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조사의 장점
< 서 론 >
표본조사는 표본의 특성을 기반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해 내는 방식이다. 표본조사가 실시되기 위해서는 특정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표본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정확히 모수를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집단에 속하는 사례 전부를 조사하는 전수조사(全數調査:census)와 대비되는 방법으로서 일부조사·표본추출조사·샘플조사 등으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전수조사보다는 표본조사가 훨씬 많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첫째, 표본조사가 모집단 일부를 표본으로 선정하고 그 표본에 대해서만 조사를 실시하게 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그리고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다
표본조사는 전수조사에 비해 오류의 정도가 오히려 적을 수 있다. 사회과학조사에서 오류는 크게 표본오류와 비표본 오류로 나누어지는데 표본조사는 상대적으로 비표본 오류가 적어서, 즉 조사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조사과정을 보다 더 잘 통제할 수 있어서 훨씬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 본 론 >
표본조사는 조사의 성격상 전수조사가 불가능할 경우 또는 전수조사가 가능하나 비용·시간 등의 면에서 표본조사가 선호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파괴(破壞)조사를 수반하는 제품검사는 전자의 경우에 속한다. 그러나 오늘날 각종 통계조사나 여론조사가 거의 표본조사를 채용하고 있는 것은 후자의 이유 때문이다.
본래 조사의 목적이 되는 집단을 모집단(母集團)이라 하고, 현실적으로 관찰되는 사례를 표본(標本)이라 한다. 모집단에서 표본을 선택하는 데는 원칙으로서 추첨 등의 우연에만 의존하는 방법이 취해지는데, 이 같은 선택법을 '무작위추출법(無作爲抽出法)'이라고 한다.
모집단의 수에 대한 표본수의 비율을 추출률이라고 하며, 조사의 신뢰도와 비용의 크기는 추출률의 높이에 따라 증가되므로 이 양자를 고려하면서 추출률을 결정하게 된다. 또 표본조사에서는 회답을 거부한 표본의 처리에 신중하여야 한다. 그것은 표본이 특정의 경향을 지닌 집단일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모집단이 상당히 커서 무작위추출에 많은 비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다단추출법(多段抽出法)이 채택된다. 예를 들면 전국적인 규모로 세대에 관한 특성을 조사함에 있어서 제1차 추출단위로서 시·읍·면을 몇 개 무작위추출하고, 다시 그 중에서 몇 세대를 추출하여 조사하는 2단 추출법 등이 해당한다.
다단추출법의 경우 비용은 크게 절약될 수 있으나 조사의 신뢰도는 같은 추출률의 무작위추출의 경우보다 낮아진다. 반대로 조사되는 특성에 관해서 모집단이 몇 개의 상이한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이미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모집단을 약간의 그룹으로 분할한 후 그룹별로 추출률을 정해서 조사하는 국화추출법(局化抽出法)을 채용하여 조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현실적으로 국화추출법과 다단추출법이 주로 실시되고 있다.
구 분 |
표 본 조 사 |
전 수 조사 |
1. 예 산 |
적 다 |
많 다 |
2. 자료의 사용기간 |
짧 다 |
길 다 |
3. 모집단의 크기 |
크 다 |
적 다 |
4. 특성에 대한 분산 |
작 다 |
크 다 |
5. 표본추출오차의 비용 |
낮 다 |
높 다 |
6. 비표본추출 오차의비용 |
높 다 |
낮 다 |
7. 측정의 본질 |
파괴적 |
비파괴적 |
8. 개인적 상황 고려 |
고려한다 |
고려하지 않는다 |
상기의 표를 통해 표본조사의 장점은 첫째, 전수조사에 대비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둘째, 표본조사를 통해 전수조사 보다는 더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표본조사에서 조사과정을 잘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표본 추출오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비표본출오차는 조사의 실시과정 및 조사결과의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표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셋째로는 파괴적인 조사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통조림 만개를 전부 열어 조사한 뒤 다시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넷째로 다량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시간과 비용의 절약으로 더 많은 조사항목정보를 포함시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결 론 >
대부분의 통계조사는 전수조사가 아닌 표본조사로 이루어진다.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도소매업조사 등이다. 표본조사는 전수조사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고 심도있는 조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만 모집단에서 추출한 소수의 표본이 전체 모집단의 특성을 잘 대표하여야 한다. 즉 표본조사는 소수의 표본을 통해 전체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해 내는 것이므로 그 표본이 전체 모집단을 잘 대표할 때에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http://cafe.daum.net/buphd/9mIb/24?docid=1KTAW9mIb2420110115111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