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건강
2013.09.14 03:05

음주와 금연과의 관계

조회 수 34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생리적 요인과 음주와 흡연
 
1) 유전 요인과 음주와 흡연
 
술에 의존하는 사람이 알코올 중독으로 발전하는 경우, 유전적인 요인이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이 (무엇에 의해?) 입증되었습니다. 흡연 중독 역시 유전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사실 상습적인 흡연에 대한 유전 가능성이 알코올 중독에 대한 유전 가능성보다 높습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유전적인 요소는 알코올에 대한 의존뿐 아니라 흡연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키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1)

 
사람들이 니코틴에 대해 처음부터 의존하게 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이 태어날 때부터 니코틴과 같은 독성 물질에 대해 본능적으로 높은 민감성을 타고 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유전적으로 니코틴에 대해 덜 민감한 생물학적 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부모 세대가 니코틴에 친숙함으로) 담배와의 첫 대면이 그리 불쾌하지 않게 되고, 이것은 그들이 니코틴에 중독될 가능성을 더 높이게 됩니다.1)
 
2) 여성, 우울, 그리고 음주와 흡연
 
여성들의 경우에 있어서 흡연과 음주의 연관성이 더 강합니다.2) 몇몇 조사에 따르면 우울증 역시 알코올 사용을 늘리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성들 사이에서 특히 더 심합니다. 과거 심각한 우울증을 경험했던 알코올 중독 여성들은 우울증 경력이 없는 알코올 중독 여성들에 비해 치료 도중 재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울증과 흡연과의 관계는 특별히 1993년에 Kendler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행해진 9년간의 연구 추적 결과 나타났는데 이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이 있는 흡연자들이 그렇지 않은 흡연자들에 비해 금연에 성공할 가능성이 40% 가량 낮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연구는 과거 우울증 경력을 가진 금연 시도자들은 그렇지 않은 시도자들에 비해 금연 과정 중 더 심각한 우울증을 경험하기 쉽다고 보고하였습니다.3)
 
 
 2. 음주와 흡연의 관계
 
1) 음주와 흡연의 연관성
 
술을 마시는 미국 십대들의 40%가 담배를 피우는 반면, 담배를 피우는 88%의 십대들이 술을 마십니다. 연구에 따르면 술을 마시는 청소년들은 흡연에 쉽게 노출되지 않으나 흡연을 하는 청소년들은 흡연과 동시에 음주율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연구 결과 86% 가량의 흡연자들이 비흡연자가 술을 마시는 것보다 1.32배가량 많게 음주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2)
 
흡연율은 하루에 몇 차례 즉, 3~4번가량 음주를 하지 않는 이상 크게 증가하지 않습니다.4)
 
알코올 중독자나 과음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금연에 성공하는 것이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armel과 그의 동료들의 연구(1993)에 따르면 16년간의 연구 조사 기간 동안 술을 적게 마시는 흡연자일수록 금연에 성공할 확률이 더 높았습니다.5)Difranza와 Guerrera(1990)의 연구 또한 알코올 중독자들이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들과 똑같이 금연을 시도하고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성공 사례가 극히 드문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Hughes(1993)는 과거에 알코올이나 마약에 의존했던 경험이 있거나 현재에도 그러한 사람들은 역시 금연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음주는 금연 과정 중 흡연 재발을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5)
 
2) 흡연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
 
Hughes(1994) 팀의 연구에 따르면 알코올 중독자들 가운데 70%가 하루에 29개비 이상을 피우는 과흡연자로 나타났습니다. 대체로 과흡연자 7명 가운데 1명은 심각한 알코올 중독에 빠져 있는데, 이것은 담배를 거의 피우지 않는 20명 가운데 단 1명이 알코올 중독에 빠지는 현상에 비하면 대단히 높은 수치입니다.1)
 
흡연과 음주의 연관성에 있어 중요한 두 번째 사안은 흡연이 알코올 중독에 대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20개비 이상의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 중 13~15%가량은 동시에 알코올 중독자가 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6)
 
3) 음주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 소비는 흡연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외부적 요인입니다.5)
1959년 Cartwright와 그의 동료들은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들은 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더 술을 많이 마시고, 흡연자 가운데서도 과흡연자일수록 과음주자일 경우가 많다는 게 그들의 주장입니다.
 
Cartwright의 연구는 알코올 사용이 담배 의존도를 촉진시킨다고 증명하였습니다. 1970년대 초기 이래로 미국은 전반적으로 흡연 인구율의 감소를 보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알코올 중독자들 사이에서의 흡연율은 결코 줄어들지 않았습니다.1)
알코올 중독자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에 처했을 때 술과 동시에 담배를 찾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
 

우리나라의 2001년도 국민 건강 조사 자료의 심층 분석을 통해서도 이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8) 비음주자에 비해서 현재 음주자, 위험 음주자(주 1회 이상 5잔 이상의 과음주자), 그리고 고도 위험 음주자(주 3회 이상 5잔 이상의 과음주자)들이 음주의 빈도와 양이 많아질수록 흡연율이 매우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교차위험비.jpg

그림 1. 음주정도에 따른 흡연행동 교차위험비
출처: 천성수 등,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심층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장기적인 사망률 연구에 따르면 알코올 중독자들의 주요 사망 원인은 폐암, 심근 경색증, 만성 폐색 폐질환 그 밖에 흡연 관련 질병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알코올 중독자의 대부분은 알코올 관련 질환보다도 흡연 관련 질환으로 인해 더 많이 사망합니다.6)
 
 3. 금연과 금주의 관계
 
1) 금연이 금주에 미치는 영향
 
흡연은 알코올 중독자들의 음주를 재발시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담배와 술은 둘 다 인체 복부 내피에 있는 도파민과 내인성 진정 물질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이러한 신경학적 메커니즘에 따라 흡연은 술에 대한 강렬한 열망을 불러일으키는 기폭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금주 시도를 하고 있는 대상자의 알코올에 대한 열망은 인체 복부 내피의 도파민이나 엔도르핀의 고갈과 관련이 있는데 이때 대상자는 흡연을 통해 체내의 도파민과 엔도르핀을 방출시키므로 알코올에 대한 열망을 충족시키게 됩니다. 이러한 신경학적 반응이 중요한 이유는 알코올 중독자에게 있어 술에 대한 갈망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담배 외에도 더 강력한 도파민 유리제들을 찾게 될 위험이 높다는 점 때문입니다.7)
 
소그룹에 의해 행해진 여러 연구 자료에 따르면 금연은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장려합니다. 적어도 네 개의 연구팀들은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일수록 담배를 여전히 피우는 사람들보다 금주에 성공할 확률이 더 높다고 발표하였습니다.3)
 
미국 네브라스카 중서부 지역에 있는 네 곳의 알코올 중독 치료 센터에서는 지난 1993년부터 1994년에 걸쳐 6개월 동안 90명의 알코올 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시범 연구를 벌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6개월 중 첫 한 달 동안 48시간 이상을 연속으로 금연했다고 보고한 환자들은 6개월간의 총 연구 기간 동안 하루 이상 과음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습니다(Gritz et al. 1992).
 
2) 금주가 금연에 미치는 영향
 
금주는 금연이 금주를 예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금연을 예방합니다.2) → 금주가 금연을 예방하는 것은 금연이 금주를 예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흡연과 음주 사이의 연관성은 음주가 흡연자들을 위한 치료 과정에서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음주는 담배를 끊을 수 있는 수많은 가능성을 차단합니다. 예를 들어 알코올 중독자이면서 동시에 과흡연자인 경우의 17%의 절반(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없음)만이 금연에 성공하였습니다. 생애 동안 알코올 의존도가 높은 흡연자일수록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금연할 확률이 30%가량 낮습니다.6)
 
임상의학자들은 금연의 효과적인 방안은 일차적으로 알코올 의존도를 낮추는 데 있다고 강조합니다. 금연과 금주를 동시에 시도하면 음주 재발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두 가지를 동시에 시도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합니다. 금연을 위해 먼저 금주를 시도할 때 금연에 대한 욕망은 긴 시간을 두고 해결하는 편이 낫습니다. 임상 실험 결과, 많은 환자들은 금주 후 금연 시도에 앞서 몇 개월 동안의 기간을 갖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자신들은 끊고자 하는 의지를 다시 한 번 재확인하며 금주 과정을 통해 습득한 금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재발 방지 기술들을 더듬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과정은 금연을 위해 환자들을 준비시킵니다. → 이 모든 과정은 환자들이 금연을 하기 위한 준비 기간입니다. 게다가 금연은 금주를 시작으로 하여 전체적인 생활 습관의 변화를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기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임상의들은 보고하였습니다.6)
 

 

참고문헌
 
1) Collins, Allan C. & Marks, Michael J.: 'Animal Models of Alcohol-Nicotine Interactions', In: Research Monograph Alcohol and Tobbaco: From Basic Science to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Th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 p.129.
2) Friedman, G.D.: Siegelaub, A.B.; and Seltzer, C.C. Cigarettes, alcohol, coffee and peptic ulcer. N Engl J Med 290:469-473. 1974 .
3) Bobo, J.K., Walker, D., Lando, H.A. & McIlvain, H.E.: 'Enhancing Alcohol Control with Counseling on Nicotine Dependence: Pilot Study Findings and Treatment Implications', In: Research Monograph Alcohol and Tobbaco: From Basic Science to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Th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 p. 226-234.
4) Cummins, R.O.: Shaper, A.G.; Walker, M.; and Wale, C.J. Smoking and drinking by middle-aged British men; Effects of social class and town of residents. BMJ 283;1497-1502, 1981.
5) Shiffman, S.: 'Associations between Alcohol and Tobacco', In: Research Monograph Alcohol and Tobbaco: From Basic Science to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Th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 p.18-24.
6) Hughes, John. R.: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Alcoholism', In: Research Monograph Alcohol and Tobbaco: From Basic Science to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Th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 p.175-179

 

출처 : http://www.icbp.go.kr/ndsys/ndboard/bbs_view.asp?seq=27&bbs_code=Fboard_335&gotopage=6&keyfield=&keyword=&dept_idx=111&datetime=

TAG •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922
1586 건강 흡연의 영향(14) - 흡연과 비만 file JaeSoo 2013.09.15 4740
1585 건강 흡연의 영향(13) - 흡연과 당뇨병 file JaeSoo 2013.09.15 4505
1584 건강 흡연의 영향(12) - 흡연에 대한 잘못된 상식 file JaeSoo 2013.09.15 4333
1583 건강 흡연의 영향(11) - 니코틴과 뇌의 관계 file JaeSoo 2013.09.15 4545
1582 건강 흡연의 영향(10) - 담배 해부하기 file JaeSoo 2013.09.15 4424
1581 건강 흡연의 영향(9) - 흡연과 치매 file JaeSoo 2013.09.15 4171
1580 건강 흡연의 영향(8) - 흡연과 심장병 file JaeSoo 2013.09.15 4694
1579 건강 흡연의 영향(7) - 흡연과 발기부전 file JaeSoo 2013.09.15 4901
1578 건강 흡연의 영향(6) - 흡연과 결핵 JaeSoo 2013.09.15 4508
1577 건강 흡연의 영향(5) - 간접흡연 file JaeSoo 2013.09.15 4322
1576 건강 흡연의 영향(4) - 흡연의 유혹 file JaeSoo 2013.09.15 4522
1575 건강 흡연의 영향(3) - 담배와 약의 관계 file JaeSoo 2013.09.14 4866
1574 건강 흡연의 영향(2) - 담배의 중독성 JaeSoo 2013.09.14 4664
1573 건강 흡연의 영향(1) - 담배를 피우는 이유 JaeSoo 2013.09.14 4620
» 건강 음주와 금연과의 관계 file JaeSoo 2013.09.14 3456
1571 건강 담배의 실체 (담배의 유해물질) file JaeSoo 2013.09.14 4193
1570 건강 담배 연기 속에는 어떤 해로운 물질들이 들어 있는가? file JaeSoo 2013.09.14 3398
1569 건강 이래도 피우시렵니까!... 담배-제조과정-흡연영향-니코틴-타르-일산화탄소 JaeSoo 2013.09.14 3349
1568 하드웨어 mSATA SSD의 이해와 다른 제품, microSATA 등과의 차이 file JaeSoo 2013.09.12 5696
1567 윈도우즈 msvcr100.dll 오류나 msvcp100.dll 오류날때 해결방법 file JaeSoo 2013.09.12 4968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