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생활
2023.07.16 05:58

스케이트보드 장비 가이드

조회 수 9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kate_guide.jpg

     

 
txt_01.jpg

 

txt_02.jpg

 

img_01.jpg

 

txt_03.jpg

 

가늘고 긴 널판지의 앞뒤에 4개의 바퀴를 달고 달리는 놀이기구로, 파도타기 애호가들이 파도가 없는 잔잔한 바다에서 파도타기를 할 수 없게 되자, 육지에서 서핑을 즐기기 위한 방편으로 서핑-데크 밑에 바퀴를 달아 타게 되면서 점차 Skateboard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196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의 해변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작하여, 1965년 무렵 한차례 붐이 일었고, 1974년 무렵 더 빠르고 잘 움직이는 폴리우레탄 바퀴가 개발되면서 다시 유행하였다.

txt_04.jpg

 

img_02.jpg

 

노즈와 테일

데크의 앞부분을 노즈라고 부르며 뒷부분을 테일이라고 부른다. 육안으로 볼 때 비슷하여 보이지만 노즈부분이 테일보다 조금 더 높고 길게 설계되어져 있고, 데크의 그래픽 또는 제품명이 쓰여진 글씨로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그립테이프 커팅이나 볼트의 컬러 또는 데크 아랫부분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할수도있다.
보딩 기술에서 스위치(Switch)기술처럼 자세를 바꾸어 가며 기술을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보딩시 꼭 전진 방향이 노즈여야 하는 통념이 없어지고 있지만 기본은 보딩시 전진 방향이 노즈부분이 되는 것이 정수이다.

컨케이브

노즈(Nose), 테일(Tail), 윙(Wing) 부분의 오목한 면을 칭한다. 압축몰드공법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노즈와 테일의 컨케이브는 킥플립(Kickflip)등의 다양한 기술이 용이하도록 지렛대 역할을 하는데 스케이트보딩의 기술발전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레일 가장자리의 윙(Wing) 일명 스케이트보드의 날개로 불리우는 컨케이브는 다른말로 웨이브(Wave)라고 불리우는데 이 부분은 다양한 기술등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그 구조는 데크의 강도에도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이상과 같이 컨케이브는 데크의 성능과 매우 밀접하므로 좋은 기술력을 가진 브랜드를 구입해야 한다.
길이와 싸이즈별로 Street용과 Vert용으로 나뉜다. 성능과 테크닉은 브랜드의 기술력에 의해 좌우된다. 데크를 구입시 아래와 같은 데크 사이즈 스펙을 확실히 파악하여 구입을 하여야한다. 자신의 사이즈에 맞지 않는 무리하게 크거나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면 테크닉을 제대로 구현하기 힘들다.

데크 사이즈

Mini size : 길이 29인치 이하, 신장: 130cm 이하, Shoe Size: 미국사이즈 5(230) 또는 그 이하 남녀
Regular size : 길이 31인치 이상, 신장 : 160cm 이상, Shoe size: 미국사이즈 7(250) 이상 남녀

Glueing Method (접착공법)

Laminating(얇은 판으로 만들기)으로 제작된 7~9겹의 Veneer(합판)를 나무결을 서로 엇갈려 포개어 접착제로 나무를 접착한다. 이때 나무결을 서로 엇갈리게 하는 것은 같은 방향으로 겹쳐져 있는 것보다 외부의 충격에 더 강한 데크를 만들기 위함이다.Veneer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접착력이 우수하고 나무의 성질을 감소시키지 않는 특수접착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데크의 성능이 좌우된다. 접착제의 원재료와 접착기술도 브랜드마다의 기술력이 차이가 있다.
접착제가 불량하여 접착이 잘 되지 않은 데크는 보딩중 쉽게 겹갈라짐이 생기고 데크의 탄력과 단단함도 떨어진다. 접착시공의 문제에 의해 접착부분에 Air Hole이 생길 경우에도 겹갈라짐이 빨리 이루어지고 데크의 탄력과 단단함이 떨어지게 된다.

Compression Mold Method (압축몰드공법)

접착시공이 완료되면 여러겹의 Veneer접착과 데크의 오목면인 Concave를 시현하는 데크제작의 최고의 기술력인 압축몰드공법에 의한 압축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몰드(Mold) 즉, 형틀의 설계 기술력이 브랜드의 기술력이다. 같은 브랜드라도 모델별로 압축몰드공법은 제각각 이므로 구입시 어떤 몰드공법을 사용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이 기본이다

txt_05.jpg

 

img_03.jpg

 

트럭이란?

트럭(TRUCKS)은 데크와 휠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기본으로 보딩시 트릭과 테크니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자동차로 말하면 바퀴와 차체를 연결해 주는 현가장치 즉, 서스펜션(Suspension)역할을 하는 중요한 장비이다. 완성된 보드에 필요한 트럭은 2개가 1세트이다.
트럭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마운팅볼트(Mounting Bolt) 다른 용어로 하드웨어(Hardware)로 불리는 보드용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데크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1개씩 조립한다.트럭은 브랜드별로 구조와 성능이 큰차이가 있으므로 구입시 꼭 확인이 필요하다. 국내 체육사 보드는 알루미늄만으로 트럭을 만들고 있지만 실질적 전문 스케이트보드 회사에서는 알루미늄 이외의 마그네슘과 극비성분을 혼합하여 트럭을 제작하며 휠과 맞닿아 있는 액슬부분은 강화스틸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Base Plate)

트럭은 크게 상단과 하부로 나뉘어 지는데 하부몸통부분을 칭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트럭 중앙의 가장 큰 볼트(킹핀)로 연결되어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에 4개의 마운팅볼트 구멍이 뚫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에 따라서 트럭의 설계구조와 무게에 따라서 트럭의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행거 (Hanger)

트럭의 상단 몸체를 칭한다. 행거의 구조도 트럭의 성능에 큰 역할을 한다. 행거의 길이에 따라 트럭의 사이즈가 구분된다.

킹핀 (Kingpin)

베이스 플레이트와 트럭상부 본체와 연결하는 볼트이다. 트럭의 중심축으로 킹핀의 강도와 구조에 따라서 보딩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싱 (Bushing)

킹핀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할 때 행거부분의 부싱링 사이로 킹핀이 들어가고 그 상단과 하단에 부싱으로 조립되어진다. 이는 부싱은 트럭 전체의 충격완화뿐 아니라 보딩시 트럭이 완전한 수평이 아니라 어느 한쪽으로 힘이 쏠릴 때 부싱에 의해서 행거가 좌우로 움직여져 보딩기술을 구현가능 하다. 한마디로 자동차의 쿠션이라고 보면 된다. 상부부싱(Top Bushing)과 하부부싱(Bottom Bushing)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마모와 파손에 따른 교체가 필요하다.

부싱워셔 (Bushing Washer)

부슁과 부슁사이에 들어가는 워셔는 lower, 바깥쪽에 감싸는 것을 upper라고 한다.

피봇 (Pivot)

트럭 행거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되어지는 곳이다. 행거는 킹핀으로 베이스플레이트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져 있으면서 피봇과도 연결되어 2중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되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 피봇이 들어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파여져 있는데 이 부분에 플라스틱류 피봇컵을 넣어서 마찰에 따른 마모와 성능을 유지한다.

피봇컵 (Pivot Cup)

피봇에서 설명했듯이 피봇컵은 피봇과 베이스 플레이트가 만나는 지점을 보호해 주는 부품이다. 피봇컵은 부싱과 마찬가지로마모와 파손에 따른 교체가 필요하다. 피봇이 파손된 상태로 주행을 계속하면 안정된 보딩을 할 수 없다.

트럭 사이즈

트럭은 기본적으로 행거의 길이로 나뉘어 진다. 트럭 브랜드 마다 조금씩 사이즈 기준이 다르다. 트럭 구입시 또는 휠 구입시 자신의 트럭과 휠의 사이즈의 관계를 미리 생각하고 구입하여야 한다. 사이즈가 큰 휠을 사용하면서 매우 낮은 트럭을 사용한다면 휠과 데크의 밑바닥면의 마찰이 심화되어 보딩을 하지 못할 것이다. 반대로 사이즈가 작은 휠을 사용하면서 높은 트럭을 사용한다면 안정감이 매우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높이를 기준해서 Hi 트럭도 Low트럭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그 만큼 큰 차이는 없지만 초보자나 중급자는 스펙상 가장 적당한 휠과 트럭을 구입하여야 한다. 휠과 트럭의 사이즈의 밸런스상에 보딩의 큰 기술의 차이가 있다.
이 밸런스를 느낀다면 자신의 보딩실력이 상당하게 올라섰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트럭은 보드를 구입할 때 데크 다음으로 중요한 부속품이다. 트럭은 자신의 보딩 스타일에도 대단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트럭이 무거우면 튼튼하고 가벼우면 테크닉은 좋지만 내구성이 조금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의 기술의 발달은 단순히 내구성만으로 트럭을 판단하지 않는다. 사용하기 편리함과 보딩의 주목적인 테크닉의 활용이 얼마만큼 뛰어 나는가가 우선이다. 트럭은 그라인드라는 기술시 트럭 본체가 갈린다. 너무 많이 갈리면 이제는 교체해야한다. 트럭이 기물이나 콘트리트 모서리에 갈리지만 않는다면 대부분의 트럭은 수명이 매우 길 것이다. 하지만 스케이트보딩은 수많은 트릭을 구사하면서 데크와 트럭, 휠에 상처를 입힌다. 트럭의 마모는 영광의 상처이다. 자신의 스타일과 올바른 트럭을 선택하여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트럭 브랜드가 많지만 분명 스타일과 기능과 품질이 다르다. 트럭의 테크닉과 무게, 내구성 및 특징을 파악하고 구입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만약 자동차의 서스펜스가 차체와 맞지 않다면 운전시 마음대로 방향조절을 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Low - 휠(Wheels)사이즈 52mm 이하
Mid - 휠(Wheels)사이즈 54mm 이하(Low 사이즈 포함)
Hi - 휠(Wheels)사이즈 58mm 이하(Low, Mid사이즈 포함)

txt_06.jpg

 

img_04.jpg

 

휠이란?

스케이트보드의 휠은 자동차의 바퀴와 같은 개념이다. 휠은 대부분 우레탄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우레탄은 재료 자체가 고가의 재료이다. 하지만 같은 우레탄재질로 만든 휠이라도 브랜드와 우레탄 이외의 특수 첨가되는 재료등 제작하는 공법에 따라 품질이 매우 달라진다. 우레탄의 성질은 먼저 가볍고 탄성이 강한 게 특징이지만 인성과 강도가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DURO는 ‘durability’를 의미하며 내구성, 견고성을 의미한다. 숫자가 높으면 강도가 높고 낮으면 강도가 낮다.휠은 겉 모습만으로는 큰 차이가 없지만 브랜드와 재질, 공법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있다.성능의 차이는 안정감과 기술구현, 마모, 속도감 등 지면에 닿은 부분이므로 자신에 맞는 휠을 골라야한다.

강도

보통 95A~97A 강도를 지닌 휠을 소프트 휠로 인정하고 있다. 보통 97A 강도를 지닌 소프트 휠은 대부분의 스트리트에서 보딩을 즐길 수 있으며 스케이트보드 파크, 램프 및 콘크리트 풀 등지와 같은 부드러운 노면에서 그 성능을 발휘한다. 95A 정도의 강도를 지닌 소프트 휠은 부드러우면서도 빠르게 어느 정도 거친 노면을 보딩을 즐길 수 있다. 90A 보다 낮은 강도의 휠은 주로 롱보드에 이용되며 미국과 유럽에서 많이 즐기고 있는 크루저 라이딩, 힐 라이딩을 즐길 수 있다. 매우 거친 노면을 질주하는 큰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전체적인 소프트 휠의 특징은 탄성력이 매우 좋고 착지시 부드럽게 착지가 가능하며 주행시에도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하다. 접지력이 높기 때문에 안정된 보딩을 구사하기에 매우 좋다. 보통의 큰 사이즈 휠이 소프트 휠로 만들어진다. 강도가 하드휠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마모율이 하드휠 보다 크다.

Dual Durometer

Dual = 이중의, 두 부분. Durometer = 내구성, 견고성. 즉, 서로 다른 이중의 재질로 만든 휠이다. 휠의 베어링이 들어가는 안쪽면과 노면과 접촉하는 바깥면의 강도와 재질이 다르게 만들어져 있다. 휠의 안쪽면은 베어링이 들어가는데 이 부분은 주행시 베어링이 고속으로 회전을 할 때 생기는 열 발생과 마찰이 가장 많이 일어나므로 열 발생과 마찰에 의한 휠의 변형과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이 들어가는 안쪽부분을 더욱 더 강도가 강한 재질로 만들고 바깥면을 하드 휠 또는 소프트 휠 재질로 개발된 휠 이다. 약어로 듀얼듀로 휠이라고 불리 우는데 브랜드의 노하우에 따라 같은 듀얼듀로 휠이라도 그 성능과 특징이 많이 차이가 나므로 구입시 잘 선택해야 한다. 듀얼듀로 휠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재료로 만들었기 때문에 보딩할 때 느낌이 사뭇 다르다. 대부분의 듀얼듀로 휠은 가격이 일반 휠 보다 비싼 편이다.

Wheels 사이즈에 따른 특성

스케이트보드 휠 사이즈는 보통 49mm ~ 60mm 사이에서 사용된다. 최근 들어서는 휠 사이즈가 조금 작은 사이즈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50~54mm 사이즈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50~54mm 사이즈는 일반 스트리트와 파크 등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55mm~60mm 사이즈도 일반 스트리트와 파크 등 사용되고는 있지만 특히 버트램프(Vert Ramp)에서 큰 기능을 발휘한다. 60mm 이상은 롱보드에 사용되는 사이즈로 힐 라이딩, 크루저 라이딩 등 거친 노면에서 속도를 즐기는데 사용된다. 휠 사이즈에 따라 보드 스타일이 많이 바뀐다.
일반적인 사이즈에 따른 특징은 사이즈가 크면 상대적으로 회전반경이 크므로 속도가 빠르고 지면에서의 떨림이 조금 덜하고 작은 휠보다 조금 무겁기 때문에 안정감을 주지만 주행 회전시 데크와의 마찰의 위험이 크다.
만약 자신의 휠이 주행시 데크와 마찰이 심하다면 작은 휠로 바꾸는 방법과 라이저패드(Riser Pad)를 사용하여 높이를 올려주는 방법이 있지만 이럴 경우 스케이트보드의 스타일이 바뀌게 되는 것이므로 처음 구입시 자신에 맞게 구입하는 것이 좋다.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고 떨림이 조금 심하지만 가볍고 작기 때문에 트릭기술을 구현하기가 보다 쉽다.

Compression Mold Method (압축몰드공법)

접착시공이 완료되면 여러겹의 Veneer접착과 데크의 오목면인 Concave를 시현하는 데크제작의 최고의 기술력인 압축몰드공법에 의한 압축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몰드(Mold) 즉, 형틀의 설계 기술력이 브랜드의 기술력이다. 같은 브랜드라도 모델별로 압축몰드공법은 제각각 이므로 구입시 어떤 몰드공법을 사용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이 기본이다

img_05.jpg

 

베어링이란?

트럭과 연결된 휠에 각각 2개씩 조립(총8개)되어 휠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베어링이 없으면 휠은 회전하지 못한다.스케이트보드용 베어링은 볼베어링을 사용한다. 볼 베어링의 규격은 ABEC(Annular Bearing Engineering Committee of the AFBMA) 미국 베어링 제조자 협회의 규정에 의한 베어링의 공업규격을 등급으로 산정한 지수이다. ABEC-1,3,5,7,9 등급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수가 높을수록 정밀도와 허용 회전수 등의 수치가 높다. 그러므로 등급이 높을수록 높은 내구성과 속도를 느낄 수 있다. 스케이트보드 브랜드 베어링은 대부분 ABEC-5이상으로 제작한다. 베어링은 전 세계적으로 등급지수를 기준으로 제조공법에 따라 그 품질에 큰 차이가 있다. 개인이 베어링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것은 부드러운 회전감과 속도감에서 그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스케이트보드의 베어링 치수는 미니어쳐 볼 베어링 608ZZ베어링으로 휠(Wheels)이 생산된다. 그 외 688ZZ베어링(608ZZ보다 조금 작다)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뒤에 따라붙는 ZZ는 베어링의 볼 표면을 보호해주는 커버 즉, Shield를 의미하는데 ZZ는 양면 Shield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스케이트보드용 베어링은 양면 Shield로 생산된다. 베어링의 선택시 ABEC의 지수가 같다고 해서 동일한 성능의 베어링이 아니다. ABEC지수는 단순 공업규격상의 약속을 의미하며 성능의 차이는 베어링을 제조하는 기술력에 달려있다. 일반 공업용 베어링(저가)의 경우에도 충분히 스케이트보드를 즐기기에는 무리가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보드 브랜드의 전문베어링은 공업용 베어링에 비해 분명 그 성능과 품질이 우수하다. 그 점을 잘 인지하여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txt_08.jpg

 

img_06.jpg

 

그립테이프란?

그립테이프는 데크의 표면에 붙이는 사포(Sandpaper)를 말한다. 스케이트보드용 그립테이프는 일반 사포와는 특징이 매우 다르게 생산된다. 그립테이프는 Grip은 붙잡다의 의미이듯이 데크위에 올라선 보더와의 데크의 밀착을 증대 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약 그립테이프이 없으면 보더는 데크를 마음대로 조종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그립테이프는 스케이트보드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립테이프는 날로 발전되어 스케이트보드화와 아주 조화가 잘 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립테이프와 보드화의 마찰을 통해 기술을 구현하게 되는데 그립테이프의 거칠한 정도에 따라 보드화가 빨리 닳아버리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필요악의 요소임을 감안하여야 한다. 그립테이프이 매우 부드러우면 보드를 컨트롤하기 힘들어지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그립테이프회사들은 보다 기술구현이 쉬우면서도 보드화와 첩착력이 매우 뛰어나고 데크의 접착력 또한 강하면서 컨케이브가 있는 데크에도 부착이 용이한 그립테이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대부분의 보더들은 그립테이프의 성능을 별로 중요시 여기지 않고 있지만 그립테이프 또한 보딩 기술구현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

txt_09.jpg

 

img_07.jpg

 

하드웨어란?

데크와 트럭을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를 말한다. 스케이트보드에는 총 8개가 필요하다. 보딩을 오랫동안 하다 보면 볼트의 죄임이 느슨해지는 경우도 있는데 가끔 점검하여 다시 한번 죄여주면 된다. 마운팅 볼트의 품질은 강도에 있는데 저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다 보면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휘어지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 이때 생기는 응력으로 데크의 마운팅 볼트 구멍(기본적으로 가장 약한 부분)을 기준으로 데크가 균열이 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스케이트보드 완성품을 구입한다면 마운팅 볼트도 구입시 선정하거나 문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알기 쉽게 흔히 사용하는 볼트나 못을 생각해보면 알 것이다. 흔히 싸구려 볼트나 못을 사용하다 보면 금새 휘어지거나 볼트의 머리가 뭉개지는 경우가 종종 많이 겪는 것을 생각해 보면 쉽게 알 것이다. 마운팅 볼트는 볼트의 머리모양에 따라 십자(Phillips Head)와 육각(Allen Head)모양의 두 종류로 나오는데 편리함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txt_10.jpg

 

img_08.jpg

 

라이저패드란??

라이저패드는 트럭과 데크를 조립하기 전 그 트럭의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서 같이 조립하는 부드러운 플라스틱류재질로 만들어져 있는데 주요용도는 보딩시 충격완화작용과 부드러운 주행 및 데크와 트럭의 마찰을 줄여주어 데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드의 조립후 보딩시 휠과 데크가 접촉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이 때 라이저패드의 높이만큼 높이를 올려주어 접촉방지 역할을 하기도 한다. 대부분 라이저패드는 딱딱한 정도가 중간인 미듐을 사용하고 있다. 라이저패드는 스케이트보드 조립시 필수품목이 아니므로 자신의 스타일이나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보더들 중에는 라이저패드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보더들도 있지만 라이저패드는 그 용도에 따라 분명 스케이트보드 장비용품 중에 하나이다. 라이저패드는 조립시 트럭의 숫자와 같이 2개가 1세트이다.

 

출처 : https://www.boardkorea.com/main/html.php?htmid=proc/page/skGuide.htm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828440
2425 응용 프로그래밍 WIndows Application의 실행 속도 측정 file JaeSoo 2023.09.06 1076
2424 윈도우즈 [Msoffice] Pdfmaker office addin 오류 해결방법 file JaeSoo 2023.08.21 1740
2423 웹 프로그래밍 메모리 부족 현상 (allowed memory size of 134217728 bytes..) JaeSoo 2023.08.01 2153
2422 웹 프로그래밍 Guzzle - cURL error 60: SSL certificate problem: unable to get local issuer certificate 문제 해결 file JaeSoo 2023.07.30 2119
2421 웹 프로그래밍 XE 캐시파일 재성생후 404 Oops, Sorry. Page is not found! 나올때 JaeSoo 2023.07.29 2073
2420 생활 스케이트보드 종류, 입문 보드 추천 file JaeSoo 2023.07.16 1089
» 생활 스케이트보드 장비 가이드 file JaeSoo 2023.07.16 987
2418 하드웨어 How SAS, Near Line (NL) SAS, and SATA disks compare JaeSoo 2023.07.05 1281
2417 하드웨어 NL-SAS 와 SAS 의 차이점 JaeSoo 2023.07.05 796
2416 업무 ARO(Academic Research Organization),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차이 JaeSoo 2023.06.23 523
2415 네트워크 Cisco Catalyst 9200 Series file JaeSoo 2023.06.22 443
2414 법/정책 개인정보 보호법 제2차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JaeSoo 2023.06.12 224
2413 법/정책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알아야 할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file JaeSoo 2023.06.12 174
2412 법/정책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3.05.19~23.06.28) file JaeSoo 2023.06.12 142
2411 법/정책 개인정보 보호법 전면개정, 데이터 신경제 시대 열린다 file JaeSoo 2023.06.12 139
2410 취미 자전거 프레임 사이즈표 한 눈에 알아보기^^ file JaeSoo 2023.06.05 677
2409 사업 카드단말기 간이영수증 출력하면 매출로 잡히는건가요? JaeSoo 2023.05.31 798
2408 네트워크 BGP Load Balacing to multiple ISPs(AS) JaeSoo 2023.05.31 685
2407 네트워크 4계층, 7계층 장비 : 로드 밸런서 (GW, NLB, ALB etc...) JaeSoo 2023.05.30 739
2406 네트워크 클라우드 단일 코어 아키텍처 (제네시스 클라우드) JaeSoo 2023.05.30 7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2 Next
/ 122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