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Views 6014 Votes 0 Comment 1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Attachme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Attachment

덕수(張)씨 정보

시 조

 장순룡(張舜龍)

시조 유래

시조 장백창(張伯昌, 일명 장순용, 시호는 공숙)은 아랍계[이슬람계] 사람으로 원나라 세조 때 필도치라는 벼슬을 지냈는데, 1275년(고려 충렬왕 1년) 충렬왕비인 제국공주를 배행하여 고려에 왔다가 덕수현에 살면서 금자광록대부, 문하찬성사를 지내고 덕수 부원군에 봉해졌으며 덕수현을 식읍으로 하사 받았다.
그래서 후손들이 덕수를 본관으로 하였다.

창성 유래

지 명

덕수(德水)는 경기도 개풍군에 속해있던 옛 지명으로, 본래는 고구려시대의 덕물현 또는
인물현이라고 하였다. 통일신라의 경덕왕이 덕수현으로 개칭하였으며,
나중에 구(舊) 개성군과 합하여 개풍군이 되었다.

가문 소개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순룡의 맏아들 양(良)이 판사(判事)를 지냈으며,
둘째 아들 운(芸)은 신호위 대장군을 역임했다. 양의 손자인 우(羽)는 문과에 급제한 후
자헌대부, 이조판서 및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역임했다.

조선의 무신으로 이름난 정(珽)은 순룡의 8세손으로 무예에 뛰어나 성종때 선전관에 뽑혔고,
연산군때 한성부 판관을 역임한 후 1504년 연산군의 총애를 받고 있던 장록수가 부당하게
차지한 토지를 농민에게 나누어 주고 모든 폐단을 제거하여 명관으로 이름이 났으나
이로 인해 파직되었다 그후 중종반정에 가담, 정국일등공신으로 하원군에 봉해졌다.

호조판서 언량(彦良)은 북청 판관을 역임한 후 명종조때 한성부 판윤에 이르렀으며,
형조판서 운익(雲翼)은 일(逸)의 아들로 공조좌랑, 장령을 지내고 임진왜란때 왕을 호종하였다.
특히 그는 중국어에 능통하여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주청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운익(雲翼)의 아들 유(維)는 호당(湖堂)에 뽑힌 수재로 주서를 거쳐 검열을 지냈으나
김직재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한때 파직당했다가 인조 반정에 가담하여 이조정랑으로
정사이등공신이 되었다. 그후 대사간, 대사헌 등을 지내고 이괄의 난때 공주로 왕을 호종하여
이듬해 신풍군에 봉해졌으며, 1631년 딸이 효종에게 출가하였으므로 국구(國舅)가 되어
예조 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으며 그 후 신풍부원군에 진봉되었다.
천문(天文), 지리(地理), 의술, 병서(兵書), 그림, 글씨 등에 능통했고, 특히 문장에 뛰어나
많은 책을 저술했으나 정묘호란때 없어지고 <계곡만필(谿谷漫筆)>, <계곡집(谿谷集)>,
<음부경주해(陰符經註解)>등이 전한다.

유의 동생인 신(紳)은 병자호란때 순절하여 덕창군에 봉해졌으며, 유의 아들인 선징(善生)은 직강(直講), 장령(掌令), 병조참판 등을 지냈으며 예조판서에 올라,
숙종 즉위년에 남인에게 몰려 귀양가게 된 송시열의 무죄를 주장했다.

계 파

인 구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덕수 장(張) 씨는 전체 가구수가 6,531 가구로 본관의 인구는 21,006 명으로 본관별 전체 순위는 236 위이며, 본관별 성씨 내의 순위는 6 위로 나타났다.

집 성 촌

경기도 시흥군 서면 일원
경기도 평택군 팽성면 송화리, 대사리, 석근리

경기도 고양군 지도면 일원
전남 강진군 성전면 일원

경북 예천군 감천면 일원
전남 보성군 회천면 일원

경북 영주시 일원

종친회
주소입력
덕수   덕수장씨종친회    02-444-5855   서울 광진-자양-225-48    
인동   인동장씨직제하공    02-388-3791   서울 은평-갈현-285-230    
장씨   장씨종친회    02-2245-7686   서울 성동-용답-230-9    
인동(張)   석우리언희소가계보    051-746-4-1156  부산해운대구 우동대우마리나308-1105    cys4936@hanmail.net
흥성(張)   흥덕장씨    02-743-6426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 주공아파트 101동 101호    jks5512@hanmail.net
인동(張)   인동장씨 대종회    053) 743-4365  대구 수성구 범어1동 804-42 진홍빌딩 4층    
인동   인동장씨양월종중회관    054-276-4403   경북-포항-남-장기-양포-465...    
인동   인동장씨임은공문중    054-931-6551   경북-성주-용암-선송-85...    
인동   인동장씨칠곡군종친회    054-973-1268   경북-칠곡-왜관-왜관-224    
인동   인동장씨포항시종친회    054-249-5714   경북-포항-북-동빈1-73...    
인동(張)   인동장씨화천종친회    011-367-3698  화천군 화천읍 아리 239-2    jsk1946@hanmail.net
기 타

장유(維) : 조선 인조 때 명신이며 대제학, 예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으며 이정구, 신흠, 이식과 더불어 조선시대 한문학의 4대가로 일컬어진다.
장운익(雲翼) : 장유의 아버지. 중국어에 능통하여 주청사로 명나라를 내왕하였다.
장옥(張玉)
장정(張珽) :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 1등에 오르고 하원군에 봉해졌다.


▣ 由來



始祖(시조) : 張伯昌(장백창)


始祖(시조) 張伯昌[장백창,一名(일명) 張舜龍(장순용),諡號(시호)는 恭肅(공숙

)]은 回回人(회회인)[中央亞細亞(중앙아시아) 위구르 地域(지역)의 이슬람敎徒(교도)]으로 元(원)나라 世祖(세조)때 필도치라는 벼슬을 지냈는데, 1275年(高麗 忠烈王1年)忠烈王妃(충렬왕비)인 齊國公主(제국공주)를 陪行(배행)하여 高麗(고려)에 왔다가 德水縣(덕수현)에 살면서 金紫光祿大夫(금자광록대부), 文下贊成事(문하찬성사)를 지내고 德水府院君(덕수부원군)에 封(봉)해졌으며 德水縣(덕수현)을 食邑(식읍)으로 下賜(하사)받았다. 그래서 後孫(후손)들이 德水(덕수)를 本貫(본관)으로 하였다.


▣ 科擧及第者(朝鮮時代)



張雲翼(장운익) (1561辛酉生) : 文科 宣祖15年(1582) 式年試 甲科 壯元及第
張至冕(장지면) (1743 癸亥生) : 文科 正祖9年(1785) 庭試 甲科 壯元及第

張維(장유) (1587 丁亥生) : 文科 光海君1年(1609) 增廣試 乙科

張錫胤(장석윤) (1764 甲申生) : 文科 正祖10年(1786) 別試 乙科

張敎根(장교근) (1797 丁巳生) : 文科 純祖15年(1815) 庭試 丙科

張世容(장세용) (1828 戊子生) : 文科 哲宗12年(1861) 庭試 丙科

張忠輔(장충보) (1828 戊子生) : 文科 成宗17年(1486) 式年試 丙科

張皓根(장호근) (1814 甲戌生) : 文科 哲宗12年(1861) 式年試 丙科
張士重(장사중) (1524 甲申生) : 文科 明宗8年(1553) 別試 乙科
張至顯(장지현) (1737 丁巳生) : 文科 正祖1年(1776) 庭試 丙科
等 모두 43名의 科擧 及第者가 있다.
(文科 13名, 武科 2名, 司馬試 27名, 譯科 1名)


▣ 行列字(항렬자)
21世
세(世)
22世
진(鎭)
23世
순(淳)
24世
수(秀)
25世
경(慶)
26世
재(在)
27世
현(鉉)
28世
영(永)
29世
환(桓)
30世
섭(燮)

31世
규(圭)
32世
호(鎬)
33世
원(源)
34世
표(杓)
35世
지(志)
36世
곤(坤)
37世
용(鎔)
38世
구(求)
39世
재(材)
40世
엽(燁)

41世
기(基)
42世
탁(鐸)
43世
해(海)
44世
식(植)
45世
응(應)
46世
배(培)
47世
윤(鈗)
48世
태(泰)
49世
락(樂)
50世
찬(燦)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2世孫은 21代孫)

▣ 本貫 沿革



本貫所在地: 黃海道 開豊


德水(덕수)는 黃海道(황해도)開豊郡(개풍군)에 屬(속)해 있던 옛 地名(지명)이다.高句麗(고구려)때는 德勿縣(덕물현)또는 仁物縣(인물현)이었다가 757年(新羅景德王16)에 德水縣(덕수현)으로 改稱(개칭)되었다.1018年(高麗顯宗9)江陰(강음)·定州(정주)等(등)과 함께 開城縣(개성현)으로 編入(편입)되었다. 1389年(恭讓王1)에 德水縣(덕수현)에 監務(감무)를 두었다.1442年(世宗24)에는海豊郡(해풍군)과 倂合(병합)하여 豊德郡(풍덕군)이 되었고,1914年郡面廢合(군면폐합)으로 開城郡(개성군)에 編入(편입)되었다가 1930年 開城郡(개성군)의 松都面(송도면)이 開城府(개성부)로 昇格(승격)되면서 旣存(기존)의 開城郡(개성군)一部(일부)가 豊德郡(풍덕군)과 統合(통합)되어 開豊郡(개풍군)으로 改編(개편)되었다.


▣ 人口數



統計廳(통계청)의 人口調査(인구조사)에 依(의)하면 德水張氏(덕수장씨)는
1985年에는 摠 4,554家口 19,366名,
2000年에는 摠 6,531家口 21,006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처 : http://www.hometer.com/search/personalcontent.asp?m_bon=%B4%F6%BC%F6(%ED%E5)&m_sung=%C0%E5(%ED%E5)

 

덕수장씨(德水張氏)

  덕수 장(張)씨 시조 장백창(張伯昌)은 아랍계 사람으로 원나라 세조 때 필도치라는 벼슬을 지냈다. 일명 장순룡으로 불리는 그는 1275년 충렬왕비인 제국공주를 배행하여 고려에 왔다가 귀화했다.
  고려 세자 왕심(王諶: 충렬왕)은 1274년 5월 원나라 수도 연경(燕京: 지금 북경)에서 쿠빌라이의 딸인 홀도로게리미실(제국공주)과 결혼식을 올렸다.
  고려에 시집오는 제국공주를 호종했던 무슬림 삼가(三哥)라는 인물이 충렬왕으로부터 장순룡이란 이름을 하사 받아 덕수장씨 시조가 되었다.
  그 뒤 여러 벼슬을 지내고 덕수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덕수를 본관으로 했다. 덕수는 경기도 개풍군에 있는 지명이다.
  몽고족인 원나라 안에서 위구르족은 결코 하층민이 아닌 상부의 지도층에 가까운 대접을 받았다. 지방행정을 다루는 ‘다루가치’라는 관직은 몽고인이나 색목인(色目人)을 임명하였다. 색목인이 바로 위구르인이었으며, 신라 향가 ‘처용가’에 나오는 인물도 색목인이라는 설이 있다.
  문화와 전통이 판이하게 다른 나라인 위구르 출신으로 고려 말과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인물들을 배출하면서 명문가로 이름을 날렸다.
  시조의 맏아들 장량은 판사를 지냈으며, 둘째 아들 장운은 신호위대장군을 역임했다. 시조의 손자 장우는 이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형조판서 장운익은 공조좌랑, 장령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했다. 중국어에 능통했던 그는 주청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장운익의 아들 장유는 조선 중엽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이다. 그는 조선조 후기 실학의 한 갈래인 양명학의 대가다. 천문. 지리. 의술. 병학 등 다방면에 두루 박식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 최초의 애연가로도 전한다. 왕 앞에서도 장죽을 물고 다니며 담배를 즐겼다고 자신의 수필집 ‘계곡만필(谿谷漫筆)’에 적고 있다.
  조선의 무신으로 이름난 장정은 8세손으로 무예에 뛰어나 성종 때 선전관에 뽑혔다. 1504년 연산군의 총애를 받던 장록수가 부당하게 차지한 토지를 농민에게 나누어주고 폐단을 제거했으나 이로 인해 파직된다.

출처 : http://shtong.co.kr/bbs1/bbs/board.php?bo_table=xingshi&wr_id=38


덕수 장씨(德水張氏)
시조(始祖): 휘(諱): 순룡(舜龍)
호(號): 삼가(三哥)
시호(諡號): 공숙(恭肅)
관직(官職): 덕성부원군(德城府院君)

덕수(德水)는 경기도(京畿道) 풍덕군(豊德郡)으로 속해 있던 엤날 지명(地名)으로 본래는 고려 때의 덕물현(德物縣) 또는 인물현(仁物縣)이라고 하였다. 신라경덕왕(新羅景德王)이 덕수현(德水縣)으로 개칭하였으며 그 후에 해풍군(海豊郡)과 통합하여 풍덕부(豊德府)를 제외한 구(舊) 개성군(開城郡)과 합하여 개풍군(開豊郡)이 되었다. 시조(始祖) 순룡(順龍)은 원(元)나라 필도적(必闍赤: 몽고의 직명으로 문서를 맡은 자) 경(卿)의 아들이다. 덕수장시족보에 의하면 순룡(順龍)은 본래 회회계(回回系) 사람으로 제국공주(齊國公主)를 따라 고려(高麗)에 국적을 옮겨 여러 관직을 거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내고 덕성하사(下賜) 받으므로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덕수로 하였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맥은 순룡의 맏아들 양(良)이 판사(判事)를 지냈으며, 둘째 아들 운(芸)은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역임했으며 양의 손자인 우(羽)는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했으며 무신(武臣)으로 유명한 정(珽)은 순룡의 8세 손으로 무예에 뛰어나 성종(成宗) 때 선전관(宣傳官)에 발탁되고, 연산군(燕山君) 때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을 역임한 후 연산군 10년(서기 1504년) 연산군에게 총애를 받고 있던 장녹수(張綠水)가 차지한 토지를 농민에게 나누어 주고 잘못된 것을 바로 잡아 명관(名官)으로 이름이 났으나 이로 인해 관직(官職)이 파직되었다. 연산군의 횡포에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일등공신으로 하원군에 봉해졌다, 언량(彦良)은 중종 19년(서기 1524년)에 군관을 지낼 때 야인 정벌에 공을 세워 함경도 병마절도사에 올랐으며, 하원군에 봉해졌으며, 그 후 호조판서르 역임했으며, 형조판서 운익은 일의 아들로 선조 때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해 여러관직을 역임하고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扈從)하였다. 공조 좌랑(工曹佐郞) · 장령(掌令)등을 지내며 중국어(中國語)에 능통하여 왕의 총예를 받았다.
조선 중기의 한문학(漢文學)으로 유명한 유(維)는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글을 읽고 광해군 때 문과(文科)에 급제해 호당(湖堂:재주와 덕행이 뛰어난 젊은 문신들에게 학문연구에 전념하도록 국가에서 장소를 제공하였다.)에 뽑히고 수재로 주서(注書)를 거쳐 검열(檢閱)을 지냈으나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파면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이조정랑(吏曹正郞)으로 정사이등공신(靖社二等功臣)이 되었다. 인조 9년 (서기 1631년)에 딸이 효종(孝宗)에게 출가하였으므로 부원군(府院君)이 되어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예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신풍부원군(新豊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천문(天文) · 지리(地理) · 의술 · 병서(兵書) · 그림 · 글씨 등에 능통했으며 특히 무장에 뛰어나 많은 책을 저술하였다. 「계곡만필(谿谷漫筆)」· 「계곡집(谿谷集)」 · 「음부경주해(陰符經註解)」의 문집이 있다.

1985년 경제기획원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덕수 당씨는 남한에 4,554가구, 19,366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출처 : http://www.jokbo.re.kr/book/index.html?sn=&fn=1130&fnkey=11301071

 

덕수장씨 종파도.jpg

 

출처 : http://cafe.daum.net/duksoojang/

 

德水張氏宗派圖

 

     始祖 1世  張 舜 龍

            2世              良

                 3世           祐빈

                 4世            羽   - 議郞 

                                 핵  -  判尹

                        斗生 -  都事(도사공파)

                 6世   孟亨 - 參判(참판공파)

                        孟卿 - 水使(수사공파)

                        源美 - 少監(소감공파)

                        仲昌 - 正郞(정랑공파)

                        季昌 - 進士(진사공파)

                        敬孫 - 翰林(한림공파)

                        孟孫 - 參議(참의공파)

                        孟禮 - 佐郞(좌랑공파)

 

             8世       珽 - 河源君(하원군파)

                         栢 - 令      (영 공 파)

                         玉 - 柳亭   (유정공파)

 

출처 : http://blog.daum.net/jkt0088/96

?
  • profile
    JaeSoo 2011.10.07 03:26
    재수는 덕수장씨 참판공파 24대손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8078
2473 웹서버,WAS http를 https로 리다이렉트하는 여러가지 방법 new JaeSoo 2025.09.10 0
2472 웹서버,WAS SSL인증서 없이 HTTPS에서 HTTP로 되돌리기 new JaeSoo 2025.09.10 0
2471 웹서버,WAS [SSL] win-acme, Let's encrypt로 무료 SSL 인증서 발급 new JaeSoo 2025.09.10 0
2470 웹서버,WAS [SSL] Windows 10에서 Let's Encrypt로 SSL 인증서 무료 발급받기 new JaeSoo 2025.09.10 0
2469 웹서버,WAS 무료로 https SSL/TLS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인증 기관 new JaeSoo 2025.09.10 0
2468 웹서버,WAS 아파치 서버에 https SSL 인증서 적용하는 방법 (apache httpd) new JaeSoo 2025.09.10 0
2467 웹서버,WAS 아파치2(Apache2) SSL HTTPS 적용하기 new JaeSoo 2025.09.10 0
2466 웹서버,WAS 아파치 웹서버에 멀티 도메인에 대한 80, 443 포트 설정하는 방법 newfile JaeSoo 2025.09.10 0
2465 소프트웨어 Google Photo 대신 Immich를 써보자 file JaeSoo 2025.08.07 126
2464 연애 남자 혹은 여자 진국 팁 JaeSoo 2025.07.24 116
2463 기타 MBTI검사 16가지 유형 “간단 명료”하게 정리! file JaeSoo 2025.07.01 132
2462 소프트웨어 [사진관리] PhotoPrism vs LibrePhoto 비교 소감 JaeSoo 2025.05.19 14
2461 네트워크 MDF실, TPS실, EPS실 이게 뭘까? file JaeSoo 2025.04.15 33
2460 업무 알아두면 좋은 직장인 용어 정리 file JaeSoo 2025.04.15 36
2459 건강 감기·독감·코로나19의 차이점, 신촌연세병원과 함께 알아봅시다. file JaeSoo 2025.01.08 28
2458 생활 집주인이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때 JaeSoo 2024.11.29 26
2457 자동차 자전거 타이어 종류 및 추천 2편 (승차감 타이어, 국토종주!) JaeSoo 2024.10.15 53
2456 자동차 오도바이 센타 사장들은 어떤 브랜드를 싫어하고 좋아할까? [출처] 오도바이 센타 사장들은 어떤 브랜드를 싫어하고 좋아할까?|작성자 바이크신 file JaeSoo 2024.10.15 76
2455 윈도우즈 윈도우 자동 로그온 설정이 보이지 않을 때 조치사항 JaeSoo 2024.08.16 203
2454 모바일 갤럭시S22 시리즈에서 SKT LTE 무제한 핫스팟 쓰는 방법! (SKT LTE 요금제만 해당!) JaeSoo 2024.08.12 2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