서 runlevel을 5로 설정   id:5:initdefault:
 
  - gdm 환경 설정 (gdm을 사용하는 경우)
  /etc/gdm/custom.conf 파일의 [xdmcp] 섹션에서 Enable의 값을 1(또는 true)로 설정. 이 파일이 없으면 다음 내용을 넣어서 파일을 생성합니다.   [xdmcp]   Enable=true
 
  - kdm 환경 설정 (kdm을 사용하는 경우)
  /usr/share/config/kdm/Xaccess 파일의 다음 줄에 코멘트 기호(#)를 삭제   #* #any host can get a login window ==>   * #any host can get a login window /usr/share/config/kdm/kdmrc 파일의 [xdmcp] 섹션에서 Enable의 값을 true로 설정   [xdmcp]   Enable=true
 
  
  - 방화벽 설정
  PC에서 UNIX/Linux 방향으로 UDP 177번 포트 개방 UNIX/Linux에서 PC 방향으로 TCP 6000~6010번 포트 개방
  시스템에 iptable 방화벽이 구동되고 있을 경우 다음 명령으로 iptable 기능을 정지하거나 위와 관련한 설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service iptables stop
 
  - Linux 장비를 재부팅하거나 다음 명령을 실행한 후 Xmanager를 실행합니다.
  # init 3; init 5
  
  | 
 
출처 : http://www.netsarang.co.kr/knowledgebase/xmanager/10936%3Cbr%20/%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