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1개월
|
엄마 몸은 어떻게 변할까?
|

|
아직은 느낌이 없어요~~ |
|
임신 1개월은 마지막 월경일 부터 다음 월경이 시작될 때까지 이므로 임산부 스스로 임신임을 알아차릴 수 있는 증세는 없습니다. 또한 소변검사나, 초음파 검사로도 아직 임신을 정확히 진단 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
감기에 걸렸나? |
|
0-1주는 수정이 안된 상태기 때문에 아무런 느낌이 없으나 2-3주 정도가 되면 민감한 사람의 경우 몸이 나른해지며, 기운이 없고, 미열이 나는 등 감기 초기 증세를 느끼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혹시 임신이 되지 않았을까? 하고 느낌이 올 때는 적어도 4-5주 정도가 지나야 합니다.
|
|
임신 개월별 체크 포인트
|

|
임신 한 사실을 빨리 알아야 합니다. |
|
자각 증세로 임신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아기를 기다리는 사람이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월경예정일이 늦어지면 곧바로 검진을 받도록 합니다. 임신 사실을 빨리 알아야 아기를 위해 몸조심을 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임신 사실을 빨리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임신 결과를 빨리 알기 위해서는 기초체온을 재어 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건강한 여성의 기초체온은 월경 시작일부터 배란까지, 그리고 배란부터 다음 월경 시작일까지로 둘로 나누어 0.4~0.6℃ 정도의 미묘한 온도 변화가 나타납니다.
기초체온은 매일 아침 눈을 떴을 때 이부자리에서 혀 밑에 체온계를 넣어 잽니다. 이렇게 2~3개월 정도 계속해서 체온을 측정해 그래프를 만드는데, 매일의 체온 수치보다는 몇 개월 간의 체온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이 되지 않았을 때의 기초체온은 배란기 무렵부터 상승해 다음 월경 직전부터 떨어집니다. 임신이 되었다면 다음달 월경 예정일이 지나도록 고온 상태가 계속 됩니다.

|
|
일상생활 주의사항
|

|
약물 복용과 X선 촬영은 주의해야 합니다. |
|
무심결에 먹은 알약 한 개에도 태아는 쉽게 상처를 받습니다. 이 시기에는 뚜렷한 자각 증세가 없고 감기로 착각해 생각 없이 약을 먹는 경우도 흔하므로 임신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나, 의도적으로 피임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능성을 항상 염두하고 마지막 월경이 시작된 후 2주일 후에는 약을 먹거나 X선 촬영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만약 임신 사실을 모르고 약을 먹거나 X선 촬영을 했다면 전문의에게 언제 어떤 약을 먹었고, 방사선 촬영은 언제 어느 부위를 했는지 정확히 이야기 한 후 상담을 받도록 합니다. 약물의 종류 및 방사선의 양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지므로 미리부터 겁내지 말고 상담에 임하도록 합니다.
|

|
담배, 술 등은 피하는 것이 상책! |
|
건강한 출산을 위해 금연과 금주는 당연히 챙겨야 할일!! 특히 금연의 경우에는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해 주는 자궁 동맥을 수축 시켜 아기에게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술의 경우에는 적당히 즐겨도 되지만 습관성으로 마시거나, 과음을 하여 신장이나 간장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
|
뱃속의 아기는 어떤 상태일까?
|

|
수정과 착상이 됩니다. |
|
임신 1개월은 맨 마지막 월경의 첫날부터 28일간을 뜻합니다. 따라서 임신 0주와 1주는 아직 임신이 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 월경일 부터 약 14일 후에 난자는 배출되며 정자와 만나 수정이 됩니다. 수정란은 직경 0.2cm 정도 의 크기로 세포 분열과 함께 난관을 따라 이동하여 수정 후 7-10일 정도면 자궁 내막에 착상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