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십만원씩요...조회를 해보니
거래금액 거래좌수 잔고좌수 기준가 평가금액
100,000 98,938 98,938 1,000.73 99,010
이렇게 하나 나오고요 또 하나는
거래금액 거래좌수 잔고좌수 기준가 평가금액
100,000 47,140 47,140 2,100.35 99,010
두가지 상품 모두 입금시 선취수수료가 1%있습니다.
해서,,10만원을 입금하셨지만,
평가금액이 10만원이 아니라, 990원이 수수료로 공제되어서
99,010원만 펀드로 입금되었습니다.
주식의 가격은 '주가'라고 하는데 펀드의 가격은 '기준가'라고 합니다.
주식의 단위는 '주'이고 펀드의 단위는 '좌'라고 합니다.
아래의 화면으로 말씀드리면,
99,010원으로 기준가 2,100.35원인 펀드를 47,140좌 만큼 매수한 것입니다.
(2,100.35*47,140/1,000=99,010)
잔고좌수는 총 매수되어진 좌수이구요,
이번이 첫거래이므로 거래좌수와 잔고좌수가 같습니다.
다음달에 들어갈때는 잔고좌수가 오늘의 좌수에다가 새로 사는 좌수가 합쳐집니다.
추가입금이 없다면,잔고좌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주식의 움직임에따라 기준가격이 변동하면서 평가금액도 변동합니다.
평가금액이 님의 실질잔고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평가금액만 보시면
펀드의 상황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알수 있습니다.
출처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4&dir_id=40306&eid=f+3lfNxMFITMErFTr34nlLIz5INIgeH/&qb=xvKwobHdvtcgseLB2LCh&pid=f4R3Ploi5UdsstCK7AGsss--485272&sid=SIU3ejcVhUgAABkMDfQ
펀드에 가입하기 전까지는 별 관심이 없다가
일단 가입하고 나면 가장 궁금해 지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용어들입니다.
'기준가'와 '좌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싸이월드에서 한참 유행했던 '도토리'를 예로 들어 말씀을 드려 볼까요...^^
1. 기준가
내가 10,000원을 들고 시장에 가서 도토리를 사려고 하는데
도토리의 가격은 날씨, 수확량 등에 따라 매일매일 가격이 틀리다고 가정을 해 보죠.
그러면 도토리 파는 가게에서 '오늘은 도토리 1개 10원' 이렇게 써 붙여 놓겠죠..
그런데 다음 달은 명절 대목이라 도토리가 품귀현상입니다.
그러면 '오늘은 도토리 1개 12원' 이렇게 써 붙여 놓을 거구요...
도토리 가격이 매일매일 변하는 것처럼
펀드의 가격도 주식시장의 상황에 따라 매일매일 달라집니다.
그리고 그날의 펀드 가격이 바로 '기준가'입니다.
2. 좌수
오늘 시장에 가 보니 도토리 가격은 개당 10원입니다.
그러면 나는 10,000원을 주고 도토리 1,000개를 삽니다.
여기서 도토리 '1,000개'에 해당하는 것이 펀드의 '좌수' 개념입니다.
즉, 내가 돈을 주고 산 도토리의 갯수라는 개념이죠..
내가 매달 같은 돈을 들고 시장에 나가더라도 도토리 가격이 바뀌기 때문에,
살 수 있는 도토리 갯수도 당연히 바뀔 것입니다.
적립식펀드도 이처럼 매달 같은 돈을 넣더라도
펀드 기준가가 바뀌기 때문에 사게 되는 펀드의 '좌수'는 달라집니다.
3. 잔고좌수
다음 달은 시장에 가보니 명절대목이라 도토리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했죠..
그러면 같은 10,000이라도 지난 달보다 살 수 있는 갯수가 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번에는 10,000원을 주고 도토리 900개를 더 샀다고 해 보죠.
그러면 내 도토리 갯수는 지난 달에 산 1,000개와 이번달에 산 900개를 합쳐
총 1,900개가 됩니다.
이것이 '잔고좌수'입니다. 지금까지 사서 모은 도토리의 총 갯수를 의미하는 것이죠...
적립펀드에서는 매달 내가 사서 모은, 그래서 지금 가지고 있는 펀드 좌수의 총합계를 의미합니다.
4. 평가금액
그러던 어느날... 돈이 필요해서
내가 가지고 있는 도토리 1,900개를 시장에 내다 팔러 갈까 생각을 합니다.
시장에 가서 알아보니 이날은 여러가지 이유로 도토리 가격이 13원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지금 내가 가진 도토리의 총가치는
도토리갯수 1,900개 * 오늘 가격 13원 = 24,700원이 되겠네요....
이것이 펀드의 '평가금액' 개념입니다.
즉, [잔고좌수*펀드기준가]가 펀드 평가금액이 되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내가 가입한 적립식펀드의 오늘의 정확한 가치를 알고 싶으면
내 계좌의 펀드 잔고좌수와 오늘의 펀드기준가를 곱한 금액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실제로는 [ 잔고좌수 * (기준가/1000) ] 으로 계산합니다.)
※ 펀드 기준가는 펀드를 가입한 은행이나 증권사 홈페이지, 포탈싸이트의 펀드코너,
펀드평가회사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잔고좌수는 펀드를 가입한 은행 통장이나 인터넷뱅킹,
또는 증권사 홈페이지나 HTS에서 확인가능합니다.
다만, 금융기관별로 양식이 좀 다른데..
일부 은행들은 '평가금액' 항목에 실제로는 잔고좌수가 나오는 것 같더군요..
(여기서 다시 한 번, 은행에서 펀드 가입하면 불편한 이유들이... ^^;;)
펀드 평가금액 산정 공식은?
평가금액 = 기준가 * 좌수 / 1000
원금에서 수익률이 더한것이 평가금액입니다.
기준가가 내려가서 평가금액이 원금보다 못하면 마이너스 수익률인것이구
기준가가 올라가서 평가금액이 원금보다 높으면 플러스 수익률인 것이지요
이 기준가는 매일매일 주가의 변화에 따라서 바뀝니다.
그래서 공식에 대입하면 기준가 변화에 따라서 금액이 매일매일 바뀌는 것이지요
(다만 펀드 기준일에는 펀드 기준가가 1000.00으로 초기화가 됩니다 이때 기준가가
1500.00 에서 1000.00이 되었다면 좌수를 50% 올려주면서 평가금액에 변화는 없습니다.
1000.00이하일경우는 반대로 적용하면 됩니다.)
기준가와 좌수가 존재하는것은
기준가에 따라서 좌수가 늘어나기 때문이지요
쉽게 말해
사과 100원짜리를
10,000원르 산다면?
투자원금 : 10,000원
기준가 : 100
보유좌수 : 1,000개
다만 보유좌수를 볼때에는 1좌 단위로 하기 때문에
실질적용시
펀드투자원금 : 10,000원 = 기준가 1000.00 * 보유좌수 10,000 / 1000
시장이 변화를 합니다. 사과가격이 90원이 됐다가 110원이 됐다가 하겠죠?
이때 기준가도 같이 변화를 합니다.
1월10일 기준가 1,000원이 였다가
1000.00 * 10,000/ 1000 = 10,000원
1월30일 기준가 1,500원
1500.00 * 10,000 / 1000 = 15,000원
2월15일 10,000을 또 투자하였다면
이때 기준가가 계속 1,500이라면
1500.00 * 6,667 / 1000 = 10,000
총보유는?
1500,00 * 16,667 / 1000 = 25,000원
2월30일 기준가 1,000원
1000.00 * 16,667 / 1000 = 16,667원
이렇게 가는것이지요 ^^
물론 기준가가 저 예시만큼 변할라면 난리나겟지만요 ㅎㅎ..
1. 삼성그룹주는 삼성그룹주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만 최근의 삼성 그룹주들이 타격을 많이 본상태라
미래의 발전성으로 볼때는 매우 바람직할것 같구요
2. 브릭스 펀드는 중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에 투자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세계 경제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다면야 앞으로의 경제성장률이 좋을 나라입니다.
또한 현재까지의 성정은 발군의 성적이기도 합니다만...
세계경제의 문제가 발생할때에는 소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투자지역의 주가가 낙폭이 클수도 있지요
위험성으로는 둘다 엇비슷 할정도로 다위험합니다.
펀드는 안정성이 -9라고 보시면 됩니다.
은행을 -1이라고 볼때 직접투자가 -10정도 된다고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듯 합니다.
주식형 펀드는 위험한 상품이기 때문에 여러지역에 나누어서 투자를 하며
기간의 투자를 통해서 위험성을 다소 줄이는 것이지요
주식은 우샹항한다라는 진리를 통해서 투자를 합니다만 기간적으로 몇년동안 주가가 내려갈수도 있고
올라갈수도 있다는점만 명심하셧으면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