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조회 수 63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브레인 스토밍(아이디어 홍수, 아이디어 회의)이란 작은 집단이 한 가지의 문제를 놓고 서로 아이디어를 내는 일종의 회의기법이다, 이는 기존의 회으와는 달리 딱딱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놀이'와 같이 자유분방함 속에서 아이디어를 획득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그 과정에서 섬세한 기술이 요구됨은 물론이다, 브레인스토밍의 10가지 기본사항에 대해 알아본다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이란 무엇인가?


브레인스토밍은 1941년 BBDO광고대리점의 '알렉스 F 오스본'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한 회의기법'이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40여년 전부터 회사와 학생의 발명, 발견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오늘 날에는 회사의 집단 기술개발 및 학교의 과학반 운영은 물론 각종 정책회의 및 가족회의에까지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 조직에서 브레인스토밍의 적용범위에 대해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문제의 해결책을 찾으려 할때


 -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떤 것인지를 결정하려 할 때


 - 어떤 개선 활동을 해야 할지를 결정 할 때


 - 프로젝트의 각 단계에 대한 계획을 세울 때


 - 팀의 창조성을 촉진시킬려 할 때


 - 공정이나 제춤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개선의 기회를 찾으려 할 때


이와같이 브레인스토밍은 기존의 회의와는 달리 '자유분방함'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 과정에는 섬세한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너무 쉽게 생각하거나 장난스러운 것으로 생각해서는 여지없이 실패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비효과적인 브레인스토밍의 특징이자 원인이다.


브레인스토밍을 갖기 전에 몇가지 고려사항이 있다. 좀 더 쉽게 설명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하여 구체적인 답안을 체크하여 볼 수 있다. 이는 미국의 조직혁신 전문가인 Paul Sloaneol에서 제시한 방법이다.


 


2. 브레인스토밍의 10가지 고려사항들


1) 브레인스토밍에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은 몇 명인가?


 브레인스토밍의 참석할 수 있는 인원은 6 ~10명이 이상적이다, '6'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다양한 의견에 접하지 못할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많은 인원 즉 '10'을 초과할 경우에는 아이디어의 흐름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너무 조용하거나 시끌벅적한 분위기에서 브레인스토밍은 실패할 가능성이 많다, 왜냐하면 주위가 산만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귀를 기울여 주지 않을 경우 사람들은 심한 곤란과 좌절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만약 참석자가 '16'일 경우 이를 그룹형태(그룹 1,그룹2)로 나누어야 한다. 무엇보다 가장 좋은 분위기에서 브레인스토밍을 즐기며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


 


 2) 어떤 유형의 사람들을 브레인스토밍에 초대할 것인가?


 브레인스토밍의 핵심은 '다양성'에 있다. 그룹의 각 멤버가 폭넓고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될 수 있는 한 다양하게(성별, 연령, 직종, 국적 등)구성하도록 한다.


언제나 같은 멤버로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있으면 점차 틀에 박힌 아이디어만 나오게 된다. 고객이나 비즈니스파트너, 또는 기자들을 이 모임에 참여시키는 방법은 어떤가? 게스트들은 언제나 브레인스토밍의 멤버로 되어 있는 사람들과 섞으면 게스토로부터 각도가 다른 기발한 아이디어가 나오며, 레귤러 멤버는 활발히 아이디어를 내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얼마나 오랫동안 브레인스토밍을 계속할 것인가?


 이 문제는 주어진 문제가 얼마나 복잡한가, 얼마나 많은 아이디어가 필요한가, 그리고 사안에 대한 최종 분석 여부 등에 달려 있다. 사안이 매우 복잡하고 폭넓은 의견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며칠 간 지속될 수 있다. 단 한번의 회의에서 보통 그 시간은 30분 내지 1시간 이내가 적당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이디어는 '한 순간'에 떠오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따라 그 시간을 정한다 사람들이 여유와 쾌활함을 느낄 수 있는 아침 8시 ~8시 30분, 커피 한 잔고 시작을 준비하는 것이 어떨까? 이메일, 전화, 회의 등으로 주위가 산만해지기 전에 시작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4) 브레인스토밍의 핵심사항


 브레인스토밍의 첫 번째 주요사항은 '아이디어 산출', 두 번째는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 및 '선택'이다.


아이디어 산출이란 일반적으로 '발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 확산적 사고라고도 한다)를 통해 도달할 수 있다. 발산적 사고력은 전에 없던 것 또는 알려지지 않았던 것을 새롭게 생각해 내는 능력을 말한다. 가능한 모든 아이디어는 열린 공간에서 창출되고, 기록,보존되어야 한다.


두번째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에서는 집중적 사고 (convergent thinking,수렴적 사고라고도 한다)와 비평적 분석 (critical analysis)을 필요로 한다. 이는 초점을 정해 놓고 구체적으로 좁혀 가면서 절대적 답을 찾는 과정을 말한다.


 


 5) 브레인스토밍에서의 리더의 역할은?


 브레인스토밍은 리더의 책임이 막중하다, 브레인스토밍이 잘 진행되는 것도그렇지 못하는 것도 모두 리더의 책임이라 할 수 있다.


리더는 브레인스토밍에 앞서 구체적인 문제를 제시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경영목표'에 대한 일반적 주제보다는 '추가적 자원부담없이 경영목표에 도달하는 방법'과 같이 구체적인 문제를 제시한다.


리더는 이와같은 구체적인 문제를 여러각도에서 생각해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설명될 각종 개인 및 집단 기법을 충분히 익혀야 한다, 문제가 일반적으로 너무 큰 경우에는 아이디어의 연쇄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브레인스토밍에서는 하나의 문제만 내야하며, 문제는 가능한 한 브레인스토밍의 이틀 전에 멤버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멤버들이 충분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둘 수 있기 때문이다.


 


 6) 외부 퍼실리테이터란 누구인가?


 가장 좋은 방법은 능숙한 외부 퍼실리테이터(external -facilitator)를 고용하는 일이다.


퍼실리테이터 ; 사원들의 아이디어를 끌어내어 성공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워크아웃을 이끌어 가는 사람, 여기서는 사회자라 한다.


퍼실리테이터는 경험이 많고, 가치 중립적이고, 매사에 열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글쓰기'에도 훌륭한 능력을 있는 고도의 전문가를 말한다. 그들은 성공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과제와 직무를 정확히 추출하고 , 참가자가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 실행 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 그들은 '아이디어의 흐름"을 관리하게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만약 외부 퍼실리테이터를 발견할 수 없다면 열정적이고 중립적 사고의 인물을 중시할 수 있다. 그들의 "쓰기"능력이 좋지 않다면 '차트 -라이터(서기)'를 통해 그 역할을 대행하도록 할 수 있다.


 


 7) 아이디어는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


 기존의 방식으로 리더는 회의를 진행하고, 세크리터리(서기)는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나머지는 오로지 아이디어만을 낸다, 회의장은 리더를 중심으로  ㄷ 자형으로 책상을 배치하고, 멤버들 서로가 그다지 익숙하지 않으면 명찰을 준비한다.


점차적으로 대중화되고 있는 대안적 방안르로는 포스트잇 노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당신은 한 사람이 필기하거나 아니면 모든 사람들이 필기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권을 갖게 된다. 기록은 멤버들 모두가 볼 수 있는 곳에 커다란 종이를 붙이고, 매직잉크로 하는 것이 좋다, 이는 타인의 아이디어 개선, 결합을 위해서이다.


 


 8) 아이디어 평가의 기준은 무엇인가?


 브레인스토밍에서는 정해진 기준없이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가장 훌륭한 아이디어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준이 설정되어야 한다.


지나치게 한정된 기준을 설정하지는 말자. 브레인스토밍에서는 자유로운 의견교환이 보장되어야 한다. 예컨데,"우리가 추가적 자원 없이 경영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좋은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이 아이디어의 평가기준은 "당신이 아이디어 광인가?"하는 정도의 문제에 그친다. 그것이 실행가능한지, 혹은 관심을 끌 수 있을 만큼 기발한 것인지가 기준이 돼야 한다.


 


 9) 충분한 아이디어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브레인스토밍은 자유롭고 활기찬 분위기를 통해 더 많은 개념들과 더욱 창조적인 개념들을 양산시켜야 한다. 처음 시도하는 사람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이 있다. 아이디어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하여 보자.


그증 한 가지가 역발성, 즉 문제를 뒤집어 생각해 보는 방법이 있다. 이를 테면 고객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브레인스토밍 대신, '그것을 개악하는 방법'을 제안해 보라, 그리고 나서 이 방법들을 다시 뒤집어 보면 우연찮게 방법이 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외부적 자극이 있다. 이는 임의적 단어, 그림, 광고 등에 의해 아이디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직유법이 있는데. 이는 가장 간단하고 명쾌한 형식으로 2개의 사물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10) 브레인스토밍 실패의 원인


 궁극적으로 브레인스토밍이 실패하는 원인들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열거할 수 있다.


  - 아이디어의 섣부른 비판


  - 퍼실리테이터의 자질부족 또는 부재


  - 아이디어에 대한 서전 검열


  - 평가없는 행동 및 조치


  - 회의가  문제의 핵심을 벗어난 경우


  - 충분한 논의 없이 실행가능성부터 따지려는 경우


 


정리 및 결론


이상에서 브레인스토밍에 대한 10가지 기본원칙을 알아보았다, 기본원칙에 충실하다면 누구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놀이'와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브레인스토밍의 기본원칙에 대해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모두가 거리낌 없이 적극 참여한다


  - 비판, 찬사, 코멘트, 토의를 금한다.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토대로 더 발전시킨다.


  - 아이디어의 내용을 정확히 기록하고 모두가 볼 수 있게 게시한다.


  - 시간을 정하고 진행한다.


  - 아이디어들을 전훤이 정확히 이해하도록 해설한다. "좋다" '나쁘다"를 판단하지 말고 단지 의미     의   명확화에만 초점을 두어야 한다.


  - 같은 내용의 아이디어가 둘 이상 있으면 하나로 합친다.


효과적인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당신은 많은 아이디어를 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최선의 아이디어를 선택의 다음 단계로서 후속조치를 배정하여야 한다. 사람들은 브레인스토밍을 즐길 것이며, 그것이 빠른 결과들과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긍정적 방법들로 이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제이슨 리치 저/정명진 역 | 21세기북스 | 2003년 10월


 


창의성은 실수를 부르기도 하지만, 그 실수가 예술이 될 수도 있다.

-스콧 애덤스

 

용어정의

브레인 스토밍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고 특정한 문제처리를 위한 복합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기법 또는 활동을 의미한다.

창의력 이전에는 생각해 내지 못했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사고방식

혁신적 사고 개인 또는 그룹이 더 효율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게

                  만드는 체계적인 생각하기의 과정

 

1. 위대한 아이디어는 당신 안에 있다.
창의적 사고를 배우려면 먼저 새로운 것, 좀더 나은 것과 친해져야 한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를 하는 비결은 사물을 색다른 시각으로 보는 데 있다.

창의적인 사고라는 특벽한 기술을 연마하는 일은 이러한 인물들을 돌아보고 영감을 얻는 일에서 시작된다.

아이디어란 누구나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각 또는 의견을 말하며, 아이디어는 문제해결하기, 논쟁처리하기, 장애극복하기, 무엇인가를 더 좋게, 싸게, 재미있게 만들기 등의 목적이 있다.

 

브레인스토밍을 수행하는 자세

아이디어가 실용적이지 않아도 된다

정답이나 오답이라는 구분은 없다

시간제한은 없다

어리석다는 식의 평가는 일절하지 않는다

당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다른 모든 규칙을 배제한다

 

일상적인 아이디어는 우리를 현실에 안주하게 하고, 더 나은 해결책을 찾는 습관과 멀어지게 한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종종 사물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거나 고민하는 것만으로도 빛을 볼 수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발명가나 혁신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은 자신의 아이디어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고 현실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무던히 노력을 기울였다. 브레인스토밍 숙련가가 되려면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일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브레인스토밍 하는 사람에게는 아이디어를 많이 생각해 내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2. 브레인스토밍 사전 준비
브레인스토밍하는 목적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현상을 규명하며 장애를 극복하는 데 있다.

경험을 많이 할수록 두뇌는 더 많은 브레인스토밍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평소에 잘 생각하지 않는 무작위적인 단어들을 인지하게 하는 것이 아이디어를 자극하는데 효과가 있다. 자극은 갇혀있는 아이디어를 꺼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나에게 무엇이 창의력에 활기를 불어넣는지 생각해보자. 보통 정신적 육체적 편안함, 지치지 않은 상태, 휴식 가능, 산만하지 않은 분위기,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곳, 반대, 조롱 및 비판을 두려워하지 않음에서 최고의 기량을 발휘한다. 이것은 다른 일을 할때도 최고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훌륭한 환경이 된다.

그리고 창의력을 방해하는 요소는 제거하라.

 

모든 브레인스토밍의 단계 

문제점, 과제, 사건 및 사물에 대해 명확히 정의하고 표현한다.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한다.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평가한 후 그 중 최선의 아이디어를 선택한다.

아이디어를 실행한다.

 

3. 브레인스토밍 이렇게 시작하라

브레인스토밍은 비교적 빠르고 구조화된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활동이다.목표, 문제, 기회 또는 대상을 정의하라. 브레인스토밍이 잘 진행되게 하려면 아이디어의 유형에 제한을 두지 말고 아이디어를 내도록 하되 최종시한을 정해두는 일이 필요하다.
브레인스토밍의 12가지 규칙

브레인스토밍의 목적을 정하고 문제를 정의하라

규칙을 마련하고 엄수하라

목표치를 정하라

어떤 아이디어든 관계없이 말하라

서두르지 마라

자신의 아이디어를 일찍 판단하지 마라

흥분과 열정에 찬 분위기를 조성하라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개량하라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어라

두려워하지 마라

사물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라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에는 브레인스토밍 자극제를 활용하라

 

4. 창의적인 사고와 브레인스토밍 실습


두뇌훈련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

평소에 읽던 것과 다른 신문이나 잡지를 읽는다

일주일에 한번 이상 다른 유형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색다른 곳으로 휴가간다

집과 회사를 오가는 또 다른 길을 찾는다

매일 서로 다른 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교육과정을 수강한다

질문을 많이 이용한다

일상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

음악을 듣고 공상한다

자신을 위한 창의적인 배출구를 찾는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일로 '만약에~'게임을 한다

일기를 써라

스크랩북이나 사진첩을 만들어라

구름을 쳐다보라

레고로 무엇인가를 만들어라

방을 다시 꾸며라

동화책을 읽어라

시를 써라

낙서를 하라

평범한 물건의 다른 용도를 생각하라

 

5. 브레인스토밍의 장애요소 극복하기
창의력이 계속해서 샘솟게 하는 생활습관을 익혀라.

진정한 영감을 주는 외부요인을 증진시켜라

브레인스토밍의 장애요소를 만났을 때 무엇이 발목을 잡았는 가를 확인하라(상황을 부풀려 감당할 수 없게 만들지 말라)

창의력 장애요소를 극복하라

빽빽한 마감일과 결과를 빨리 달성하려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라(스트레스의 정확한 원인을 짚어내라)

 

6. 아이디어 분석 및 선택
브레인스토밍의 문제, 목표, 기회 또는 목적 재검토

포커스 그룹 이용

'여섯 색깔 모자' 평가기법 이용

비용/이익 분석

PMI(Plus-Minus-Implications)결정기법 이용

 

7. 아이디어 실행

아이디어의 유형에 따라 현실화하면서 난이도와 최종적인 성공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로 절대적인 노력과 조직 내의 완전한 합의, 열정, 조직화 기술이 필요하다.

 

아이디어 실행의 10단계

1단계: 선택된 아이디어의 가능성 재확인

2단계: 프로젝트 리더 선택

프로젝트 리더는 부지런하고 책임감이 있으며 사람들을 관리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3단계: 추가적인 연구조사

4단계: 아이디어의 실행계획

5단계: 아이디어 실행을 위한 조직 개편

6단계: 실행전략 개발

7단계: 전문가와 내부 자원 활용

8단계: 시간계획 세우기

9단계: 아이디어 실행

10단계: 아이디어 실행결과 평가


8. 브레인스토밍 도구를 활용하자
◎로우테크 도구들: 종이와 펜, 스케치북, 녹음기, 사진기/비디오 카메라,

                         파일카드, 칠판/화이트보드

◎하이테크 도구들: 소트패스, 인스피레이션7, 마이크로소프트 프로젝트 2002,

                          마인드모델, 개요작성프로그램, 미팅플레이스, PDA,

                          잉크링크 핸드라이팅 시스템, 스마트 보드, 리멕스시계

 

9. 브레인스토밍 전문가를 활용하자

10. 브레인스토밍 성공사례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제이슨 리치




제이슨 리치는 기업에 마케팅과 홍보 및 창의력 개발을 자문해 주는 컨설턴트다. 또한 폭넓은 주제로 25권 이상의 책을 저술한 작가이기도 하고, 신문과 잡지에서는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보스턴 근교에 거주하고 있다.
출처: www.yes24.com

 



♣ 정란's think


브레인스토밍이라는 말이 낯설지는 않다. 아니 조금 들어본 듯 해서 하지만 책에서도 짧게 요약되어져 있어서 그러한 브레인스토밍으로 책을 한 권이 나와있다는 것이 조금 신기하기도 하고 창의적이라는 것, 창조적이라는 말에 책을 꺼내들었다. 그리고 아무래도 사회복지관련이을 하면서도 늘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그럴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아이디어를 얻기로 했다.


쉽게 느껴지는 브레인스토밍에서도 기본적으로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 그래야 초반에는 상관없을 지라도 나중에 적합한 아이디어를 분류할 수 있다. 모든 일에 목적이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어야 할 것같다.


그리고 두려움 없이 이야기하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나의 머리를 자극시키는 일을 통해 훈련해야 한다는 사실. 생각도 굳어지기 마련인 것 같다. 틀을 벗어나기 위해서도 연습이 필요하다.



출처 : http://blog.naver.com/ehanse213/40045568708
?

공부 게시판

공부에 도움되는 글을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공부 게시판 입니다. 처누 2003.08.18 927854
346 공지 주목할만한 웹 2.0 아이디어 40개 JaeSoo 2008.02.21 6693
345 u-E(법,정책)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등의 관한 법률안 검토 보고 (소관위 심사) file JaeSoo 2008.02.19 7686
344 기타 2008년도 IT 트렌드로 알아보는 유비쿼터스사회 JaeSoo 2008.02.19 7887
343 윈도우즈 윈도우 폰트 정리로 속도개선 JaeSoo 2008.02.12 5496
342 u-E(표준화) Universal Design (유니버설 디자인) JaeSoo 2008.01.31 9410
341 네트워크 조기경보시스템(3)-조기경보 시스템(Early Warning System)의 국내외 구축·운영 사례 JaeSoo 2008.01.28 5542
340 네트워크 조기경보시스템(2)-조기경보 시스템의 기술 동향 JaeSoo 2008.01.28 6394
339 네트워크 조기경보시스템(1)-조기경보 시스템의 개요 JaeSoo 2008.01.28 6144
338 웹 프로그래밍 2008년 Web Trends JaeSoo 2008.01.21 6183
337 웹 프로그래밍 제로보드 글 수정시 날자도 변경되게 하자 JaeSoo 2008.01.18 5550
» 기타 브레인스토밍의 효율적 기법 10가지 JaeSoo 2008.01.16 6359
335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10개월 JaeSoo 2008.01.16 5799
334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9개월 JaeSoo 2008.01.16 6184
333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8개월 JaeSoo 2008.01.16 5758
332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7개월 JaeSoo 2008.01.16 5507
331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6개월 JaeSoo 2008.01.16 5681
330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5개월 JaeSoo 2008.01.16 5516
329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4개월 JaeSoo 2008.01.16 5311
328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3개월 JaeSoo 2008.01.15 4975
327 건강 임신 육아 - 엄마 임신 2개월 3 file JaeSoo 2008.01.15 6720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24 Next
/ 124


즐겨찾기 (가족)

JAESOO's HOMEPAGE


YOUNGAE's HOMEPAGE


장여은 홈페이지


장여희 홈페이지


장여원 홈페이지


즐겨찾기 (업무)

알리카페 홀릭

숭실대 컴퓨터 통신연구실 (서창진)

말레이시아 KL Sentral 한국인 GuestHouse


즐겨찾기 (취미)

어드민아이디

유에코 사랑회

아스가르드 좋은사람/나쁜사람

JServer.kr

제이서버 메타블로그

재수 티스토리


즐겨찾기 (강의, 커뮤니티)

재수 강의 홈페이지


한소리


VTMODE.COM


숭실대 인공지능학과


숭실대 통신연구실


베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