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메인보드나 노트북은 UEFI 바이오스로 기본 설정되어 있어서 Rufus로 윈도우10 usb를 만들 때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받은 경우는 용량이 3.7GB이기 때문에 4기 용량이하 단일 파일을 지원하는 FAT32로 UEFI 형식의 usb부팅디스크를 만들 수 있어서 문제 될 건 없는데요. 편리함 때문에 유저들이 만든 4GB가 넘는 용량의 통합윈도우ISO로 설치할 경우는 하드디스크나 SSD가 인식이 안되기 때문에 RUFUS 와 바이오스 상에서 설정해줘야 될 부분이 있는데요. 간단하게 알아보자고요.
Legacy MBR(NTFS)와 UEFI GPT(FAT32) 두 가지만 기억해요.
짝꿍끼리만 호환돼요.
UEFI는 Legacy를 보완해서 인텔 2세대 샌디브릿지 부터 메인보드에 적용된 바이오스 인터페이스인데요. 출시 당시 윈도우7이 보편화된 시기라 윈도우8이상부터 적용 가능한 UEFI형식의 usb 부팅 디스크를 존재감 없이 취급했어요. UEFI 바이오스는 Legacy 모드를 지원하는 CSM(호환성 지원 모듈) 기능 제공됐기 때문에 대부분 Legacy로 부팅 디스크 윈도우를 쉽게 설치할 수 있었는데요.
최근엔 윈도우10이 대중화로 최신 메인보드 등엔 CMS 기능이 Off된 상태로 UEFI 모드로 기본 설정돼있어서 기존 Regacy 모드로 만들어진 USB 부팅 디스크로는 윈도우10이 설치가 안되기 때문에 CSM 기능을 활성화해 주셔야 하는데 많이들 당황하셨을 거예요.
제 주변에도 UEFI바이오스가 최근에 적용된 형식인줄 알고있어요.
2012년부터 출시한 노트북,메인보드등에 대부분 UEFI바이오스입니다.
UEFI 바이오스라도 Legacy 모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인텔 기준 7세대 이하 메인보드나 노트북 등에서는 UEFI 및 Legacy 부팅 옵션으로 세팅이 되어있어서 USB 부팅 디스크를 만들 때 설정 부분을 크게 신경 안 쓰고 만드셔서 사용했지만 최근에 나온 노트북은 부트 옵션 선택이나 os 선택 메뉴를 활성화시켜 줘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
삼성 노트북 UEFI 바이오스 화면인데요. 기본 설비 Secure Boot Control (UEFI 전용 부팅 보안 컨트롤)이 켜져 있는 상태로 출하여 되기 때문에 legacy mbr(ntfs) 부팅 디스크를 인식시켜주기 위해서 oFF시켜주시면 비활성화되어 있던 OS Mode Selection 창이 활성화되면서 부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이때 CMS and UEFI OS를 선택해주시고 SAVE(F10) 시켜주시면 legacy mbr(ntfs) 부팅 디스크로 윈도우를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사마다 Legacy 와 CSM(UEFI바이오스상에서 Legacy모드를 지원해주는 호환성 지원 모듈)과 혼용해서 쓰기도 합니다. 제조사마다 설정방법이 조금씩 다르니 제조사공식홈등에서 확인하시고 설정해보세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다운로드한 윈도우10 IOS파일 부팅디스크
MS 공식 홈에 받은 IOS 파일은 3.72GB로 4기가 이하만 지원하는 FAT32로 포맷이 가능하기 때문
기본적으로 UEFI GPT(FAT32)형식의 부팅 디스크를 만드실 수 있어요.
1111111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에서 다운로드한 Window 10 ISO 파일로 Rufus를 실행시키면
UEFI GPT(FAT32) 와 legacy mbr(ntfs) 2가지 형식으로 모두 usb 부팅 디스크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유저들이 만든 4GB이상의 통합윈도우10 IOS
ISO 파일이 4기가 이상인 경우는 RUFUS에서 자동적으로 legacy mbr(ntfs)방식으로
기본 설정됩니다.
4GB이상 파일 UEFI GPT(FAT32) 방식으로 설정해서 시작을 눌러보시면
위와 같은 팝업창을 볼 수 있어요. 결론은 통합버전 윈도우로는
UEFI 부팅 디스크를 만들 수가 없네요.
혹시나 하고 UEFI GPT(FAT32) 방식에서
FAT32포맷 형식만--->NTFS 방식으로 변경해서
짝꿍이 아닌 UEFI GPT(NTFS)로 부팅디스크를 만들어봤더니 아래처럼
USB 파티션이 분할돼서 부팅 디스크가 만들어지는 오류가 생깁니다.
결국
UEFI GPT(FAT32)
Legacy MBR(NTFS)
두 가지 짝꿍끼리만 호환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 http://john-home.iptime.org:8085/xe/index.php?mid=board_fPsP79&document_srl=18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