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tm_201602111535977459_99_20160211080520.jpg

 


서울 송파구에 거주하는 김모(38·여)씨는 최근 “치킨을 사달라”는 아들을 달래다 황당한 소리를 들었다. 일곱 살 아들에게 “간식으로 낭비하면 가난해진다”고 설명하자 아들은 “기계에서 꺼내면 되잖아”라고 맞받았다.

김씨는 “장 보러 가면서 가끔씩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 들렀는데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았더니 뭔가 잘못 알고 있는 것 같다”며 “아이에게 경제에 대해 기본적인 교육이라도 시키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국·영·수 교육만큼이나 중요한 게 바로 ‘경제 교육’이다. 어릴 적부터 경제 교육을 제대로 시켜야 올바른 소비 습관과 자립심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는 경제 교육을 언제,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궁금해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설날 세뱃돈이나 정기 용돈 등 ‘용돈’을 활용한 경제 교육을 추천한다. 조윤정 파워경제교육연구소장은 “경제 교육의 핵심은 용돈 교육”이라며 “용돈을 제대로 관리하게 하면서 자립심과 계획성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보통 초등학교 입학 전이나 입학하면서 용돈을 주면 체계적인 경제 교육을 시작할 수 있다.

htm_201602111543728991_99_20160211080520.jpg

 


최형순 아이스크림홈런 초등학습연구소장은 “500원과 1000원을 구분하기 시작할 때가 용돈 교육의 적기”라며 “용돈 액수는 가정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원하는 걸 다 구매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하게 주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그는 “아이가 용돈 인상을 요구하면 매년 혹은 매달 협상을 통해 용돈 인상 요청 사유와 사용 계획 등을 적게 한 뒤 아이와 충분히 대화를 나눌 필요가 있다”며 “용돈 기입장을 만들어 예산을 미리 짜고 결산까지 하면서 자기가 계획한 대로 소비가 됐는지 확인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htm_2016021115439151310_99_20160211080520.jpg

 

용돈은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주는 게 좋다. 김찬호 참다운경제교육 대표는 “용돈은 1학년 때는 2~3일 주기로 1000원씩 주고, 2학년 때는 일주일에 2000원을 주는 식으로 정기적으로 주되 학년이 올라갈수록 주기를 길게 해야 계획성을 키울 수 있다”며 “용돈도 엄마나 아빠 중 한 명이 엄격하게 관리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홈 아르바이트’다. 홈 아르바이트란 집안일을 돕게 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교육 방식이다.

김 대표는 “용돈을 조금 부족하게 주는 대신 홈 아르바이트를 통해 채우게 하면 자립심을 키워줄 수 있다”며 “다만 홈 아르바이트로 벌 수 있는 상한선을 정해 맹목적으로 하는 것은 방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소장은 “홈 아르바이트를 하기 전에 ‘자녀들이 집안일을 돕는 건 당연하지만 아직 어려서 외부에서 일할 수 없기 때문에 대가를 주는 것’이란 점을 확실히 인식시켜야 한다”며 “본인이 당연히 해야 하는 숙제하기나 이불 개기 등에 대가를 줘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부모가 “나중에 커서 주겠다”며 가져가는 설날 세뱃돈도 좋은 경제 교육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최 소장은 “세뱃돈 같은 목돈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르는 부모가 많다”며 “세뱃돈을 1년간 나눠 사용할지, 아니면 모두 저축한 뒤 정기적으로 용돈을 받아 쓸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조 소장도 “세뱃돈 중 얼마를, 무엇에 쓰고 싶은지 충분히 토론한 뒤 나머지는 대학 등록금 등 장기적인 목표를 위해 저축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소득이 부당하게 빼앗겼다는 느낌을 갖지 않도록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했다.

자녀 명의 통장이 없다면 이를 계기로 은행을 함께 방문해 통장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htm_201602111547984551_99_20160211080520.jpg

 


전문가들은 옛날 초등학교 시절 저축왕을 뽑았던 식의 ‘맹목적인 저축’보다는 목표가 있는 저축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김 대표는 “여전히 제1의 재테크는 저축”이라며 “용돈을 받으면 50% 정도는 저축하도록 습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무조건 저축하라’고 하면 저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길 수 있는 만큼 평소 사고 싶어 하던 장난감 등을 목표로 두고 얼마 동안 어떻게 모아야 살 수 있는지 스스로 계획하게 해야 한다”고 했다.

올바르게 소비하는 법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다. 조 소장은 ‘마트 전단 활용법’을 추천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마트 전단을 펼쳐놓고 아이에게 사고 싶은 물건을 스케치북에 오려 붙이게 한다.

그 후 없으면 생활이 안 되는 ‘꼭 필요한 물건’과 없어도 지장이 없는 ‘원하는 물건’의 개념을 설명한 뒤 필요한 물건에는 동그라미, 원하는 물건에는 세모를 치게 한다.

조 소장은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세모를 더 많이 친다. 이때 ‘원하는 게 너무 많은데 다 사면 어떻게 되겠느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가난해진다고 답한다”며 “실제로 뭔가 사고 싶을 때 동그라미와 세모를 떠올리도록 하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추천하는 방법은 ‘3개의 용돈 통’이다. 용돈을 받으면 한 곳엔 저축할 돈을 넣게 하고 다른 한 곳엔 친구 생일선물 등 필수적으로 지출해야 할 돈을, 나머지 한 곳엔 군것질 등 굳이 쓰지 않고 아낄 수 있는 돈을 넣어두고 쓰게 하는 식이다.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도움이 될 만한 어린이 경제 교육 프로그램

●한국은행 경제교실(bokeducation.or.kr)
●놀토 어린이 금융투자교실(www.kcie.or.kr)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www.fq.or.kr)
●기획재정부 어린이·청소년 경제교실(kids.mosf.go.kr)

노진호 기자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당신이 꼭 알아야 할 7개의 뉴스 [타임7 뉴스레터]
ⓒ 중앙일보: DramaHouse & J Content Hub Co.,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5&aid=0002595428&sid1=001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565
» 육아,교육 “엄마한테 맡겨” 이제 그만, “세뱃돈 어떻게 쓸까” 함께 토론…돈 모을 목표 만들어 주세요 file JaeSoo 2016.02.11 730
2285 유닉스/리눅스 Subversion 팁: 특정 날짜의 소스 코드 받아오기 JaeSoo 2016.02.11 671
2284 윈도우즈 Windows Update 웹 사이트에서 Microsoft Update 웹 사이트에서 또는 백그라운드 인텔리전트 전송(BIT) 서비스 시작하려고 하면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려고 하면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1 JaeSoo 2016.02.11 2920
2283 취업 정보시스템 감리 회사 근무 JaeSoo 2016.02.11 798
2282 응용 프로그래밍 [SVN] Subversion 명령들 file JaeSoo 2016.02.06 966
2281 유닉스/리눅스 AIX - tar,gzip 명령어 (한번에 압축하기) - Linux참고 JaeSoo 2016.02.02 685
2280 업무 조달청에 조달요청할 수 있는 수요기관의 범위는? - 조달청 수요기관 고시세부내역 JaeSoo 2016.02.01 634
2279 유닉스/리눅스 AIX에서 논리적 볼륨 크기 확장 JaeSoo 2016.01.28 560
2278 업무 정보화전략 계획 감리 file JaeSoo 2016.01.27 561
2277 응용 프로그래밍 IBM JDK 1.6 에서 Spring 2.5.2를 사용할 때 GenericTypeResolver 에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는 문제 JaeSoo 2016.01.27 785
2276 생활 영어이름 뜻과 기원 JaeSoo 2016.01.23 876
2275 업무 국내 컨설팅 주요기업 현황 file JaeSoo 2016.01.23 532
2274 유닉스/리눅스 [AIX] Filesystem 사이즈 조절하기 JaeSoo 2016.01.23 433
2273 윈도우즈 일부 업데이트가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오류 해결 JaeSoo 2016.01.23 854
2272 취업 프리랜서 면접시 이런식으로 말하면 조심하세요. JaeSoo 2016.01.22 15594
2271 웹 프로그래밍 오른쪽 마우스 금지 소스 / 드래그 금지 소스 JaeSoo 2016.01.20 475
2270 사무 소프트웨어 엑셀 최대값(max),최소값(min) if함수로 조건 일치값 구하기 file JaeSoo 2016.01.14 881
2269 웹서버,WAS [JAVA] 개발환경설정 - 표준프레임워크 file JaeSoo 2016.01.02 791
2268 웹서버,WAS Tomcat 7.x 와 8.x 간의 default configuration 차이 JaeSoo 2016.01.02 716
2267 응용 프로그래밍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톰캣(Tomcat) 설치하기 file JaeSoo 2016.01.02 53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