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P의 정의
* 일정한 시간 틀 내에서 치료나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결과를 평가하는데 기틀이 되는 도구로써 의료서비스 제공 시 충분한 자원을 이용하여 입원기간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의료의 질을 최대화하기 위해 계획된 의사, 간호사, 그리고 기타직원의 중재를 시간의 진행에 따라 적절한 순서로 배열한 것. Coffey (1992)
* 특정질환 또는 동종의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 대한 환자본인/가족 그리고 의료진의 예 상되는 진료행위를 제시한 시간틀로서 의사 및 모든 관련 부서에서 제공하는 최상의 진료 패턴을 나타내며 이는 각 분야의 개별 참여자들이 진료를 계획, 전달, 모니터, 기록, 검토 하는데 사용된다. Zander (1992)
* 특정질환이나 상태 또는 집단에 대한 다학제간 환자관리 계획으로 정해진 재원 기간 내에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의사, 간호사, 기타 의료 요원의 중재를 시간의 진행에 따라 적절히 배열해 놓은 것 Johns Hopkins Hospital (1994)
* 환자진료의 의무가 있는 인적자원 및 의료서비스를 포함하는 치료과정에 대한 시간 계획 Weiland (1997)
▪ 주 임상경로(Critical Pathway : CP) 란
* 환자진료결과를 향상시키면서 진료원가를 절감하는 하나의 도구 * 경제적 및 법적 측면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 *지속적인 질개선(CQI)활동과 전통적인 환자진료활동을 통합하는 하나의 기전
▪ CP 의 역할
*지속적인 CQI와 전통적인 환자진료 검토를 통합 (Integrating CQI with traditional patient care review)
*경제적 및 법적 변화에 전향적으로 대처 (Proactively addressing economic & regulatory change)
*변이를 감소함으로써 진료결과를 개선 (Improving clinical outcomes through reduction in variations)
*불필요한 비용과 자원의 이용을 조절 (Controlling unnecessary costs and resource usage)
*환자진료에 대하여 분야간 공동활동을 강화 (Foster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patient care)
*질관리와 직원교육을 연계 (Linking quality management to staff education)
▪ CP 개발의 목적
*제한된 재정적 자원의 관리 *환자진료제공과정의 변화를 시도 *보건의료기관의 희소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 *예상되는 보건의료비 지불제도의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 *임상 의료지침의 권고 내용을 반영 *환자진료검토활동을 재조직하거나 강화 *의료기관심의-평가기관의 기준을 충족
▪ 명칭에 대하여
*임상경로 Clinical Pathway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are Map *진료경로 Care Path *예상회복경로 Anticipatory Recovery Path *임상 프로토콜 Clinical Protocol
① 주 임상경로 (Critical Pathway) 치료방법중 임상적 또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진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된 몇 개의 필수적인 임상조치들 ② 임상경로 (Clinical Pathway) 결과에 대한 영향에 무관하게 전체 진료과정 중 일상적으로 필요한 모든 진료요소. 핵심적 조치와 일상적인 조치를 모두 포함. ③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특정 임상 상황에 대하여 적절한 보건의료의 의사결정과 활동을 기술한 것. 핵심적 조치, 일상적 조치 와 선택적 조치 CP 의 기초 - 임상진료지침 - 원가절감활동 - 환자진료검토활동 - 지속적인 질 개선활동
▪ 공통 특성 (Common Characteristics)
*특정환자군을 대상으로 설계 *특정환자군을 대상으로 설계 *환자진료활동의 성격, 진료량, 시점, 순서, 기간등에 초점 *기대하는 진료 결과의 목적을 설정 *장기적인 자료분석을 통하여 CP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지속적으로 개선
▪ CP 의 4 가지 원칙 * 참여를 통하여 수용성을 높인다. (Participation breeds acceptance.) * 의사소통을 통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Communication reduces anxiety.) * CP 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CPs are not panaceas.) * 결과는 과정이 아니다. (The outcome is not the process.)
∴ CPs are a clinical process and not a goal
CP 개발의 모형 : QTA
|
|
출처 : https://www.demc.kr/qi_news/02_qi_05_02.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